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초보)HPLC를 enzyme의 metabolite측정

안녕하세요. 생명과학 백그라운드에 화학은 일반화학을 제외한 분석화학, 무기, 유기화학까지 백그라운드를 가지고 있지 않아, 지금 하는 실험들에서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공부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일단, 효소의 새로운 metabolite를 찾는 것이고 논문의 방법들을 참조하여 gradient 비율등을 세팅하고 있습니다. 여기저기서 말로 배운거라 체계적이지 않고, 일단 화학의 베이스가 없는 것 같아

걱정이 앞서 있습니다. 최종 목표는 Vmax등의 값을 구하는 것입니다.

 

사람들에게 말로 들어서 배우는 과정입니다.

사람들이 일일히 validation을 한다고 하고, internal standard를 넣어서 한다고 하고 calibration이 중요하다고 하는 말들을 들었는데 이러한 것들에 대해 체계적으로 알수 없을까요? 용어나 어떻게 하는지에 대해서요.

 

mobile phase에 salt가 있으면 washing할때 물로 해준다,등을 들었는데, 어떤사람들은 어떤 화학물이 염인지 한번에 아는 것은 혼자 분석화학을 공부해야 하나라는 고민에 빠질 정도로 무엇을 어떻게 공부를 하면서 실험을 해야할지 어렵습니다.

너무 모르는게 많으니 알아야 할것같은 공부의 양이 방대하고 문제를 푸는데에 도움이 되는 것이 아니라, 두꺼운 기본책만 붙들고 비효율적으로 있는거 같아서 걱정입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 hplc
  • metabolite peak
  • 기초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질문-------------------------------------

    안녕하세요. 생명과학 백그라운드에 화학은 일반화학을 제외한 분석화학, 무기, 유기화학까지 백그라운드를 가지고 있지 않아, 지금 하는 실험들에서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공부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일단, 효소의 새로운 metabolite를 찾는 것이고 논문의 방법들을 참조하여 gradient 비율등을 세팅하고 있습니다. 여기저기서 말로 배운거라 체계적이지 않고, 일단 화학의 베이스가 없는 것 같아

    걱정이 앞서 있습니다. 최종 목표는 Vmax등의 값을 구하는 것입니다.

     

    사람들에게 말로 들어서 배우는 과정입니다.

    사람들이 일일히 validation을 한다고 하고, internal standard를 넣어서 한다고 하고 calibration이 중요하다고 하는 말들을 들었는데 이러한 것들에 대해 체계적으로 알수 없을까요? 용어나 어떻게 하는지에 대해서요.

     

    mobile phase에 salt가 있으면 washing할때 물로 해준다,등을 들었는데, 어떤사람들은 어떤 화학물이 염인지 한번에 아는 것은 혼자 분석화학을 공부해야 하나라는 고민에 빠질 정도로 무엇을 어떻게 공부를 하면서 실험을 해야할지 어렵습니다.

    너무 모르는게 많으니 알아야 할것같은 공부의 양이 방대하고 문제를 푸는데에 도움이 되는 것이 아니라, 두꺼운 기본책만 붙들고 비효율적으로 있는거 같아서 걱정입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사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해서 일목 요연하게 해결책을 이 자리에서 제시해 주기는 어렵다고 봅니다. 왜냐하면 하시고자 하는 실험이 학부 및 대학원에서 관련된 전공지식을 습득하고 또 실제로 경험을 통해 어느 정도 노하우가 있어야만 해결해 나갈 수 있는 테마일 만큼 쉬운 일은 아닌거 같습니다. 하지만 그래도 실험을 진행하는데 어느 정도 필수적으로 참고해야 만 하는 자료는 있습니다. 가령 하시고자 하는 실험같은 경우는 효소작용에 의한 대사체 분석이므로 이 분석법이 재현성이 있는지 정확성과 정밀도가 어느 정도 인지 검증해야만 하기 때문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얻어진 결과에 대해서 신뢰성이 많이 떨어지게 됩니다. 그래서 생체시료를 다루는 연구자들이 필수적으로 참고해야 만 하는 가이던스가 바로 "Bioanalytical Method Validation"입니다. 반드시 생체시료를 다루지 않더라도 생화학적 접근방식으로 실험을 진행한다해도 중요한 지침서가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우선 첨부 자료를 읽어보시면 어느 정도 감이 잡히실 것으로 판단되며, 실제 실험과정에서 시행착오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보시는 것이 제일 표준이 될 것으로 여겨집니다.

