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표면 거칠기 Ra값에 대해...

첨부파일


SiC #150으로 연마한 알루미나 시편의 Ra=6000A라고 나오고 9마이크로로 연마한것이 Ra=1600A 로 나왔습니다. 그런데 이 값이 의미하는 6000A,1600A 가 몇 마이크론인지 모르겠습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 거칠기
  • 표면
  • Ra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변성천님의 답변

    Ra는 평균편차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Rq(RMS)는 표준편차라는 용어를 사용하고요. 그런데, 용어를 찾아보면 표현이 약간씩 다르더군요. 하지만, 일단 이 두 용어는 거칠기를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Ra = 6000A 는 600nm을 의미하는 것 같군요. 아마도 옴스트롱을 사용할 수 없어서 그냥 A라는 문자를 사용하것이고요. 보통 데이터를 표현할때, 스케일바가 같이 있습니다. 수평축 스케일바는 0.2mm로, 수직축 스케일바는 1um으로 표시되어 있더군요. 이 스케일바를 기준으로 한다면 대략 Ra는 600nm 임을 알 수 있습니다. 저는 프로파일러 데이터는 보지 못했지만, AFM(원자힘현미경)에는 섹션이라고 해서 프로파일러와 같은 데이터가 나옵니다. >SiC #150으로 연마한 알루미나 시편의 Ra=6000A라고 나오고 >9마이크로로 연마한것이 Ra=1600A 로 나왔습니다. > >그런데 이 값이 의미하는 6000A,1600A 가 몇 마이크론인지 모르겠습니다. > >조언 부탁드립니다!^^
    Ra는 평균편차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Rq(RMS)는 표준편차라는 용어를 사용하고요. 그런데, 용어를 찾아보면 표현이 약간씩 다르더군요. 하지만, 일단 이 두 용어는 거칠기를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Ra = 6000A 는 600nm을 의미하는 것 같군요. 아마도 옴스트롱을 사용할 수 없어서 그냥 A라는 문자를 사용하것이고요. 보통 데이터를 표현할때, 스케일바가 같이 있습니다. 수평축 스케일바는 0.2mm로, 수직축 스케일바는 1um으로 표시되어 있더군요. 이 스케일바를 기준으로 한다면 대략 Ra는 600nm 임을 알 수 있습니다. 저는 프로파일러 데이터는 보지 못했지만, AFM(원자힘현미경)에는 섹션이라고 해서 프로파일러와 같은 데이터가 나옵니다. >SiC #150으로 연마한 알루미나 시편의 Ra=6000A라고 나오고 >9마이크로로 연마한것이 Ra=1600A 로 나왔습니다. > >그런데 이 값이 의미하는 6000A,1600A 가 몇 마이크론인지 모르겠습니다. >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rg1000 님^^많은 도움되었습니다.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다음 링크를 참고하세요 http://connect.rrc.ca/Instructors/lfainstein/leonf/reports/Bourget%20(SurfaceFinish_Report)/SurfaceFinish_Report.doc
    다음 링크를 참고하세요 http://connect.rrc.ca/Instructors/lfainstein/leonf/reports/Bourget%20(SurfaceFinish_Report)/SurfaceFinish_Report.doc

    감사합니다!^^ 그런데 제가 읽어봐도 잘 모르겠네요 ㅠ Ra에 대한 설명은 잘 나와있지만 제가 원하는 답은 없는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