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과산화수소가 미생물에 영향을 미칠까요?

안녕하세요.


 


문의 드릴것이 있어서요.


 


저는 수처리 분야에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과산화수소를 이용하여 수처리를 진행하고 있으며, 거기에 대한 자료를 찾고 있는 중입니다.


 


수처리 후, 잔여 과산화수소가 미생물에 영향을 미친다는 논문이나 책을 알고 계신 분은 추천 좀 해 주십시오.


 


과산화수소와 미생물의 관계에 대해서요..부탁드립니다.


 


근데 이것이 환경보건 쪽이 맞나요??

  • 과산화수소
  • 미생물
  • 수처리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황필기님의 답변

    (1) H2O2를 이용하여 수처리를 하신다면, 아마도 고도산화공정(AOPs)에 포함되리라 봅니다. 기존 수처리에서 소독공정에 많이 사용하였던 것이 염소, 오존, UV 등 이었으나, 갈수록 까다로워지는 수질기준을 만족하기 위해서 이들을 혼합하여 적용하는 이른바 고도산화공정이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H2O2 만봐도 UV+H2O2, MW+H2O2, O3+H2O2, UV+H2O2+O3, O3+TiO2+H2O2, H2O2+ferrous salts 등의 혼합공정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혼합공정의 최종목적은 산화력이 가장 강력한 히드록실기의 생성량을 어떻게 하면 늘릴 것인가 입니다. 히드록실기의 산화력은 Cl2를 1로 봤을 때 2.1로서 약 두 배정도의 산화력을 갖습니다. H2O2의 경우는 1.3정도이구요.

    (2)과산화수소는 약산으로 다음과 같이 해리됩니다: H2O2 ↔ H+ + HO2-

    따라서, 염소처럼 용해 후 잔류염소형태로 남아 소독능을 갖는 물질의 생성이 없다면 미생물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라는 것이 저의 의견입니다.

    (3)과산화수소 또한 산화제이므로 미생물 측면에서는 살균과 관련이 있을 것이고 이는 미생물의 구성단위 중 하나인 단백질의 강한 변성이나, 효소의 비활성화 등을 통해 미생물을 무력화시키는 것이겠죠.

    (4)질문하신 내용만으로는 이 분야를 꼭 환경보건이라고 얘기할 수는 없습니다. 예를 들어 관련 미생물이 역학쪽에 관련이 있는 미생물인지 아니면 단순히 수처리공정에 서식하는 미생물인지에 따라 좀 더 세부적으로 분류할 수는 있겠네요. 

    (1) H2O2를 이용하여 수처리를 하신다면, 아마도 고도산화공정(AOPs)에 포함되리라 봅니다. 기존 수처리에서 소독공정에 많이 사용하였던 것이 염소, 오존, UV 등 이었으나, 갈수록 까다로워지는 수질기준을 만족하기 위해서 이들을 혼합하여 적용하는 이른바 고도산화공정이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H2O2 만봐도 UV+H2O2, MW+H2O2, O3+H2O2, UV+H2O2+O3, O3+TiO2+H2O2, H2O2+ferrous salts 등의 혼합공정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혼합공정의 최종목적은 산화력이 가장 강력한 히드록실기의 생성량을 어떻게 하면 늘릴 것인가 입니다. 히드록실기의 산화력은 Cl2를 1로 봤을 때 2.1로서 약 두 배정도의 산화력을 갖습니다. H2O2의 경우는 1.3정도이구요.

    (2)과산화수소는 약산으로 다음과 같이 해리됩니다: H2O2 ↔ H+ + HO2-

    따라서, 염소처럼 용해 후 잔류염소형태로 남아 소독능을 갖는 물질의 생성이 없다면 미생물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라는 것이 저의 의견입니다.

    (3)과산화수소 또한 산화제이므로 미생물 측면에서는 살균과 관련이 있을 것이고 이는 미생물의 구성단위 중 하나인 단백질의 강한 변성이나, 효소의 비활성화 등을 통해 미생물을 무력화시키는 것이겠죠.

    (4)질문하신 내용만으로는 이 분야를 꼭 환경보건이라고 얘기할 수는 없습니다. 예를 들어 관련 미생물이 역학쪽에 관련이 있는 미생물인지 아니면 단순히 수처리공정에 서식하는 미생물인지에 따라 좀 더 세부적으로 분류할 수는 있겠네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묽은 과수용액으로 상처를 소독하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죠.

     

    과수의 살균작용을 이용하는 겁니다. 과수의 경우 미생물 세포막에 영구적인 산화성 손상을 일으켜서 살균작용을 나타냅니다.

     

    근거가 필요하신듯한데..... 막상 찾으려니 막막하네요. 일부긴 하지만 미생물중엔 과수를 만들어 내는 미생물도 있습니다.

     

    다음 링크를 참고해보시길...

    http://jac.oxfordjournals.org/content/65/6/1207.full.pdf

     

    수처리 분야에 대해선 일면식이 없지만 과수와 비슷한 처리 방법으로 오존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고 들었습니다. 전 유기합성을 진행할 때 오존을 이용한 경험이 있습니다.(ozonolysis)

     

    실험실에서 사용할 수 있는 조그마한 오존 발생기를 구입할 때 업체분이 수처리에 많이 사용한다고 하시더군요. 축산폐수나 염색 오폐수 등.....

    -------------------------------------질문-------------------------------------

    안녕하세요.

     

    문의 드릴것이 있어서요.

     

    저는 수처리 분야에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과산화수소를 이용하여 수처리를 진행하고 있으며, 거기에 대한 자료를 찾고 있는 중입니다.

     

    수처리 후, 잔여 과산화수소가 미생물에 영향을 미친다는 논문이나 책을 알고 계신 분은 추천 좀 해 주십시오.

     

    과산화수소와 미생물의 관계에 대해서요..부탁드립니다.

     

    근데 이것이 환경보건 쪽이 맞나요??

    묽은 과수용액으로 상처를 소독하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죠.

     

    과수의 살균작용을 이용하는 겁니다. 과수의 경우 미생물 세포막에 영구적인 산화성 손상을 일으켜서 살균작용을 나타냅니다.

     

    근거가 필요하신듯한데..... 막상 찾으려니 막막하네요. 일부긴 하지만 미생물중엔 과수를 만들어 내는 미생물도 있습니다.

     

    다음 링크를 참고해보시길...

    http://jac.oxfordjournals.org/content/65/6/1207.full.pdf

     

    수처리 분야에 대해선 일면식이 없지만 과수와 비슷한 처리 방법으로 오존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고 들었습니다. 전 유기합성을 진행할 때 오존을 이용한 경험이 있습니다.(ozonolysis)

     

    실험실에서 사용할 수 있는 조그마한 오존 발생기를 구입할 때 업체분이 수처리에 많이 사용한다고 하시더군요. 축산폐수나 염색 오폐수 등.....

    -------------------------------------질문-------------------------------------

    안녕하세요.

     

    문의 드릴것이 있어서요.

     

    저는 수처리 분야에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과산화수소를 이용하여 수처리를 진행하고 있으며, 거기에 대한 자료를 찾고 있는 중입니다.

     

    수처리 후, 잔여 과산화수소가 미생물에 영향을 미친다는 논문이나 책을 알고 계신 분은 추천 좀 해 주십시오.

     

    과산화수소와 미생물의 관계에 대해서요..부탁드립니다.

     

    근데 이것이 환경보건 쪽이 맞나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