     

     

    -------------------------------------질문-------------------------------------

    안녕하세요. 생명과학 백그라운드에 화학은 일반화학을 제외한 분석화학, 무기, 유기화학까지 백그라운드를 가지고 있지 않아, 지금 하는 실험들에서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공부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일단, 효소의 새로운 metabolite를 찾는 것이고 논문의 방법들을 참조하여 gradient 비율등을 세팅하고 있습니다. 여기저기서 말로 배운거라 체계적이지 않고, 일단 화학의 베이스가 없는 것 같아

    걱정이 앞서 있습니다. 최종 목표는 Vmax등의 값을 구하는 것입니다.

     

    사람들에게 말로 들어서 배우는 과정입니다.

    사람들이 일일히 validation을 한다고 하고, internal standard를 넣어서 한다고 하고 calibration이 중요하다고 하는 말들을 들었는데 이러한 것들에 대해 체계적으로 알수 없을까요? 용어나 어떻게 하는지에 대해서요.

     

    mobile phase에 salt가 있으면 washing할때 물로 해준다,등을 들었는데, 어떤사람들은 어떤 화학물이 염인지 한번에 아는 것은 혼자 분석화학을 공부해야 하나라는 고민에 빠질 정도로 무엇을 어떻게 공부를 하면서 실험을 해야할지 어렵습니다.

    너무 모르는게 많으니 알아야 할것같은 공부의 양이 방대하고 문제를 푸는데에 도움이 되는 것이 아니라, 두꺼운 기본책만 붙들고 비효율적으로 있는거 같아서 걱정입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사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해서 일목 요연하게 해결책을 이 자리에서 제시해 주기는 어렵다고 봅니다. 왜냐하면 하시고자 하는 실험이 학부 및 대학원에서 관련된 전공지식을 습득하고 또 실제로 경험을 통해 어느 정도 노하우가 있어야만 해결해 나갈 수 있는 테마일 만큼 쉬운 일은 아닌거 같습니다. 하지만 그래도 실험을 진행하는데 어느 정도 필수적으로 참고해야 만 하는 자료는 있습니다. 가령 하시고자 하는 실험같은 경우는 효소작용에 의한 대사체 분석이므로 이 분석법이 재현성이 있는지 정확성과 정밀도가 어느 정도 인지 검증해야만 하기 때문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얻어진 결과에 대해서 신뢰성이 많이 떨어지게 됩니다. 그래서 생체시료를 다루는 연구자들이 필수적으로 참고해야 만 하는 가이던스가 바로 "Bioanalytical Method Validation"입니다. 반드시 생체시료를 다루지 않더라도 생화학적 접근방식으로 실험을 진행한다해도 중요한 지침서가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우선 첨부 자료를 읽어보시면 어느 정도 감이 잡히실 것으로 판단되며, 실제 실험과정에서 시행착오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보시는 것이 제일 표준이 될 것으로 여겨집니다.

     

    너무나 감사합니다. 자료또한 감사합니다. 이 과제에 대해 어떻게 접근해야할지 감이 조금씩 생깁니다.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분석화학적 백그라운드 없이 지금 계획하신 일을 하시기엔 무리가 있어 보입니다.

     

    그렇다고 차근차근 알려줄 사람이 있으신 것도 아닌듯 싶고요.

     

     논문의 방법들을 참조하여 gradient 비율을 조정하고 계시다고 했는데... 이것도 기초적인 이해 없이 시행착오로만 접근하기엔 어려움이 많습니다.

     

    validation(anlaytical method validation 이겠죠?), calibration, internal standard 같은 기초적인 분석의 개념은 알고 있는 사람에게 배우면 금방 배울 수 있는 것들이지만 구체적인 방법론이나 이론적 이해는 시간이 좀 걸리고 경험이 많은 사람에게 도움을 받아야 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특히 효소의 대사체를 규명하는 작업은 워낙 미량 성분을 다루어야 하는 방법이기 때문에.....LC/MS같은 기법을 이용하고 계실듯 한데....mass는 특히 경험이 매우 중요합니다.

     

    제 자신도 mass 전문가는 아니나  mass spectrum을 이용한 구조해석이나 이해는 가능하죠. 대사체 확인을 하시려면 구조해석도 가능해야하고....분석도 잘 하셔야 하고......

     

    주변에서 멘토를 하나 물색해보시는게 좋겠습니다. 경험 많고 정확히 알고 계신분, 정수를 꿰뚤고 계신분을 찾아야 눈높이에 맞춰서 잘 알려주시죠. 개인의 능력도 중요하지만 사람을 잘 만나야 한다는 것이 다 이런 것인가 봅니다.

     

    어려운 공부에 힘드시겠지만.... 힘내시길...

