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5-26
org.kosen.entty.User@390bcfae
조일재(ilsungsky)
- 2
제가 aflatoxin을 면역화 시키기 위해서 carrier protein BSA와 KLH에 conjugation을 시키려고 하는데요. 방법은 glutaraldehyde를 사용해서 결합을 시키려고 합니다.
그런데 glutaraldehyde의 가교는 NH2와 NH2를 결합시키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aflatoxin을 변형시켜야 한다고 하는데...
변형 안시키고 그냥 conjugation을 시켜도 될까요?
물론 이론상 안되는데 변형 안시키고 conjugation 시켰을때 SDS-PAGE 결과 본래의 BSA와 KLH의 사이즈에서 위아래로 쭉 끌리게 나왔습니다. conjugation 방법에서 glutaraldehyde와 반응시킨후 glycine을 넣어 주던데 그것때문인지가 궁금하구요. 노랗게 변하는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선배님들의 조언이 필요합니다.
- 면역화
- carrier protein
- conjugatio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장성재님의 답변
2011-05-26- 3
매우 고전적인 방법을 사용하시는 것 같습니다. glutaraldehyde 보다 효율이 좋은 다른 방법들 및 관련 kits가 많이 시판되고 있으니 원리를 잘 이해하신 후에 사용하시길 권합니다. 물론 aflatoxin 관련 BSA 등의 conjugation을 실시한 논문 등도 있으니 검색하셔서 참고로 사용하신다면 좋겠지요. glycine을 첨가하는 이유는 solubility를 높히기 위한 것입니다. glutaraldehyde conjugation 방법과 Maleimide Activated BSA, KLH Conjugation Kit 자료를 첨부합니다. >제가 aflatoxin을 면역화 시키기 위해서 carrier protein BSA와 KLH에 conjugation을 시키려고 하는데요. 방법은 glutaraldehyde를 사용해서 결합을 시키려고 합니다. > 그런데 glutaraldehyde의 가교는 NH2와 NH2를 결합시키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aflatoxin을 변형시켜야 한다고 하는데... > 변형 안시키고 그냥 conjugation을 시켜도 될까요? > 물론 이론상 안되는데 변형 안시키고 conjugation 시켰을때 SDS-PAGE 결과 본래의 BSA와 KLH의 사이즈에서 위아래로 쭉 끌리게 나왔습니다. conjugation 방법에서 glutaraldehyde와 반응시킨후 glycine을 넣어 주던데 그것때문인지가 궁금하구요. 노랗게 변하는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 선배님들의 조언이 필요합니다. -
답변
김상태님의 답변
2011-06-14- 0
>제가 aflatoxin을 면역화 시키기 위해서 carrier protein BSA와 KLH에 conjugation을 시키려고 하는데요. 방법은 glutaraldehyde를 사용해서 결합을 시키려고 합니다. > 그런데 glutaraldehyde의 가교는 NH2와 NH2를 결합시키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aflatoxin을 변형시켜야 한다고 하는데... > 변형 안시키고 그냥 conjugation을 시켜도 될까요? > 물론 이론상 안되는데 변형 안시키고 conjugation 시켰을때 SDS-PAGE 결과 본래의 BSA와 KLH의 사이즈에서 위아래로 쭉 끌리게 나왔습니다. conjugation 방법에서 glutaraldehyde와 반응시킨후 glycine을 넣어 주던데 그것때문인지가 궁금하구요. 노랗게 변하는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 선배님들의 조언이 필요합니다. 아프라톡신은 화학적으로 O=기능기가 잇어 OH로 전환하여야 함 EDC,NH2와 반응시키기 위해 변형시켜 결합하면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