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6-03
org.kosen.entty.User@527b2c5a
김동원(woniii3535)
- 1
첨부파일
두 종류의 비슷한 용도로 사용되는 PET chip 이 있습니다.
그림을 올리수가 없어 파일을 첨부하였습니다.
두 샘플을 동일하게 2nd step 까지 분석을 실시하였는데, 한 sample 은 1st peak 에서 Tm 밖에 나타나지 않았고 2nd peak 에서 Tg, Tc 까지 관찰이 되었습니다. 다른 샘플은 1st, 2nd 모두 Tg, Tc, Tm 이 관찰되는데요.
중합 후, 토출하는 공정에서는 크게 차이를 나타내지 않는데요, 한 샘플이 1st peak 에서 Tg 와 Tc 를 보이지 않는것은 무엇때문인지 아시는 분 계시면 좀 알려주십시요.
중합 후, 토출될 때 고화되는 속도의 차이에 기인하여, 급격히 고화가 진행되어 나타나지 않는 것일까요. 아시는 분이 계시면 자세히 설명한번 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DSC
- Tg
- Tm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최규석님의 답변
2011-06-14- 0
이거 픽을 보아하니 팬 터졌지 싶은데... 발열픽 그거 분해가 일어나도 나오거든요. 결정화는 일반적으로 냉각곡선에서만 나옵니다.(특수한 경우 제외) 근데 pet 칩은 제가 찍어봐서 아는데 승온중에 결정화 안일어나요. 200도 넘어가면 분해 시작하거등요. 백빵 오염됫심김동원(woniii3535) 2011-06-14승온중에 결정화피크 나타납니다ㅡㅡ;; 그리고 380도에서 분해 시작합니다. TGA는 찍어보셨는지요.. 찍어봐서 아신다면 전 1000번도 더찍어 봤습니다.
김동원(woniii3535) 2011-06-14승온중에 결정화피크 나타납니다ㅡㅡ;; 그리고 380도에서 분해 시작합니다. TGA는 찍어보셨는지요.. 찍어봐서 아신다면 전 1000번도 더찍어 봤습니다.
승온중에 결정화피크 나타납니다ㅡㅡ;; 그리고 380도에서 분해 시작합니다. TGA는 찍어보셨는지요.. 찍어봐서 아신다면 전 1000번도 더찍어 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