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mutation 관련 질문입니다.

protein간의 interaction 부위를 관찰하는데,
full length의 protein과 특정 domain의 아미노산 부위를 deletion후 메티오닌(start codon)을 붙였는 protein을 비교했습니다.
왜 메티오닌을 붙였는지 궁금합니다.
(FL-AIF) VS (met-△102 AIF)
  • 메티오닌
  • mutatio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protein간의 interaction 부위를 관찰하는데, >full length의 protein과 특정 domain의 아미노산 부위를 deletion후 메티오닌(start codon)을 붙였는 protein을 비교했습니다. >왜 메티오닌을 붙였는지 궁금합니다. >(FL-AIF) VS (met-△102 AIF) > 여기서 full length의 protein은 FL-AIF이고, 특정 도메인의 아미노산를 제거시키고 Met를 붙인 protein을 met-△102 AIF으로 먼저 구별해야 될 거 같군요. 우선 후자의 protein이 발현하려면 첫번째 아미노산을 지정하는 코돈이 DNA에서는 ATG이고 RNA에서는 AUG가 되겠네요. 이런 염기서열이 시작코돈(start codon)이라고도 합니다. 전자와 후자를 비교하기 위해서는 후자의 단백질이 세포내에서 DNA --> RNA --> protein으로 발현이 되어야만 전자 단백질과 후자 단백질이 비교가 될 것입니다. 따라서 후자의 경우 특정 아미노산을 deletion시키고 이 자리에 Met을 합성하는 DNA(ATG)를 삽입시켜주어 이 부위부터 세포에서 발현되어 생성되는 단백질과 전자의 full length단백질 사이에 서로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위해서 일 것입니다.
    >protein간의 interaction 부위를 관찰하는데, >full length의 protein과 특정 domain의 아미노산 부위를 deletion후 메티오닌(start codon)을 붙였는 protein을 비교했습니다. >왜 메티오닌을 붙였는지 궁금합니다. >(FL-AIF) VS (met-△102 AIF) > 여기서 full length의 protein은 FL-AIF이고, 특정 도메인의 아미노산를 제거시키고 Met를 붙인 protein을 met-△102 AIF으로 먼저 구별해야 될 거 같군요. 우선 후자의 protein이 발현하려면 첫번째 아미노산을 지정하는 코돈이 DNA에서는 ATG이고 RNA에서는 AUG가 되겠네요. 이런 염기서열이 시작코돈(start codon)이라고도 합니다. 전자와 후자를 비교하기 위해서는 후자의 단백질이 세포내에서 DNA --> RNA --> protein으로 발현이 되어야만 전자 단백질과 후자 단백질이 비교가 될 것입니다. 따라서 후자의 경우 특정 아미노산을 deletion시키고 이 자리에 Met을 합성하는 DNA(ATG)를 삽입시켜주어 이 부위부터 세포에서 발현되어 생성되는 단백질과 전자의 full length단백질 사이에 서로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위해서 일 것입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