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6-10
org.kosen.entty.User@16ad5ecc
나용호(goodman17)
- 4
미생물 실험에 대해 잘 모르기에 질문드립니다.
실험을 위해 배양한 대장균, 황색포도상균, 폐렴균등을
1/500NB를 이용하여 희석하여 6 × 10^5 cell/mL이 되도록 하여 시험 접종 용액으로 사용하라고 되어있는데;
이경우 균수를 어떤 방식으로 측정해야하는건가요?
나중에 결과를 내는부분에서는 평판배양법으로 계수한다고 되어있는데
여기서는 실험 직전이라 배양하여 사용하는것은 아닐거 같고..
조금 찾아보니 헤파토미터?등등을 사용한다고 되어있는데;
그건 없는듯하고요.. (기기 목록에 없습니다 ㅠㅠ)
실험실을 찾아보니 현미경(올림푸스-CK40, DW-THN)을 이용해서 세균수를 측정했다하네요;
그런데 자세한자료가 없어 고민중입니다 ㅠㅠ
도움 부탁드립니다.
- 균수
- 측정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박수제님의 답변
2011-06-10- 0
평판배양법은 지금 하셔도 됩니다. 물론 시간이 좀 걸리는 단점이 있는데요. 그래서 언급하신 hematocytometer를 이용하셔서 세포수를 계수하시면 됩니다. 이게 정확하죠.. 혹은 현미경으로 적절한 희석을 통하여 직접 눈으로 보시면서 계수를 하셔도 되는데요. 이 때에는 현미경 접안랜즈 쪽에 그리드가 있을 껀데요.. 그걸 이용하셔도 됩니다. >미생물 실험에 대해 잘 모르기에 질문드립니다. > >실험을 위해 배양한 대장균, 황색포도상균, 폐렴균등을 >1/500NB를 이용하여 희석하여 6 × 10^5 cell/mL이 되도록 하여 시험 접종 용액으로 사용하라고 되어있는데; >이경우 균수를 어떤 방식으로 측정해야하는건가요? > >나중에 결과를 내는부분에서는 평판배양법으로 계수한다고 되어있는데 >여기서는 실험 직전이라 배양하여 사용하는것은 아닐거 같고.. > >조금 찾아보니 헤파토미터?등등을 사용한다고 되어있는데; >그건 없는듯하고요.. (기기 목록에 없습니다 ㅠㅠ) > >실험실을 찾아보니 현미경(올림푸스-CK40, DW-THN)을 이용해서 세균수를 측정했다하네요; >그런데 자세한자료가 없어 고민중입니다 ㅠㅠ > > >도움 부탁드립니다. -
답변
유용규님의 답변
2011-06-10- 0
접종농도를 맞추실때는 저의 경우를 말씀드리면 흡광도와 평판배양법간의 관계식을 만들어서 사용합니다. 그렇게 해서 균 수가 6x 10^5cells/ml이 되는 흡광도값을 구해서 적용시키면 잘 맞아들어갑니다. 제 생각으로는 평판배양법으로 하실꺼면 그방법으로 계속 하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hemacytometer를 이용하는 방법과 혼용할 경우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평판배양법은 CFU를 전제로 하기때문에 직접 현미경으로 계수하는 것과는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미생물 실험에 대해 잘 모르기에 질문드립니다. > >실험을 위해 배양한 대장균, 황색포도상균, 폐렴균등을 >1/500NB를 이용하여 희석하여 6 × 10^5 cell/mL이 되도록 하여 시험 접종 용액으로 사용하라고 되어있는데; >이경우 균수를 어떤 방식으로 측정해야하는건가요? > >나중에 결과를 내는부분에서는 평판배양법으로 계수한다고 되어있는데 >여기서는 실험 직전이라 배양하여 사용하는것은 아닐거 같고.. > >조금 찾아보니 헤파토미터?등등을 사용한다고 되어있는데; >그건 없는듯하고요.. (기기 목록에 없습니다 ㅠㅠ) > >실험실을 찾아보니 현미경(올림푸스-CK40, DW-THN)을 이용해서 세균수를 측정했다하네요; >그런데 자세한자료가 없어 고민중입니다 ㅠㅠ > > >도움 부탁드립니다. -
답변
이정화님의 답변
2011-06-10- 0
>미생물 실험에 대해 잘 모르기에 질문드립니다. > >실험을 위해 배양한 대장균, 황색포도상균, 폐렴균등을 >1/500NB를 이용하여 희석하여 6 × 10^5 cell/mL이 되도록 하여 시험 접종 용액으로 사용하라고 되어있는데; >이경우 균수를 어떤 방식으로 측정해야하는건가요? > >나중에 결과를 내는부분에서는 평판배양법으로 계수한다고 되어있는데 >여기서는 실험 직전이라 배양하여 사용하는것은 아닐거 같고.. > >조금 찾아보니 헤파토미터?등등을 사용한다고 되어있는데; >그건 없는듯하고요.. (기기 목록에 없습니다 ㅠㅠ) > >실험실을 찾아보니 현미경(올림푸스-CK40, DW-THN)을 이용해서 세균수를 측정했다하네요; >그런데 자세한자료가 없어 고민중입니다 ㅠㅠ > > >도움 부탁드립니다.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대장균, 황색포도상균, 폐렴균 등 일반 배지에 serial dilution 10배씩...하셔서 콜로니 카운팅을 하신다음 희석배율을 곱하시면 됩니다. 희석하실때 5ml autoclaved PBS 에 하시고, 최대한 mix를 잘 해주셔야 됩니다. 콜로니 수가 너무 많으면 카운팅 하시기 힘드니깐 희석배율을 많이 높여서 다양한 범위로 만드시길 바랍니다. -
답변
김상태님의 답변
2011-06-14- 0
>미생물 실험에 대해 잘 모르기에 질문드립니다. > >실험을 위해 배양한 대장균, 황색포도상균, 폐렴균등을 >1/500NB를 이용하여 희석하여 6 × 10^5 cell/mL이 되도록 하여 시험 접종 용액으로 사용하라고 되어있는데; >이경우 균수를 어떤 방식으로 측정해야하는건가요? > >나중에 결과를 내는부분에서는 평판배양법으로 계수한다고 되어있는데 >여기서는 실험 직전이라 배양하여 사용하는것은 아닐거 같고.. 균총수를 측정하는 방법도 잇고 균수를 희석하여 UV스펙에서 OD를 측정하여 분석하기도 함 > >조금 찾아보니 헤파토미터?등등을 사용한다고 되어있는데; >그건 없는듯하고요.. (기기 목록에 없습니다 ㅠㅠ) > >실험실을 찾아보니 현미경(올림푸스-CK40, DW-THN)을 이용해서 세균수를 측정했다하네요; >그런데 자세한자료가 없어 고민중입니다 ㅠㅠ > > >도움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