    ------------------------------------질문-------------------------------------

    안녕하세요. 생명과학 백그라운드에 화학은 일반화학을 제외한 분석화학, 무기, 유기화학까지 백그라운드를 가지고 있지 않아, 지금 하는 실험들에서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공부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일단, 효소의 새로운 metabolite를 찾는 것이고 논문의 방법들을 참조하여 gradient 비율등을 세팅하고 있습니다. 여기저기서 말로 배운거라 체계적이지 않고, 일단 화학의 베이스가 없는 것 같아

    걱정이 앞서 있습니다. 최종 목표는 Vmax등의 값을 구하는 것입니다.

     

    사람들에게 말로 들어서 배우는 과정입니다.

    사람들이 일일히 validation을 한다고 하고, internal standard를 넣어서 한다고 하고 calibration이 중요하다고 하는 말들을 들었는데 이러한 것들에 대해 체계적으로 알수 없을까요? 용어나 어떻게 하는지에 대해서요.

     

    mobile phase에 salt가 있으면 washing할때 물로 해준다,등을 들었는데, 어떤사람들은 어떤 화학물이 염인지 한번에 아는 것은 혼자 분석화학을 공부해야 하나라는 고민에 빠질 정도로 무엇을 어떻게 공부를 하면서 실험을 해야할지 어렵습니다.

    너무 모르는게 많으니 알아야 할것같은 공부의 양이 방대하고 문제를 푸는데에 도움이 되는 것이 아니라, 두꺼운 기본책만 붙들고 비효율적으로 있는거 같아서 걱정입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분석화학적 백그라운드 없이 지금 계획하신 일을 하시기엔 무리가 있어 보입니다.

     

    그렇다고 차근차근 알려줄 사람이 있으신 것도 아닌듯 싶고요.

     

     논문의 방법들을 참조하여 gradient 비율을 조정하고 계시다고 했는데... 이것도 기초적인 이해 없이 시행착오로만 접근하기엔 어려움이 많습니다.

     

    validation(anlaytical method validation 이겠죠?), calibration, internal standard 같은 기초적인 분석의 개념은 알고 있는 사람에게 배우면 금방 배울 수 있는 것들이지만 구체적인 방법론이나 이론적 이해는 시간이 좀 걸리고 경험이 많은 사람에게 도움을 받아야 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특히 효소의 대사체를 규명하는 작업은 워낙 미량 성분을 다루어야 하는 방법이기 때문에.....LC/MS같은 기법을 이용하고 계실듯 한데....mass는 특히 경험이 매우 중요합니다.

     

    제 자신도 mass 전문가는 아니나  mass spectrum을 이용한 구조해석이나 이해는 가능하죠. 대사체 확인을 하시려면 구조해석도 가능해야하고....분석도 잘 하셔야 하고......

     

    주변에서 멘토를 하나 물색해보시는게 좋겠습니다. 경험 많고 정확히 알고 계신분, 정수를 꿰뚤고 계신분을 찾아야 눈높이에 맞춰서 잘 알려주시죠. 개인의 능력도 중요하지만 사람을 잘 만나야 한다는 것이 다 이런 것인가 봅니다.

     

    어려운 공부에 힘드시겠지만.... 힘내시길...

    ------------------------------------질문-------------------------------------

    안녕하세요. 생명과학 백그라운드에 화학은 일반화학을 제외한 분석화학, 무기, 유기화학까지 백그라운드를 가지고 있지 않아, 지금 하는 실험들에서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공부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일단, 효소의 새로운 metabolite를 찾는 것이고 논문의 방법들을 참조하여 gradient 비율등을 세팅하고 있습니다. 여기저기서 말로 배운거라 체계적이지 않고, 일단 화학의 베이스가 없는 것 같아

    걱정이 앞서 있습니다. 최종 목표는 Vmax등의 값을 구하는 것입니다.

     

    사람들에게 말로 들어서 배우는 과정입니다.

    사람들이 일일히 validation을 한다고 하고, internal standard를 넣어서 한다고 하고 calibration이 중요하다고 하는 말들을 들었는데 이러한 것들에 대해 체계적으로 알수 없을까요? 용어나 어떻게 하는지에 대해서요.

     

    mobile phase에 salt가 있으면 washing할때 물로 해준다,등을 들었는데, 어떤사람들은 어떤 화학물이 염인지 한번에 아는 것은 혼자 분석화학을 공부해야 하나라는 고민에 빠질 정도로 무엇을 어떻게 공부를 하면서 실험을 해야할지 어렵습니다.

    너무 모르는게 많으니 알아야 할것같은 공부의 양이 방대하고 문제를 푸는데에 도움이 되는 것이 아니라, 두꺼운 기본책만 붙들고 비효율적으로 있는거 같아서 걱정입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어드바이스 감사합니다. 제가 느끼는 어려움이 체계적으로 어떻게 해야겠다라는 방법론적인 전체맥락이 안보여서 이었거든요. 일단 전문가이자 배울수 있는 사람을 찾아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