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안녕하세요
집합조직에 대한 질문입니다.
재료과학이나 몇몇 책들에선 많은 내용이 안나와있거더군요.
1. 몇몇 공정을 통해 나타나는 현상이다.
2. 면지수등을 한방향으로 배열시켜 다결정에서도 이방성을 나타낼수 있다.
이 정도 설명만 나와 있었습니다.
집합조직만을 다룬 책이 아니더라도
집합조직에 대해 좀 자세히 나온 책이나 논문좀 추천해 주세요.
- 집합조직
- 가공성
- 공정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
답변
김동익님의 답변
2011-07-28- 0
첨부파일
집합조직에 대해 설명을 잘 해주실 분들이 더 많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제가 아는 범위에서 우선 말씀을 드립니다.
우선 결정립, 단결정, 다결정의 개념은 알고 계시리라고 생각합니다.
집합조직은 기본적으로 다결정 재료에서 시편, 또는 제품을 기준으로 정의되는 개념입니다.
여러개의 결정립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제품이 있다고 가정합니다.
이 제품은 제품을 만드는 방법(녹여서 일정틀에 찍어서 만드는 방법, 압연을 통해 판재 모양으로 만드는 방법, 압출 등을 통해 원통형으로 만드는 방법 등)에 따라 제품을 구성하는 결정립들이 제품 내에서 배열되는 양상이 달라지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녹여서 만드는 방법은 특정한 방향으로 배열되지 않고 다소 random한 분포를 지니며, 압연법에 의해 만들어진 재료는 결정립들의 (111) 방향이 제품의 판재면의 수직 방향과 평행하게 주로 배치되며, 압출법에 의해 만들어진 재료는 결정립들의 (111), (100) 방향이 압출 방향과 평행하게 주로 배치되는 방식으로 만들어집니다.
이렇게 결정립들의 특정 방향이 제품의 특정 방향과 일정한 관계를 갖도록 주로 배열되는 것을 '집합조직이 발달했다' 고 말을 하며, random한 분포를 갖게 되면 '집합조직이 발달하지 않았다' 라고 이야기를 하게 됩니다.
이러한 결정립들의 배열은 제품을 이루고 있는 재료, 만드는 공정 (변형, 열처리등)에 따라 크게 달라지게되며, 이렇게 제품의 집합조직을 제어하는 것에 따라 제품의 물성이 달라지게 됩니다.
일례로 철강재료에서는 집합조직을 제어하여 자기적 특성을 개선한 전기강판은 집합조직이 제어되지 않은 일반 제품에 비해 4~5배 이상의 가격으로 판매되기도 합니다.
더 자세한 공부를 원하시면 국내에 계신 분이라면 최근에 출판된
박노진, 정효태 저 '집합조직해석', 홍릉과학출판사 (2011)을 참조하시고,
외국에 계신 분이라면
Valerie Randle & Olaf Engler 의 ' Introduction to Texture Analysis (Macrotexture, Microtexture & Orientation mapping)', Gordon and Breach Science Publishers (2000)을 참조하시면 될 듯 싶습니다.
수고하십시오.
-------------------------------------질문-------------------------------------
안녕하세요
집합조직에 대한 질문입니다.
재료과학이나 몇몇 책들에선 많은 내용이 안나와있거더군요.
1. 몇몇 공정을 통해 나타나는 현상이다.
2. 면지수등을 한방향으로 배열시켜 다결정에서도 이방성을 나타낼수 있다.
이 정도 설명만 나와 있었습니다.
집합조직만을 다룬 책이 아니더라도
집합조직에 대해 좀 자세히 나온 책이나 논문좀 추천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