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IHC 할때 같은 host의 antibody로 double staining 할수 있는 방법??

안녕하세요~~ 제가 지금 IHC(immunohistochemistry)를 하고 있는데요.. 가지고 있는 antibody host가 다 rabbit이라서요~... double staining을 하고 싶은데.. 혹시.. 같은 host antibody로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혹시 알고 계시다면.. 알려주세요~~ㅋㅋ
  • IHC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장성재님의 답변

    2nd Ab-conjugate를 사용하실 경우에는 불가능합니다. 항원에 대한 affinity의 차이에 의해서 구분할 수도 있을 것으로 생각하실 수도 있지만, 쉽지않습니다. 이때에는 각각의 항원에 대한 특이적인 항체를 각기 다른 host를 사용하셔서 이중 염색하시는 방법 밖에 없습니다. 이중 염색시에는 특히 주의하실 사항으로 2nd Ab의 선택 시에 highly cross absorbed Ab(direct가 아닌 다른 host 유래의 2nd Ab-conjugates를 사용할 경우 다른 host 유래 Ab에 대한 cross activity의 여부를 반드시 확인 요망)를 사용하실 것을 권장합니다. 다만, 직접 각각의 항체에 각기 다른 형광성을 나타내는 probe를 conjugation 시킨 다음에 직접 반응 시킬 경우에는 가능합니다. 예로써 하나의 항체에는 Alexa488을 다른 항체에는 Alexa594을 conjugation 한 다음 직접 반응시키면 가능합니다. >안녕하세요~~ > >제가 지금 IHC(immunohistochemistry)를 하고 있는데요.. > >가지고 있는 antibody host가 다 rabbit이라서요~... > >double staining을 하고 싶은데.. 혹시.. 같은 host antibody로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 >혹시 알고 계시다면.. 알려주세요~~ㅋㅋ
    2nd Ab-conjugate를 사용하실 경우에는 불가능합니다. 항원에 대한 affinity의 차이에 의해서 구분할 수도 있을 것으로 생각하실 수도 있지만, 쉽지않습니다. 이때에는 각각의 항원에 대한 특이적인 항체를 각기 다른 host를 사용하셔서 이중 염색하시는 방법 밖에 없습니다. 이중 염색시에는 특히 주의하실 사항으로 2nd Ab의 선택 시에 highly cross absorbed Ab(direct가 아닌 다른 host 유래의 2nd Ab-conjugates를 사용할 경우 다른 host 유래 Ab에 대한 cross activity의 여부를 반드시 확인 요망)를 사용하실 것을 권장합니다. 다만, 직접 각각의 항체에 각기 다른 형광성을 나타내는 probe를 conjugation 시킨 다음에 직접 반응 시킬 경우에는 가능합니다. 예로써 하나의 항체에는 Alexa488을 다른 항체에는 Alexa594을 conjugation 한 다음 직접 반응시키면 가능합니다. >안녕하세요~~ > >제가 지금 IHC(immunohistochemistry)를 하고 있는데요.. > >가지고 있는 antibody host가 다 rabbit이라서요~... > >double staining을 하고 싶은데.. 혹시.. 같은 host antibody로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 >혹시 알고 계시다면.. 알려주세요~~ㅋㅋ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김상태님의 답변

    >안녕하세요~~ > >제가 지금 IHC(immunohistochemistry)를 하고 있는데요.. > >가지고 있는 antibody host가 다 rabbit이라서요~... > >double staining을 하고 싶은데.. 혹시.. 같은 host antibody로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 >혹시 알고 계시다면.. 알려주세요~~ㅋㅋ IHC는 1차항체가 중요한데 일차항체의 소스가 RABBIT이니까 2차항체의 소스도 RABBIT이어야 하는데 중요한것은 HRP, FITC, TED, 594이냐가 결정되면 그 다음 소스가 어디냐가 결정되야하고 그다음 어느정도 호환을 지닌 2차항체이냐를 결절하심됨
    >안녕하세요~~ > >제가 지금 IHC(immunohistochemistry)를 하고 있는데요.. > >가지고 있는 antibody host가 다 rabbit이라서요~... > >double staining을 하고 싶은데.. 혹시.. 같은 host antibody로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 >혹시 알고 계시다면.. 알려주세요~~ㅋㅋ IHC는 1차항체가 중요한데 일차항체의 소스가 RABBIT이니까 2차항체의 소스도 RABBIT이어야 하는데 중요한것은 HRP, FITC, TED, 594이냐가 결정되면 그 다음 소스가 어디냐가 결정되야하고 그다음 어느정도 호환을 지닌 2차항체이냐를 결절하심됨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김상태님의 답변

    >안녕하세요~~ > >제가 지금 IHC(immunohistochemistry)를 하고 있는데요.. > >가지고 있는 antibody host가 다 rabbit이라서요~... > >double staining을 하고 싶은데.. 혹시.. 같은 host antibody로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 >혹시 알고 계시다면.. 알려주세요~~ㅋㅋ >만약 현재사항이라면 저는 하나는 QD525표면에 카르복실기가 부착된것+EDC와 하나의 항체와 반응시켜 (녹색형광),하나는 QD565카르복실기+EDC와 다른 항체와 (적색형광)으로 다르게 합성해서 시도함이 좋을듯 만약 잘안되면 멜주세요 항체와 EDC를 주시면 제가 합성해드리죠
    >안녕하세요~~ > >제가 지금 IHC(immunohistochemistry)를 하고 있는데요.. > >가지고 있는 antibody host가 다 rabbit이라서요~... > >double staining을 하고 싶은데.. 혹시.. 같은 host antibody로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 >혹시 알고 계시다면.. 알려주세요~~ㅋㅋ >만약 현재사항이라면 저는 하나는 QD525표면에 카르복실기가 부착된것+EDC와 하나의 항체와 반응시켜 (녹색형광),하나는 QD565카르복실기+EDC와 다른 항체와 (적색형광)으로 다르게 합성해서 시도함이 좋을듯 만약 잘안되면 멜주세요 항체와 EDC를 주시면 제가 합성해드리죠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