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노인 취(old man smell) 생성 메커니즘

안녕하세요?

사람 몸냄새(특히 노인)의 주원인은 불포화 지방산의 일종인 nonenal이라고 합니다.

 nonenal은 피지에 포함된 지방산인 9-hexadecenoic산이 산화 분해되어 생기는 불포화포

aldehyde로서 중년 특유의 체취의 원인이되는 물질입니다.

이 물질은 나이가 많이 들어감에 따라 신진대사가 부족하여 많이 생긴다고 하는데

이러한 물질 또는 냄새가 나지않도록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질문의 요지

 1.  nonenal의 생성 메커니즘

 2.  nonenal이 생성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방법

 3. 생성된  nonenal을 제거할수 있는 방법

이 분야에 전문가분들께서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김종관드림

 추신. 저의 메일은  hallabio@hanmail.net 입니다. 

 

  • 노인취(old man smell)
  • 메커니즘
  • nonenal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반갑습니다. 흥미롭고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어 기쁘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이러한 사실에 대해 전문가는 아니지만 흥미가 발동해서 몇가지 알아보게 되었고 이를 나누고 싶어 답글을 올립니다.

     

    말씀하신  2-nonenal 이라는 물질은 노인성 채취의 원인물질 이라는 사실이 2001년 처음 밝혀졌습니다. 화장품으로 유명한 일본 시세이도사의 Kazuo Yamazaki 연구진이 처음 밝혀낸 것으로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2001) 116, 520?524 에 처음 보고되었습니다.(http://www.nature.com/jid/journal/v116/n4/full/5601027a.html)

     

    여기서 사람의 체취에 대한 화장품 개발회사의 관심이 높다는 사실을 쉽게 추측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의복이나 의약품, 생활용품을 전문으로하는 기업에서도 이 같은 사실에 주목하고 있을테죠.

     

    위 논문에 따르면  2-nonenal의 원인 물질은 오메가-7 불포화지방산 이라고 합니다. 이 물질이 피부표면에서 산화되어   2-nonenal로 전환된다고 합니다. 나이가 들면서 오메가-10 같은 불포화 지방산의 농도는 변화가 없지만.... 오메가-7 불포화 지방산 농도는 현격한 증가를 나타낸다는 것이 이 논문의 요치 입니다.

     

    최근 발표된 논문은 피부내 2-nonenal 농도를 노화 정도를 판단하는 지표로 사용할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하고 있습니다.(http://www.jstage.jst.go.jp/article/jaam/7/6/7_60/_article)

     

    하지만 안탑갑게도 나이가 들면서 왜 오메가-7 불포화 지방산의 농도가 증가하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못하고 있습니다. 만약 생리학적 원인이 밝혀진다면 치료제나 해결책 개발이 가능해질 걸로 생각합니다.

     

    현재로선 화장품이나 의복을 판매하는 기업들이 소취제를 화장품과 의복에 접목시켜 이를 해결하려는 정도의 시도가 있다고 합니다. 

     

    어릴적 할머니, 할아버지 방에 들어가면서 코를 막던 기억이 나네요. 이제 전 그러던 저를 꾸중하시던 아버지 나이가 되었군요. 노인도 늘고 노인들이 삶에 질에 대한 사회적 고민도 늘어가고 있는 것이 우리의 현실인데.....이러한 문제에 관심을 가져야겠다는 생각 해봅니다.

     

    -------------------------------------질문-------------------------------------

    안녕하세요?

    사람 몸냄새(특히 노인)의 주원인은 불포화 지방산의 일종인 nonenal이라고 합니다.

     nonenal은 피지에 포함된 지방산인 9-hexadecenoic산이 산화 분해되어 생기는 불포화포

    aldehyde로서 중년 특유의 체취의 원인이되는 물질입니다.

    이 물질은 나이가 많이 들어감에 따라 신진대사가 부족하여 많이 생긴다고 하는데

    이러한 물질 또는 냄새가 나지않도록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질문의 요지

     1.  nonenal의 생성 메커니즘

     2.  nonenal이 생성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방법

     3. 생성된  nonenal을 제거할수 있는 방법

    이 분야에 전문가분들께서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김종관드림

     추신. 저의 메일은  hallabio@hanmail.net 입니다. 

     

    반갑습니다. 흥미롭고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어 기쁘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이러한 사실에 대해 전문가는 아니지만 흥미가 발동해서 몇가지 알아보게 되었고 이를 나누고 싶어 답글을 올립니다.

     

    말씀하신  2-nonenal 이라는 물질은 노인성 채취의 원인물질 이라는 사실이 2001년 처음 밝혀졌습니다. 화장품으로 유명한 일본 시세이도사의 Kazuo Yamazaki 연구진이 처음 밝혀낸 것으로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2001) 116, 520?524 에 처음 보고되었습니다.(http://www.nature.com/jid/journal/v116/n4/full/5601027a.html)

     

    여기서 사람의 체취에 대한 화장품 개발회사의 관심이 높다는 사실을 쉽게 추측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의복이나 의약품, 생활용품을 전문으로하는 기업에서도 이 같은 사실에 주목하고 있을테죠.

     

    위 논문에 따르면  2-nonenal의 원인 물질은 오메가-7 불포화지방산 이라고 합니다. 이 물질이 피부표면에서 산화되어   2-nonenal로 전환된다고 합니다. 나이가 들면서 오메가-10 같은 불포화 지방산의 농도는 변화가 없지만.... 오메가-7 불포화 지방산 농도는 현격한 증가를 나타낸다는 것이 이 논문의 요치 입니다.

     

    최근 발표된 논문은 피부내 2-nonenal 농도를 노화 정도를 판단하는 지표로 사용할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하고 있습니다.(http://www.jstage.jst.go.jp/article/jaam/7/6/7_60/_article)

     

    하지만 안탑갑게도 나이가 들면서 왜 오메가-7 불포화 지방산의 농도가 증가하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못하고 있습니다. 만약 생리학적 원인이 밝혀진다면 치료제나 해결책 개발이 가능해질 걸로 생각합니다.

     

    현재로선 화장품이나 의복을 판매하는 기업들이 소취제를 화장품과 의복에 접목시켜 이를 해결하려는 정도의 시도가 있다고 합니다. 

     

    어릴적 할머니, 할아버지 방에 들어가면서 코를 막던 기억이 나네요. 이제 전 그러던 저를 꾸중하시던 아버지 나이가 되었군요. 노인도 늘고 노인들이 삶에 질에 대한 사회적 고민도 늘어가고 있는 것이 우리의 현실인데.....이러한 문제에 관심을 가져야겠다는 생각 해봅니다.

     

    -------------------------------------질문-------------------------------------

    안녕하세요?

    사람 몸냄새(특히 노인)의 주원인은 불포화 지방산의 일종인 nonenal이라고 합니다.

     nonenal은 피지에 포함된 지방산인 9-hexadecenoic산이 산화 분해되어 생기는 불포화포

    aldehyde로서 중년 특유의 체취의 원인이되는 물질입니다.

    이 물질은 나이가 많이 들어감에 따라 신진대사가 부족하여 많이 생긴다고 하는데

    이러한 물질 또는 냄새가 나지않도록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질문의 요지

     1.  nonenal의 생성 메커니즘

     2.  nonenal이 생성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방법

     3. 생성된  nonenal을 제거할수 있는 방법

    이 분야에 전문가분들께서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김종관드림

     추신. 저의 메일은  hallabio@hanmail.net 입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