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유기물의 co-deposition (공증착)의 산업적이용에 관해 질문 드립니다.

다름이 아니라 유기물의 co-deposition 에 있어서

산업화에 응용이 쉬운지 알고 싶어서 질문 드립니다.

제가 산업공정은 잘 몰르는데

유기물 롤투롤 공정이나 OLED 에 사용되는 공정에 있어서

코디포지션 공법이 쉽게 활용될 수 있나요???

아니면 어렵다면 그런 것에 따른 논문이나 레퍼런스가 혹시 있나 해서

질문드립니다.

 

------------------------------------------------------

답변 모두 감사합니다.

코디포지션 말고 다른 방법의 공정을 실험중인데

인트로 부분에 코디포지션의 단점으로 해볼까 하고

찾아보는데 잘 안나오더라고요. 답변 감사드립니다.

좋은 참고 되었습니다.

혹시 다른 의견 있으시면 답변 부탁드립니다.

  • co-deposition
  • 산업화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박영환님의 답변

    유기태양전지 소자를 제작할 때 시차를 두어 공증착(co-deposition)하는 방법을 이용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보시기 바랍니다.

    -------------------------------------질문-------------------------------------

    다름이 아니라 유기물의 co-deposition 에 있어서

    산업화에 응용이 쉬운지 알고 싶어서 질문 드립니다.

    제가 산업공정은 잘 몰르는데

    유기물 롤투롤 공정이나 OLED 에 사용되는 공정에 있어서

    코디포지션 공법이 쉽게 활용될 수 있나요???

    아니면 어렵다면 그런 것에 따른 논문이나 레퍼런스가 혹시 있나 해서

    질문드립니다.

    유기태양전지 소자를 제작할 때 시차를 두어 공증착(co-deposition)하는 방법을 이용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보시기 바랍니다.

    -------------------------------------질문-------------------------------------

    다름이 아니라 유기물의 co-deposition 에 있어서

    산업화에 응용이 쉬운지 알고 싶어서 질문 드립니다.

    제가 산업공정은 잘 몰르는데

    유기물 롤투롤 공정이나 OLED 에 사용되는 공정에 있어서

    코디포지션 공법이 쉽게 활용될 수 있나요???

    아니면 어렵다면 그런 것에 따른 논문이나 레퍼런스가 혹시 있나 해서

    질문드립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윤제정님의 답변

    첨부파일

     공증착 관련하여 OLED나 유기태양전지 등의 경우

    신문인쇄 방법이나 바코드 처럼 프린트하는

    FR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방법으로

    접근하는 예도있습니다.

     

    -------------------------------------질문-------------------------------------

    다름이 아니라 유기물의 co-deposition 에 있어서

    산업화에 응용이 쉬운지 알고 싶어서 질문 드립니다.

    제가 산업공정은 잘 몰르는데

    유기물 롤투롤 공정이나 OLED 에 사용되는 공정에 있어서

    코디포지션 공법이 쉽게 활용될 수 있나요???

    아니면 어렵다면 그런 것에 따른 논문이나 레퍼런스가 혹시 있나 해서

    질문드립니다.

     공증착 관련하여 OLED나 유기태양전지 등의 경우

    신문인쇄 방법이나 바코드 처럼 프린트하는

    FR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방법으로

    접근하는 예도있습니다.

     

    -------------------------------------질문-------------------------------------

    다름이 아니라 유기물의 co-deposition 에 있어서

    산업화에 응용이 쉬운지 알고 싶어서 질문 드립니다.

    제가 산업공정은 잘 몰르는데

    유기물 롤투롤 공정이나 OLED 에 사용되는 공정에 있어서

    코디포지션 공법이 쉽게 활용될 수 있나요???

