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6-15
org.kosen.entty.User@63e29b78
나용호(goodman17)
- 1
정말 하나도 모르는 타 전공자입니다.
회사 입사후 갑자기 선임자 없이 실험을 하게 되었네요.. 에효;;
미생물 실험에 대해 잘 모르기에 질문드립니다.
실험을 위해 배양한 대장균, 황색포도상균, 폐렴균등을
1/500NB를 이용하여 희석하여 6 × 10^5 cell/mL이 되도록 하여 시험 접종 용액으로 사용하라고 되어있는데;
이경우 균수를 어떤 방식으로 측정해야하는건가요?
나중에 결과를 내는부분에서는 평판배양법으로 계수한다고 되어있고요
1. 처음 균을 배양할때 고체균을 소량 떼어 3mL broth에 넣어 배양하고 다음날 100uL를 이용하여 다시 3mL의 broth에 넣어 다시 하루 배야합니다. 이 과정을 한번 더 반복하여 3일차 3mL broth를 이용하는데;;;;; 이 시료의 균수를 측정해야 합니다..
2. 전 직원에게 물어봤는데 1.에서 배양한 broth 배지를 평판배지법을 이용해서 CFU를 측정한다고 하는데 전혀 자료가 없네요 ㅠㅠ
3. 여기서 나온 3mL의 broth를 평판배지법으로 계수하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몇 uL를 따서 무슨용액으로 희석하는지.. 보통 몇배 희석하는지..
4. 희석한 용액을 몇 uL따서 실험에 이용하는지.. 배지는 굳기전의 배지를 이용하여 pour count? 해야하는지 아니면 굳은 배지에서 spread해서 키워야하는지 궁금합니다 ㅠㅠ.
정말 아무것도 모르기에 도움 부탁드립니다.
- 콜로니
- 계수
- 미생물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장성재님의 답변
2011-06-15- 0
다음의 웹사이트 자료를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분광법과 콜로니 계수법을 이용하여 세균수를 비교 정량화하는 방법이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실험법을 참고하여 직접 실험을 해보시길 바랍니다. http://www.kmac.to/kor/ds4_3_1.html?db=board3&no=9&c=view&page=1&SK=&SN=&kind3=&fNum= 주의: 위 웹사이트에서 희석 시에 나온 "10-5, 10-7, 10-9으로 희석한다"는 내용은 각각 1/100,000, 1/10,000,000, 1/1,000,000,000 으로 희석한다는 내용입니다. >정말 하나도 모르는 타 전공자입니다. > >회사 입사후 갑자기 선임자 없이 실험을 하게 되었네요.. 에효;; > >미생물 실험에 대해 잘 모르기에 질문드립니다. > >실험을 위해 배양한 대장균, 황색포도상균, 폐렴균등을 >1/500NB를 이용하여 희석하여 6 × 10^5 cell/mL이 되도록 하여 시험 접종 용액으로 사용하라고 되어있는데; >이경우 균수를 어떤 방식으로 측정해야하는건가요? >나중에 결과를 내는부분에서는 평판배양법으로 계수한다고 되어있고요 > >1. 처음 균을 배양할때 고체균을 소량 떼어 3mL broth에 넣어 배양하고 다음날 100uL를 이용하여 다시 3mL의 broth에 넣어 다시 하루 배야합니다. 이 과정을 한번 더 반복하여 3일차 3mL broth를 이용하는데;;;;; 이 시료의 균수를 측정해야 합니다.. > >2. 전 직원에게 물어봤는데 1.에서 배양한 broth 배지를 평판배지법을 이용해서 CFU를 측정한다고 하는데 전혀 자료가 없네요 ㅠㅠ > >3. 여기서 나온 3mL의 broth를 평판배지법으로 계수하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몇 uL를 따서 무슨용액으로 희석하는지.. 보통 몇배 희석하는지.. > >4. 희석한 용액을 몇 uL따서 실험에 이용하는지.. 배지는 굳기전의 배지를 이용하여 pour count? 해야하는지 아니면 굳은 배지에서 spread해서 키워야하는지 궁금합니다 ㅠㅠ. > > >정말 아무것도 모르기에 도움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