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PET 의 Tg(유리전이온도)를 높이는 방안에 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모두들 잘들 지내시죠? 오랜만에 들어왔습니다. 이번에 PET 방사에 관한 과제를 진행중에 있는데요. 관련된 질문이 있습니다. 현재 regular PET chip 을 통해서 방사를 진행중인데 실의 굵기(denier)를 늘려보려는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실을 굵게 만들면 유제를 묻히고 롤러로 가는 단계까지 고화가 덜 되는 문제를 보이는데요. 그래서 생각한게 pet CHip 의 Tg를 높이면 상대적으로 빨리 고 화가 되지 않을까 결론을 내렸는데요,,, 중합시 PET의 Tg를 높일수 있는 방법이 어떤게 있는지 아시는분은 좀 알려주세요. 예를 들어 PAN의 경우 Tg가 상당히 높은데 거기에 쓰는 첨가제를 투입해 볼까하는 생각도 하고 있구요. 중합도를 높이면 Tg가 따라 높아지는지 생각도 하고 있습니다. 근데 중합도 가 높아지면 Tg가 높아지는게 어떤 원리인지 잘 모르겠네요;;;아시는 연구원께서는 도움을 좀 주세요. 그리고 가장 중요한 Tg를 높이는 방안으로 중합시에 어떻게 해야 하는지 꼭 좀 알려주세요. 감사합니다. 꼭 도움을 주십시요.
  • PET
  • 유리전이온도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조수연님의 답변

    Tg는 고분자의 고유 성질로서 쉽게 키울 수는 없습니다. 질문하신 분 경우에는 실의 굵기를 키웠을 때 결정화가 덜 되는 현상으로서 적절한 핵제(nucleant)를 사용하여 해결이 가능하리라 생각합니다. 즉, PET가 용융되었다가 고체로 될 때의 속도를 빠르게 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제 email로 연락주시면 샘플 제공 가능합니다. (smectic@kaist.ac.kr)
    Tg는 고분자의 고유 성질로서 쉽게 키울 수는 없습니다. 질문하신 분 경우에는 실의 굵기를 키웠을 때 결정화가 덜 되는 현상으로서 적절한 핵제(nucleant)를 사용하여 해결이 가능하리라 생각합니다. 즉, PET가 용융되었다가 고체로 될 때의 속도를 빠르게 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제 email로 연락주시면 샘플 제공 가능합니다. (smectic@kaist.ac.kr)

