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ASTM, ISO의 물성 차이에 대해

ASTM과 ISO방법에 의해 분석을 진행한 플라스틱 재료의 물성 차이에 대해 궁금해서 올립니다.

 

ASTM과 ISO법으로 각각 굴곡탄성율, Izod충격강도, 열변형온도(HDT)를 측정하였습니다.

 

ASTM : D256, D790, D648

ISO : 178, 180, 75

 

각각의 금형으로 사출하여 측정결과, 물성차이가 좀 심하게 나는 경향이 있네요.

 

예를 들어 열변형온도의 경우 ASTM법으로 약 130도가 나온 반면, ISO로는 100도에 불과한 결과가 나옵니다. 시편 치수는 규격에 맞도록 했고 ISO의 경우 3.3mm까지의 온도를 프로그램에서 세팅되어 측정하게 되는데도 불구하고 차이가 너무 나네요.

 

굴곡탄성율의 경우 약 300~400MPa 차이가 있고, 충격강도도 10이상 차이가 있습니다.

분석기기는 동일한 기기를 적용하였고 각 Method에 대해 규격에서 요구하는 Setting값은 제대로 변경하였습니다.

 

항상 ASTM으로 보다가 ISO물성과 비교하기 위해 측정한 결과에서 물성차이가 크게 나니  좀 당황스럽네요.

 

실제로 동일한 소재를 분석하는데 ASTM법과 ISO법의 물성차이가 원래 이렇게 나는 것이 정상인지요?

 

고견을 청합니다. 

  • ASTM
  • ISO
  • 물성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김형근님의 답변

    안녕 하세요

     

    저역시 재료전공이라 관심이 있어 말씀하신 ASTM D790을 찾아 봤는데요, 제가 링크 해

     

    드리는 화면의 1.Scope아래, note라는 곳에, 이 물성 테스트는  ISO 178과 측정 방법

     

    이 동일하지 않다고 나옵니다. 그러니 회원님의 물성 결과가 다르다는 것은 아마 크게

     

    놀랄일이 아닌가 싶네요. 좀더 다른 참고 자료를 보기위해 찾아보니 두번째 링크에 같

     

    은 재료에 대한 물성을 ASTM ISO로 측정한 비교치가 있습니다. 역시 서로 다른 값을

     

    나태내는군요. 그 이유로 페이지 12쪽에 측정시편과 컨디션이 다른다는 이유와 마지막

     

    페이지에 서로다른 물성값이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http://www.astm.org/Standards/D790.htm

    http://www.ascouncil.org/news/reports/ASC_ASTM-ISOStandardsSample.pdf

    -------------------------------------질문-------------------------------------

    ASTM과 ISO방법에 의해 분석을 진행한 플라스틱 재료의 물성 차이에 대해 궁금해서 올립니다.

     

    ASTM과 ISO법으로 각각 굴곡탄성율, Izod충격강도, 열변형온도(HDT)를 측정하였습니다.

     

    ASTM : D256, D790, D648

    ISO : 178, 180, 75

     

    각각의 금형으로 사출하여 측정결과, 물성차이가 좀 심하게 나는 경향이 있네요.

     

    예를 들어 열변형온도의 경우 ASTM법으로 약 130도가 나온 반면, ISO로는 100도에 불과한 결과가 나옵니다. 시편 치수는 규격에 맞도록 했고 ISO의 경우 3.3mm까지의 온도를 프로그램에서 세팅되어 측정하게 되는데도 불구하고 차이가 너무 나네요.

     

    굴곡탄성율의 경우 약 300~400MPa 차이가 있고, 충격강도도 10이상 차이가 있습니다.

    분석기기는 동일한 기기를 적용하였고 각 Method에 대해 규격에서 요구하는 Setting값은 제대로 변경하였습니다.

     

    항상 ASTM으로 보다가 ISO물성과 비교하기 위해 측정한 결과에서 물성차이가 크게 나니  좀 당황스럽네요.

     

    실제로 동일한 소재를 분석하는데 ASTM법과 ISO법의 물성차이가 원래 이렇게 나는 것이 정상인지요?

     

    고견을 청합니다. 

    안녕 하세요

     

    저역시 재료전공이라 관심이 있어 말씀하신 ASTM D790을 찾아 봤는데요, 제가 링크 해

     

    드리는 화면의 1.Scope아래, note라는 곳에, 이 물성 테스트는  ISO 178과 측정 방법

     

    이 동일하지 않다고 나옵니다. 그러니 회원님의 물성 결과가 다르다는 것은 아마 크게

     

    놀랄일이 아닌가 싶네요. 좀더 다른 참고 자료를 보기위해 찾아보니 두번째 링크에 같

     

    은 재료에 대한 물성을 ASTM ISO로 측정한 비교치가 있습니다. 역시 서로 다른 값을

     

    나태내는군요. 그 이유로 페이지 12쪽에 측정시편과 컨디션이 다른다는 이유와 마지막

     

    페이지에 서로다른 물성값이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http://www.astm.org/Standards/D790.htm

    http://www.ascouncil.org/news/reports/ASC_ASTM-ISOStandardsSample.pdf

    -------------------------------------질문-------------------------------------

    ASTM과 ISO방법에 의해 분석을 진행한 플라스틱 재료의 물성 차이에 대해 궁금해서 올립니다.

     

    ASTM과 ISO법으로 각각 굴곡탄성율, Izod충격강도, 열변형온도(HDT)를 측정하였습니다.

     

    ASTM : D256, D790, D648

    ISO : 178, 180, 75

     

    각각의 금형으로 사출하여 측정결과, 물성차이가 좀 심하게 나는 경향이 있네요.

     

    예를 들어 열변형온도의 경우 ASTM법으로 약 130도가 나온 반면, ISO로는 100도에 불과한 결과가 나옵니다. 시편 치수는 규격에 맞도록 했고 ISO의 경우 3.3mm까지의 온도를 프로그램에서 세팅되어 측정하게 되는데도 불구하고 차이가 너무 나네요.

     

    굴곡탄성율의 경우 약 300~400MPa 차이가 있고, 충격강도도 10이상 차이가 있습니다.

    분석기기는 동일한 기기를 적용하였고 각 Method에 대해 규격에서 요구하는 Setting값은 제대로 변경하였습니다.

     

    항상 ASTM으로 보다가 ISO물성과 비교하기 위해 측정한 결과에서 물성차이가 크게 나니  좀 당황스럽네요.

     

    실제로 동일한 소재를 분석하는데 ASTM법과 ISO법의 물성차이가 원래 이렇게 나는 것이 정상인지요?

     

    고견을 청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