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endothelial cell culture

human blood sample로 mononuclear cell을 isolation하여 endothelial progenitor cell(EPC)을 culture하였습니다. 각기 다른 사람의 sample에서 유래된 EPC를 섞어서 약물처리 후, migration이나 MTT assay을 해도 상관 없나요??? 면역반응이나 그런 것들이 일어나지 않는지~~
  • endothelial cell culture
  • EPC
  • blood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장성재님의 답변

    직접 분리하신 EPC에 대한 검증 작업 (고유 항원에 대한 immunostaining 등)을 확실하실 하셨다면 섞어서 실험을 하셔도 무방하겠습니다. 보통 한 가지 클론을 이용하여 실험을 하신 후에 이에 대한 확인 실험을 위해서 다른 개체에서 분리한 클론을 이용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동물 실험에서 N수가 중요하듯이 한 개체에서 분리한 것만 가지고 실험을 하신다면 개체 간의 오차가 존재할 수도 있으니 여러 개체에서 분리된 EPC로 확인을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human blood sample로 mononuclear cell을 isolation하여 endothelial progenitor cell(EPC)을 culture하였습니다. 각기 다른 사람의 sample에서 유래된 EPC를 섞어서 약물처리 후, migration이나 MTT assay을 해도 상관 없나요??? > >면역반응이나 그런 것들이 일어나지 않는지~~
    직접 분리하신 EPC에 대한 검증 작업 (고유 항원에 대한 immunostaining 등)을 확실하실 하셨다면 섞어서 실험을 하셔도 무방하겠습니다. 보통 한 가지 클론을 이용하여 실험을 하신 후에 이에 대한 확인 실험을 위해서 다른 개체에서 분리한 클론을 이용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동물 실험에서 N수가 중요하듯이 한 개체에서 분리한 것만 가지고 실험을 하신다면 개체 간의 오차가 존재할 수도 있으니 여러 개체에서 분리된 EPC로 확인을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human blood sample로 mononuclear cell을 isolation하여 endothelial progenitor cell(EPC)을 culture하였습니다. 각기 다른 사람의 sample에서 유래된 EPC를 섞어서 약물처리 후, migration이나 MTT assay을 해도 상관 없나요??? > >면역반응이나 그런 것들이 일어나지 않는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상열님의 답변

    제가 아는 한도내에 말씀드리겠습니다. 사람의 혈액의 조성이나 생화학적 생리학적 기작이 성별이나 나이 질병 유무에 따라 많이 다릅니다. 따라서 추출 후 섞었을 경우 거기에서 나오는 데이타가 어떤 식의 영향을 받았는지 모르게 됩니다. 따라서 각각의 혈액에서 각각의 세포를 culture한 다음 실험하실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특히 MTT assay나 migration 같은 경우 더더욱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혹시 더 자료가 필요하시면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제가 아는 한도내에 말씀드리겠습니다. 사람의 혈액의 조성이나 생화학적 생리학적 기작이 성별이나 나이 질병 유무에 따라 많이 다릅니다. 따라서 추출 후 섞었을 경우 거기에서 나오는 데이타가 어떤 식의 영향을 받았는지 모르게 됩니다. 따라서 각각의 혈액에서 각각의 세포를 culture한 다음 실험하실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특히 MTT assay나 migration 같은 경우 더더욱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혹시 더 자료가 필요하시면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