지식나눔

pro-inflammatory cytokines (TNF-alpha, IL1beta등)

이들 pro-inflammatory cytokines등은, 염증반응후에 관찰하는데 있어서, 주로 RT-PCR이나, ELISA등을 많이 보는데요..그 정확한 이유가 무엇입니까?
발현시기가 짧다는 말을 어디선가 들은것 같은데요..이들을 주로, western등의 방법이나 immunohistochemistry등의 방법으로 보기 힘든이유가 궁금합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 TNF-alpha
  • IL-1 beta
  • pro-inflammatory cytokines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장성재님의 답변

    세 가지로 그 가능한 이유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첫번째, 이들 사이토카인들은 자극 후 수 시간 내에 폭발적으로 증가하지만, 곧 피드백 작용 (tolerance)에 의해 감소를 하게 됩니다. 따라서 단백질을 직접 WB로 확인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또한, 분비형 단백질인 관계로 IF를 이용하여 측정하기도 어렵겠죠. 두번째, 이들 사이토카인들은 혈액 내에서의 반감기가 60분 이내로 매우 짧다는 사실을 들 수 있습니다. 세번째, 이들 사이토카인들에 대한 저해제 (inhibitors)나 길항제 (antogonists)가 환자의 혈액 내에 다량으로 분포하기 때문에 assay가 어려운 경우도 있습니다. >이들 pro-inflammatory cytokines등은, 염증반응후에 관찰하는데 있어서, 주로 RT-PCR이나, ELISA등을 많이 보는데요..그 정확한 이유가 무엇입니까? >발현시기가 짧다는 말을 어디선가 들은것 같은데요..이들을 주로, western등의 방법이나 immunohistochemistry등의 방법으로 보기 힘든이유가 궁금합니다. > >답변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세 가지로 그 가능한 이유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첫번째, 이들 사이토카인들은 자극 후 수 시간 내에 폭발적으로 증가하지만, 곧 피드백 작용 (tolerance)에 의해 감소를 하게 됩니다. 따라서 단백질을 직접 WB로 확인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또한, 분비형 단백질인 관계로 IF를 이용하여 측정하기도 어렵겠죠. 두번째, 이들 사이토카인들은 혈액 내에서의 반감기가 60분 이내로 매우 짧다는 사실을 들 수 있습니다. 세번째, 이들 사이토카인들에 대한 저해제 (inhibitors)나 길항제 (antogonists)가 환자의 혈액 내에 다량으로 분포하기 때문에 assay가 어려운 경우도 있습니다. >이들 pro-inflammatory cytokines등은, 염증반응후에 관찰하는데 있어서, 주로 RT-PCR이나, ELISA등을 많이 보는데요..그 정확한 이유가 무엇입니까? >발현시기가 짧다는 말을 어디선가 들은것 같은데요..이들을 주로, western등의 방법이나 immunohistochemistry등의 방법으로 보기 힘든이유가 궁금합니다. > >답변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