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논문에 나온 ESI-MS 값을 어떻게 읽어야 할지...

논문에서 546M+ m/z (MW+ -122) (+는 위첨자)로 나옵니다.

 

ESI에 대한 값은 처음 접해보는 거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지 난감하네요.

 

도와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EIS-MS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아마 다음과 같은 의미가 아닐까 싶습니다.

    m/z 546(M+) [MW+ -122] (+는 위첨자)

    이 의미는 ESI/MS spectrum의 x축은 m/z(전하당 mass)로 되어 있어서

    m/z 546은 특정 이온의 mass를 나타내는데 이것이 분자량에 해당하는 이온(MW+)에서 122만큼 특정 fragmented된 이온이 빠진 mass를 의미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아마 다음과 같은 의미가 아닐까 싶습니다.

    m/z 546(M+) [MW+ -122] (+는 위첨자)

    이 의미는 ESI/MS spectrum의 x축은 m/z(전하당 mass)로 되어 있어서

    m/z 546은 특정 이온의 mass를 나타내는데 이것이 분자량에 해당하는 이온(MW+)에서 122만큼 특정 fragmented된 이온이 빠진 mass를 의미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제 생각도 앞서 답변하신 분과 같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인 서술 방법과는 좀 다르네요.

     

    일반적으로 ESI에서 M+는 molecular ion peak, 즉 전자 하나를 잃어버린 분자를 나타내는 것이지 일정 분자량 만큼을 잃어버린 분자단편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제 추측입니다만..... 분자에 따라 M+가 ESI모드에서 잘 관찰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이 경우 M+ -xxx peak가 관찰되기도 하므로 이를 구별해서 나타내기 위해 그러한 방식으로 서술한게 아닌가 싶습니다. ESI 자체가 워낙 고에너지를 인가하는 방식이니까요.

     

    -------------------------------------질문-------------------------------------

    논문에서 546M+ m/z (MW+ -122) (+는 위첨자)로 나옵니다.

     

    ESI에 대한 값은 처음 접해보는 거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지 난감하네요.

     

    도와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제 생각도 앞서 답변하신 분과 같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인 서술 방법과는 좀 다르네요.

     

    일반적으로 ESI에서 M+는 molecular ion peak, 즉 전자 하나를 잃어버린 분자를 나타내는 것이지 일정 분자량 만큼을 잃어버린 분자단편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제 추측입니다만..... 분자에 따라 M+가 ESI모드에서 잘 관찰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이 경우 M+ -xxx peak가 관찰되기도 하므로 이를 구별해서 나타내기 위해 그러한 방식으로 서술한게 아닌가 싶습니다. ESI 자체가 워낙 고에너지를 인가하는 방식이니까요.

     

    -------------------------------------질문-------------------------------------

    논문에서 546M+ m/z (MW+ -122) (+는 위첨자)로 나옵니다.

     

    ESI에 대한 값은 처음 접해보는 거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지 난감하네요.

     

    도와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그런데 M+ -xxx peak가 관찰된다고 하시는 말씀이 이해가 잘 안갑니다..

    molecular ion peak(M+)가 잘 관찰되지 않는 경우 그 분자에서 가장 잘 떨어져 나가는 조각을 잃어버린 상태를 말합니다. 즉 M+에서 xxx dalton만큼의 분자량을 잃어버린 조각인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