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5-18
org.kosen.entty.User@56b060f0
정윤석(tjrvtjr)
- 1
bcs class 내용중에 bcs 1,2,3,4 가 있는데 각각에 해당되는 특징에 관련하여
일반적인 해결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예를 들어 bcs 2는 투과도는 좋으나 용해도가
낮아서 용해도를 높이는 기술, 즉 solid dispersion 같은 기술이 있는데
그러한 기술들을 알고 싶고 참고 할 만한 서적도 알고 싶습니다.
- bcs class
- 제제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손재운님의 답변
2011-05-20- 2
>bcs class 내용중에 bcs 1,2,3,4 가 있는데 각각에 해당되는 특징에 관련하여 > >일반적인 해결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예를 들어 bcs 2는 투과도는 좋으나 용해도가 > >낮아서 용해도를 높이는 기술, 즉 solid dispersion 같은 기술이 있는데 > >그러한 기술들을 알고 싶고 참고 할 만한 서적도 알고 싶습니다. BCS는 고든 박사가 분류해놓은 것이죠. 용해도와 투과도로 4가지로 나뉘는 것이고. 대부분 용해도와 투과도가 좋은 1으로 가길 원하죠. BA를 높였다는 기술은 대부분 언급하신대로 가용화하여 용해도를 높인것이고 실지 투과도를 높이는 기술은 별로 없습니다. 참고할 서적 보다는 특허를 검색해서 보심이 현업에 도움이 많이 될것입니다. 대부분의 가용화는 용해도가 높은 pH로의 이용을 하도록 산이나 염기를 부가하는 것 또는 고체분산체처럼 입자 사이즈를 적게 하는 효과와 같이 표면적을 넓히는 기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