    감사합니다. 메일 드렸습니다^^

  • 답변

    하기룡님의 답변

    >안녕하세요. 모두들 잘들 지내시죠? 오랜만에 들어왔습니다. > >이번에 PET 방사에 관한 과제를 진행중에 있는데요. 관련된 질문이 있습니다. > >현재 regular PET chip 을 통해서 방사를 진행중인데 실의 굵기(denier)를 늘려보려는 >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실을 굵게 만들면 유제를 묻히고 롤러로 가는 단계까지 고화가 덜 > >되는 문제를 보이는데요. 그래서 생각한게 pet CHip 의 Tg를 높이면 상대적으로 빨리 고 > >화가 되지 않을까 결론을 내렸는데요,,, > >중합시 PET의 Tg를 높일수 있는 방법이 어떤게 있는지 아시는분은 좀 알려주세요. > >예를 들어 PAN의 경우 Tg가 상당히 높은데 거기에 쓰는 첨가제를 투입해 볼까하는 생각도 > >하고 있구요. 중합도를 높이면 Tg가 따라 높아지는지 생각도 하고 있습니다. 근데 중합도 > >가 높아지면 Tg가 높아지는게 어떤 원리인지 잘 모르겠네요;;;아시는 연구원께서는 도움을 > >좀 주세요. 그리고 가장 중요한 Tg를 높이는 방안으로 중합시에 어떻게 해야 하는지 꼭 좀 > >알려주세요. > >감사합니다. 꼭 도움을 주십시요.
    >안녕하세요. 모두들 잘들 지내시죠? 오랜만에 들어왔습니다. > >이번에 PET 방사에 관한 과제를 진행중에 있는데요. 관련된 질문이 있습니다. > >현재 regular PET chip 을 통해서 방사를 진행중인데 실의 굵기(denier)를 늘려보려는 >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실을 굵게 만들면 유제를 묻히고 롤러로 가는 단계까지 고화가 덜 > >되는 문제를 보이는데요. 그래서 생각한게 pet CHip 의 Tg를 높이면 상대적으로 빨리 고 > >화가 되지 않을까 결론을 내렸는데요,,, > >중합시 PET의 Tg를 높일수 있는 방법이 어떤게 있는지 아시는분은 좀 알려주세요. > >예를 들어 PAN의 경우 Tg가 상당히 높은데 거기에 쓰는 첨가제를 투입해 볼까하는 생각도 > >하고 있구요. 중합도를 높이면 Tg가 따라 높아지는지 생각도 하고 있습니다. 근데 중합도 > >가 높아지면 Tg가 높아지는게 어떤 원리인지 잘 모르겠네요;;;아시는 연구원께서는 도움을 > >좀 주세요. 그리고 가장 중요한 Tg를 높이는 방안으로 중합시에 어떻게 해야 하는지 꼭 좀 > >알려주세요. > >감사합니다. 꼭 도움을 주십시요.

    아 정말 감사합니다. 많은 공부가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잘 부탁 드리겠습니다. 꾸벅(ㅡㅡ)(__)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님께서 알려주신 Tg 증가법에 대해서 더 공부를 해봐야겠습니다. 선배님께서 Tg를 높이는 방안이 여러가지가 있다고 하셨는데 관련 자료를 구할 수 있는 곳이 어디에 있는지 좀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하겠구요. Tg증가하는 기술에 대해 아시는대로 정보를 조금만 더 주셔도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항상 행복하십시요.

  • 답변

    하기룡님의 답변

    PET의 Tg를 증가시키기는 많이 어렵기 때문에 기핵제를 첨가하는 것이 산업적으로 용이 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만일 Tg를 증가시키려면 어래와 같은 방법이 사용 가능 할 것 같습니다. 1. Backbone에 rigid 하면서 bulky한 구조 도입 예) 공중합의 경우 PEN의 원료인 2,6-NDA를 첨가. 보통 Tg는 두 폴리머의 몰비에 linear하게 올라가므로 예)PET의 Tg는 78 C , PEN의 Tg를 110 C 이면 공중합 비율에 의해 직선으로 Tg 증가. 2. 분자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에폭시 등의 가교제를 집어 넣는 방법. 3. 나노filler를 이용해서 PET와 충전제의 상호작용을 강하게 하는 방법, filler로는 organic-inorganic hybrid 물질을 사용하면, 투명하면서 가능성이 높을 것 같으며, 대표적으로 POSS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겠습니다.
    PET의 Tg를 증가시키기는 많이 어렵기 때문에 기핵제를 첨가하는 것이 산업적으로 용이 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만일 Tg를 증가시키려면 어래와 같은 방법이 사용 가능 할 것 같습니다. 1. Backbone에 rigid 하면서 bulky한 구조 도입 예) 공중합의 경우 PEN의 원료인 2,6-NDA를 첨가. 보통 Tg는 두 폴리머의 몰비에 linear하게 올라가므로 예)PET의 Tg는 78 C , PEN의 Tg를 110 C 이면 공중합 비율에 의해 직선으로 Tg 증가. 2. 분자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에폭시 등의 가교제를 집어 넣는 방법. 3. 나노filler를 이용해서 PET와 충전제의 상호작용을 강하게 하는 방법, filler로는 organic-inorganic hybrid 물질을 사용하면, 투명하면서 가능성이 높을 것 같으며, 대표적으로 POSS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겠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