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4-15
org.kosen.entty.User@6a34143b
박승진(psj870227)
- 2
질문있습니다.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것은 시료를 잘 녹이고 시료와 섞이지 않아야, 시료의 성질을 변화되면 안된다고 들었습니다.
그러면 질문있습니다. 제가 만일 초기에 toluen으로 시료를 전처리 하였습니다. 그런데 상태가 좋지 못하여 toluen을 휘발시키고 Haxane으로 재 처리 하였을 때
이때 유기용매가 변한것이 무슨 차이를 가져올까요??
- solvent
- 유기용매
- 차이점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11-04-16- 0
>질문있습니다. >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것은 시료를 잘 녹이고 시료와 섞이지 않아야, 시료의 성질을 변화되면 안된다고 들었습니다. > >그러면 질문있습니다. 제가 만일 초기에 toluen으로 시료를 전처리 하였습니다. 그런데 상태가 좋지 못하여 toluen을 휘발시키고 Haxane으로 재 처리 하였을 때 > >이때 유기용매가 변한것이 무슨 차이를 가져올까요?? 우선 toluene과 hexane의 비극성도 차이를 알 필요가 있습니다. 보통 극성도를 나타내는 지표가 dielectric constant인데 toluene은 2.3 정도이고, hexane은 1.8 정도 됩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것처럼 hexane이 비극성도가 좀 더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시료속에 분리하고자 하는 물질이 어떤 구조를 갖는가를 추론할 수 있다면 그 물질이 toluene이나 hexane속에 모두 잘 녹는다면 어느 용매를 선택하든 문제는 되지 않을 것입니다. 상태가 좋지 않다는 말은 시료속에는 다양한 혼합물들이 섞여 있기 때문에 극성도가 높은 불순물이 toluene에 녹지 않아서 그럴 가능성이 큽니다. 다른 원인은 toluene에 녹지 않은 좀 더 비극성을 띄는 물질들이 녹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을 수는 있습니다. 만약 시료속에 물질들이 지방산류나 지질류 같은 좀 더 비극성 혼합물로 섞여 있다면 hexane으로 처리하게 되면 용해도가 좋게 보일지 모르겠군요. 결론적으로 정리하면 시료속에 포함된 분리하고자 하는 물질의 구조를 대략적으로 알고 있다면 용매 선택이 좀 더 수월할 거 같습니다.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2011-04-18- 0
질문 내용으로 추측컨데.... 추출법으로 시료의 표적물질을 분리해내고 있다고 보여집니다. 추출용매의 선택에 관한 내용에 대해선 앞서 좋은 답변이 있었기 때문에 두 가지 용매 사용시 발생할 수 있는 현상에 대해서만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극성만 따지면 hexane의 극성도가 훨씬 낮은 것은 사실입니다. 때문에 비극성 물질들은 hexane으로 추출할 때 더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toluene의 경우 방향족 물질로 파이컨쥬게이션 있기 때문에 파이 컨쥬게이션에 의해 상호작용이 가능한 물질의 경우 hexane 보다 훨씬 효과적으로 추출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사실 예측은 가능하지만 예측이 항상 맞는 것은 아니죠. 그래서 검증이 늘 필요하죠. 전처리시 표적성분이 잘 추출되는지 나름데로 검증해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