    아니면 어렵다면 그런 것에 따른 논문이나 레퍼런스가 혹시 있나 해서

    질문드립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김영곤님의 답변

     2종 이상의 반도체 물질을 이용하여 하나의 반도체 물질을 형성하기 위해 증착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공증착을 이용합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진공에서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증착원의 설계 및 합성 조건을 잘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정전용량방식의 디스플레이 터치스크린 제작시, 다층으로 구성되는데, 지금까지는 e-beam방식으로 제조가 되고 있습니다. 향후에는 PECVD를 이용하여 투명성 확보, 내지문성 부여, 내반사성 부여를 위한 공정을 롤투롤 공정으로 개발하고 있어, 연속적인 증착이 요구되지요.

    -------------------------------------질문-------------------------------------

    다름이 아니라 유기물의 co-deposition 에 있어서

    산업화에 응용이 쉬운지 알고 싶어서 질문 드립니다.

    제가 산업공정은 잘 몰르는데

    유기물 롤투롤 공정이나 OLED 에 사용되는 공정에 있어서

    코디포지션 공법이 쉽게 활용될 수 있나요???

    아니면 어렵다면 그런 것에 따른 논문이나 레퍼런스가 혹시 있나 해서

    질문드립니다.

     2종 이상의 반도체 물질을 이용하여 하나의 반도체 물질을 형성하기 위해 증착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공증착을 이용합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진공에서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증착원의 설계 및 합성 조건을 잘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정전용량방식의 디스플레이 터치스크린 제작시, 다층으로 구성되는데, 지금까지는 e-beam방식으로 제조가 되고 있습니다. 향후에는 PECVD를 이용하여 투명성 확보, 내지문성 부여, 내반사성 부여를 위한 공정을 롤투롤 공정으로 개발하고 있어, 연속적인 증착이 요구되지요.

    -------------------------------------질문-------------------------------------

    다름이 아니라 유기물의 co-deposition 에 있어서

    산업화에 응용이 쉬운지 알고 싶어서 질문 드립니다.

    제가 산업공정은 잘 몰르는데

    유기물 롤투롤 공정이나 OLED 에 사용되는 공정에 있어서

    코디포지션 공법이 쉽게 활용될 수 있나요???

    아니면 어렵다면 그런 것에 따른 논문이나 레퍼런스가 혹시 있나 해서

    질문드립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김동현님의 답변

     기존은 발광효율 최적화를 위하여 R, G, B를 독립적으로 증착시키는 방법이 주
    류를 이루었으나 이 경우 shadow mask를 사용하여 R, G, B를 증착 시키므로
    소화면 디스플레이에서는 유리하나 화면의 면적이 커짐에 따라 shadow mask의
    한계로 인하여 정밀한 OLED 증착에 어려움이 있음

    -------------------------------------질문-------------------------------------

    다름이 아니라 유기물의 co-deposition 에 있어서

    산업화에 응용이 쉬운지 알고 싶어서 질문 드립니다.

    제가 산업공정은 잘 몰르는데

    유기물 롤투롤 공정이나 OLED 에 사용되는 공정에 있어서

    코디포지션 공법이 쉽게 활용될 수 있나요???

    아니면 어렵다면 그런 것에 따른 논문이나 레퍼런스가 혹시 있나 해서

    질문드립니다.

     기존은 발광효율 최적화를 위하여 R, G, B를 독립적으로 증착시키는 방법이 주
    류를 이루었으나 이 경우 shadow mask를 사용하여 R, G, B를 증착 시키므로
    소화면 디스플레이에서는 유리하나 화면의 면적이 커짐에 따라 shadow mask의
    한계로 인하여 정밀한 OLED 증착에 어려움이 있음

    -------------------------------------질문-------------------------------------

    다름이 아니라 유기물의 co-deposition 에 있어서

    산업화에 응용이 쉬운지 알고 싶어서 질문 드립니다.

    제가 산업공정은 잘 몰르는데

    유기물 롤투롤 공정이나 OLED 에 사용되는 공정에 있어서

    코디포지션 공법이 쉽게 활용될 수 있나요???

    아니면 어렵다면 그런 것에 따른 논문이나 레퍼런스가 혹시 있나 해서

    질문드립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