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6-15
org.kosen.entty.User@4ff2853c
신정원(shinarago)
- 3
저희가 쓰는 flavonoid 성분은 Baicalein, kaempferol, Luteolin입니다. DMSO 나 메탄올 혹은 에탄올등에 녹이게 되어 있는데요..DMSO나 메탄올등에 녹여서 mouse 복강에 주입했더니, 자꾸 죽습니다..그래서 DMSO나 메탄올의 %를 낮추었더니, 녹았던 lavonoid성분이 다시 용출이 되어서요..혹시 관련실험 해보신분..이들 flavonoid를 어떻게 녹여써야 할까요?
아시는 분..꼭 답변 부탁드립니다!
- flavonoid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2011-06-16- 2
언급하신 flavonoid 성분들은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은 물질들 입니다. DMSO나 Methanol에 대한 용해도는 어느 정도 있지만 메탄올은 독성이 매우 강하므로 실험동물이 죽는 것은 당연한 결과겠지만 투여 농도를 높게 설정했기 때문에 불가피한 선택을 하신것이 아닌가 싶네요. 화학적으로 보면 폴리페놀류라고 분류할 수 있겠습니다. 페놀류 화합물의 경우 수용액의 pH가 상승하면 용해도가 증가됩니다. phenolic OH기의 영향 때문이죠. 때문에 염기성 수용액을 사용하시면 어떨까하는 생각이 듭니다. 주사제 형태의 세파계 항생제의 경우 Na2CO3 또는 NaHCO3를 항생제와 함께 혼합해놓은 제품이 있습니다. 사용전에 여기에 주사용수를 주입해서 녹인 다음 투여를 하죠. 세파계 항생제의 경우엔 카볼실산기(COOH)와 염기를 반응시켜서 용해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지만 플라보노이드의 페놀기도 organic acid 이므로 비슷한 원리를 적용할 수 있을리라 생각합니다. 페놀류의 특징은 염기성 pH 영역에서 phenolate가 형성되면 용액이 붉은색 계열의 색깔을 나타낸다는 것입니다. 색깔이 변한다고 놀라진 마시길.... 참고로 각 물질의 용해도 정보를 조금 언급해드리겠습니다. 참고가 되실 겁니다. Luteolin:Soluble to 5 mM in 1eq. NaOH and to 50 mM in DMSO Kaempferol:Soluble to 100 mM in DMSO and to 100 mM in ethanol Baicalein:Soluble to 50 mM in DMSO Baicalein, kaempferol, Luteolin입니다. DMSO 나 메탄올 혹은 에탄올등에 녹이게 되어 있는데요..DMSO나 메탄올등에 녹여서 mouse 복강에 주입했더니, 자꾸 죽습니다..그래서 DMSO나 메탄올의 %를 낮추었더니, 녹았던 lavonoid성분이 다시 용출이 되어서요..혹시 관련실험 해보신분..이들 flavonoid를 어떻게 녹여써야 할까요? > >아시는 분..꼭 답변 부탁드립니다! -
답변
장성재님의 답변
2011-06-15- 0
메탄올은 독성이 강하므로 동물실험용 용매로 사용하시면 안될 겁니다. DMSO의 경우는 50% (4.5 mL I.P injection 5 days per week during 3 weeks)까지는 큰 독성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참고문헌: General Pharmacology: The Vascular System. Volume 26, Issue 6, October 1995, Pages 1403-1407> 언급하신 3가지 flavonoids는 DMSO에 녹이신 후 사용하시길 권장드립니다. >저희가 쓰는 flavonoid 성분은 Baicalein, kaempferol, Luteolin입니다. DMSO 나 메탄올 혹은 에탄올등에 녹이게 되어 있는데요..DMSO나 메탄올등에 녹여서 mouse 복강에 주입했더니, 자꾸 죽습니다..그래서 DMSO나 메탄올의 %를 낮추었더니, 녹았던 lavonoid성분이 다시 용출이 되어서요..혹시 관련실험 해보신분..이들 flavonoid를 어떻게 녹여써야 할까요? > >아시는 분..꼭 답변 부탁드립니다!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2011-06-16- 0
ip injection으로 실험한 예 하나를 첨부해 드립니다. 링크를 통해 다운받으시길.. British Journal of Pharmacology (2008) 153, 1382?1387 http://www.mastcellmaster.com/documents/Flavonoids/Niacin,-luteolin-BJP.pdf
잘 모르던 지식을 님 덕분에 알았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