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4-12
org.kosen.entty.User@e794ee6
윤숙연(ysy7042)
- 1
리스테리아 용혈성 검사
- 혈액배지 접종 → 발육된 집락 주위 형성된 용혈환 확인
· α형 : 산화혈색소 → 메트헤모글로빈 변화한것
적혈구 부분용혈 → 집락 주위에 녹색 용혈대 형성
· β형 : 적혈구 완전 용혈 → 집락 주위에 완전 투명한 용혈대 형성
· γ형 : 용혈성이 없는 경우
라고 하는데요 여기에서 왜 α형,β형,γ형이라 이름을 붙였는지를 알고 싶습니다.
꼭 가르쳐주세요 ㅠㅠㅠㅠㅠ
- 혈액배지 접종 → 발육된 집락 주위 형성된 용혈환 확인
· α형 : 산화혈색소 → 메트헤모글로빈 변화한것
적혈구 부분용혈 → 집락 주위에 녹색 용혈대 형성
· β형 : 적혈구 완전 용혈 → 집락 주위에 완전 투명한 용혈대 형성
· γ형 : 용혈성이 없는 경우
라고 하는데요 여기에서 왜 α형,β형,γ형이라 이름을 붙였는지를 알고 싶습니다.
꼭 가르쳐주세요 ㅠㅠㅠㅠㅠ
- 리스테리아
- 용혈성 검사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김상태님의 답변
2011-04-13- 0
>리스테리아 용혈성 검사 > - 혈액배지 접종 → 발육된 집락 주위 형성된 용혈환 확인 > · α형 : 산화혈색소 → 메트헤모글로빈 변화한것 > 적혈구 부분용혈 → 집락 주위에 녹색 용혈대 형성 > · β형 : 적혈구 완전 용혈 → 집락 주위에 완전 투명한 용혈대 형성 > · γ형 : 용혈성이 없는 경우 >라고 하는데요 여기에서 왜 α형,β형,γ형이라 이름을 붙였는지를 알고 싶습니다. >꼭 가르쳐주세요 ㅠㅠㅠㅠㅠ ==beta Lysin CAMP factor test에 의해 세균의 beta lysin존재유무를 통해 적혈구 파괴에 의한 용혈정도를 확인하는 방법에 근거로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