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단백질의 발현률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E.coli에 IGF란 단백질을 재조합해서 발현시키는 도중에 궁금한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carbon의 재료로 Glycerol과 Glucose를 쓴다고 하는데 Glucose를 쓰면 발현률이 떨어진다는 논문이 있더라고요 그래서 IGF에는 Glycerol을 쓴다고 하는데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Cell특성상 그러한 특성을 갖는건가요 아님 다른 이유가 있는건가요. 혹시 관련된 논문 가지고 있으신것이 있으시면 같이 올려주시면 매우 감사하겠습니다. Cell은 BL21과 Rosetta를 쓰고있습니다.
  • glycerol
  • glucose
  • IGF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이상열님의 답변

    일반적으로 하는 단백질 발현을 증폭시키려고 하는 전형적인 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생각되어 집니다. 여기서 말하는 IGF란 insulin growth factor 1을 말하는 거 같은데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하여튼 이 IGF는 insulin과 구조적으로 비슷합니다. 그리고 이 IGF는 glucose대사와 관련이 있습니다. 즉, 생체내에서 IGF와 glucose 는 negative feed back mechanism 관계에 있습니다. IGF가 높은 glucose량을 적정하게 줄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여기서 착안해서 energy source로 glucosef를 이용했습니다. 그런데 2000년에 DR. Lee가 glycerol을 이용하여 더 좋은 효율을 보았다는 논문이 있습니다. 이 glycerol은 생체내에서 특히 간에서 glucose로 convert됩니다. 여기서 착안해서 glycerol를 energy source로 이용했습니다. 즉, IGF에 관련성은 적고 IGF 생산에는 보다 효율적이다 라는 결론을 도출한 것이죠. 그래서 glycerol이 glucose보다 IGF생산에 보다 안정적으로 그리고 효율적으로 작용한다고 볼수 있습니다. 참고 문헌을 보내 드립니다. 읽어보시고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화이팅하십시요...
    일반적으로 하는 단백질 발현을 증폭시키려고 하는 전형적인 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생각되어 집니다. 여기서 말하는 IGF란 insulin growth factor 1을 말하는 거 같은데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하여튼 이 IGF는 insulin과 구조적으로 비슷합니다. 그리고 이 IGF는 glucose대사와 관련이 있습니다. 즉, 생체내에서 IGF와 glucose 는 negative feed back mechanism 관계에 있습니다. IGF가 높은 glucose량을 적정하게 줄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여기서 착안해서 energy source로 glucosef를 이용했습니다. 그런데 2000년에 DR. Lee가 glycerol을 이용하여 더 좋은 효율을 보았다는 논문이 있습니다. 이 glycerol은 생체내에서 특히 간에서 glucose로 convert됩니다. 여기서 착안해서 glycerol를 energy source로 이용했습니다. 즉, IGF에 관련성은 적고 IGF 생산에는 보다 효율적이다 라는 결론을 도출한 것이죠. 그래서 glycerol이 glucose보다 IGF생산에 보다 안정적으로 그리고 효율적으로 작용한다고 볼수 있습니다. 참고 문헌을 보내 드립니다. 읽어보시고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화이팅하십시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