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약물처리 실험 할 때 사용하는 버퍼를 알 수 있는 곳 추천 해주세요.

약물 실험 할 때, 어떤 버퍼를 사용하는지, 정보가 나와있는 사이트를 알고있신분 있으세요? 항생제나 어떤 약물을 병원에서 주사제로 사용할 때, PBS나 다른 특이 성분이 들어가야만 녹는 약물이 있잖아요. 혹시, 여러분들은ㅡ 제재를 이용한 CYTOTOXICITY 실험 할때 어떤 버퍼를 주로 사용해야 하는 지 아시는 분 !!! 알려주세요, 정보공유 합시다. ^^
  • Cytotoxicity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김상태님의 답변

    >약물 실험 할 때, > >어떤 버퍼를 사용하는지, 정보가 나와있는 사이트를 알고있신분 있으세요? > >항생제나 어떤 약물을 병원에서 주사제로 사용할 때, > >PBS나 다른 특이 성분이 들어가야만 녹는 약물이 있잖아요. > >혹시, 여러분들은ㅡ > >제재를 이용한 CYTOTOXICITY 실험 할때 어떤 버퍼를 주로 사용해야 하는 지 > >아시는 분 !!! 알려주세요, 정보공유 합시다. ^^ -PBS는 수용성일경우 불용성 약물인 항생제나 항암제는 DMSO로 고농도로 녹여서 희석하여 처리함 그리고 약물을 처리시 배양하는 배지에 첨가하여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임
    >약물 실험 할 때, > >어떤 버퍼를 사용하는지, 정보가 나와있는 사이트를 알고있신분 있으세요? > >항생제나 어떤 약물을 병원에서 주사제로 사용할 때, > >PBS나 다른 특이 성분이 들어가야만 녹는 약물이 있잖아요. > >혹시, 여러분들은ㅡ > >제재를 이용한 CYTOTOXICITY 실험 할때 어떤 버퍼를 주로 사용해야 하는 지 > >아시는 분 !!! 알려주세요, 정보공유 합시다. ^^ -PBS는 수용성일경우 불용성 약물인 항생제나 항암제는 DMSO로 고농도로 녹여서 희석하여 처리함 그리고 약물을 처리시 배양하는 배지에 첨가하여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임

    감사합니다 ^^ 어떤 약물에 대한 논문 읽다가 Hydrophobic한 물질 이라도 saturation 되는 임계점(?) 이 있다봤었습니다. Cell의 다른 물질 (ex/DMSO) Damage를 최소화 하면서 cytotoxicity 를 측정 하고 싶어서요. 답변 감사드립니다.

  • 답변

    이상열님의 답변

    질문내용을 구체적으로 잘 이해는 못 했지만 혹시 생체내 어떤 특이 물질을 주사후 그 효과나 영향을 추적하는 실험을 하실 계획이신가요? 그럴 경우는 어떤 것을 주사하느냐에 따라 다르고 주사하시고자 하는 물질의 정보를 어렵지 않게 구하실 수 있습니다. 또, cytotoxicity검사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답변을 원하시면 이메일 주시기 바랍니다.
    질문내용을 구체적으로 잘 이해는 못 했지만 혹시 생체내 어떤 특이 물질을 주사후 그 효과나 영향을 추적하는 실험을 하실 계획이신가요? 그럴 경우는 어떤 것을 주사하느냐에 따라 다르고 주사하시고자 하는 물질의 정보를 어렵지 않게 구하실 수 있습니다. 또, cytotoxicity검사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답변을 원하시면 이메일 주시기 바랍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상열님의 답변

    일반적인 세포 실험을 할때에는 PBS나 DMSO에 녹이지만 그건 일반적인 경우입니다. 어떤 실험을 하느냐에 따라 많이 달라 질 수 있습니다.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동물에 주사할 경우에는 피하주사, 복강주사, 경구투여등 여러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그러나 그 타겟 조직이 어디냐에 따라 방법이 달라 질수가 있습니다. DMSO 같은 경우는 그 자체가 독성이 있어서 stress나 inflammation 그리고 apoptosis에 영향을 줍니다. 따라서 잘 고려해야 합니다. DMSO는 농도에 따라 (0-5%)로 영향을 줍니다. 따라서 본 실험들어가기 전에 그 타겟 세포에 (0-5%)의 DMSO를 처리(배양액과 섞어서)하여 예비실험 할 것을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그것을 Positive control로 사용하시고 무처리군을 negative control 그리고 진짜 DMSO에 녹인 target reagent를 experiment group으로 사용해서 실험할 것을 추천드립니다.
    일반적인 세포 실험을 할때에는 PBS나 DMSO에 녹이지만 그건 일반적인 경우입니다. 어떤 실험을 하느냐에 따라 많이 달라 질 수 있습니다.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동물에 주사할 경우에는 피하주사, 복강주사, 경구투여등 여러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그러나 그 타겟 조직이 어디냐에 따라 방법이 달라 질수가 있습니다. DMSO 같은 경우는 그 자체가 독성이 있어서 stress나 inflammation 그리고 apoptosis에 영향을 줍니다. 따라서 잘 고려해야 합니다. DMSO는 농도에 따라 (0-5%)로 영향을 줍니다. 따라서 본 실험들어가기 전에 그 타겟 세포에 (0-5%)의 DMSO를 처리(배양액과 섞어서)하여 예비실험 할 것을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그것을 Positive control로 사용하시고 무처리군을 negative control 그리고 진짜 DMSO에 녹인 target reagent를 experiment group으로 사용해서 실험할 것을 추천드립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