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6-22
org.kosen.entty.User@361aadfa
이수환(nasarang08)
- 1
안녕하세요?
GC 분석시 Polar와 Non-polar의 대표적인 컬럼을 문의 드립니다.
일반적으로 FID로 분석시 입니다.
크로마토그래피 지식이 부족하여 아래내용도 질문드립니다.
-> Polar컬럼사용 : Polar한 물질이 RT상 나중에 나옴
-> Non-polar컬럼사용 : Non-polar한 물질이 RT상 나중에 나옴
컬럼 극성과 비극성 선택의 핵심포인트가 무엇인지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 GC
- COLUMN
- POLAR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2011-06-22- 0
GC 분석컬럼의 선택기준이 무엇인지 궁금하신가 봅니다. 한마디로 말씀드리면 선택기준은 '검체' 즉 analyte의 극성에 따라 선택하는 것이 정석 입니다. 극성 물질을 분석할 땐 극성 컬럼을 사용하는 것이 성분간 분리도를 높이는데 좀 더 유리하고, 비극성 물질을 분석할 땐 비극성 컬럼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 합니다. 이는 분석대상 물질과 고정상 사이에 상화작용이 증가되기 때문 이라고 이해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유명 연예인과 매니저 그리고 연애인의 코디가 명동 번화가를 빠져나가는 상황을 생각해보죠. 연예인과 매니저는 명동이 초행이고, 코디는 친구들과 명동을 자주 찾는 사람이라고 해보죠. 3사람이 동시에 명동 한 쪽 끝에서 출발해서 반때 쪽 끝자자락에 위치한 차량까지 각자 간다면 누가 제일 먼저 도착할까요? 아마도 매니저, 코디, 유명연예인 순일 겁니다. 매니저는 초행이고 유명인도 아니니까 쉽게 차량까지 갈수 있겠지만 연예인은 사람들의 주목과 관심 때문에 어쩌면 팬들에게 둘러싸여 옴짝달싹 못할지도 모르죠. 반면 코디는 친구들과 자주 가던 곳이라 길은 잘 알겠지만 관심가는 곳도 많고 친한 친구를 만나 차도 한잔 할 수 있을지 모르겠죠. 요점은 세사람이 분명 명동을 통과하는데 있어 여러가지 이유로 시간 차이가 생긴다는 겁니다. 어떤 물질이 분석컬럼을 통과할 때도 이유는 다르지만 고정상과의 상호작용의 차이 때문에 분리가 일어난다는 말입니다. 일반적으로 성질이 비슷하면 상호작용이 서로 강합니다. 사람들이 사귀는 친구들을 보면 서로 관심사나 성격이 비슷하듯이 말입니다.때문에 극성물질들을 분리하려면 극성 고정상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비극성물질의 경우도 이해가 되시죠. GC에서 비극성 컬럼이라고 하면 디메틸폴리실록산 컬럼입니다. 선택성이나 극성을 조절하기 위해 메틸 대신 페닐 또는 시아노프로필 등이 치환된 것들도 있죠. 석유화학제품 같은 탄화수소류의 경우 이 컬럼으로 많이 분석합니다. 극성컬럼은 Wax나 PEG계열이 있습니다. 컬럼이름에 Wax라는 이름이 들어가 있으면 극성컬럼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알콜류나 알데히드 같은 극성물질의 경우 이 컬럼으로 많이 분석합니다. GC컬럼 카다로그에 보시면 분석예가 많이 나와 있습니다. 한번 찾아 보시길...
조언에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