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amine의 NMR분석질문입니다~

N을 중심으로 한쪽에는 탄소하나만 붙어있고 다른쪽에 메틸기가 붙어있어 수소가 하나만 붙어있는 2차 amine의 NMR분석에 대해서 질문입니다.

NMR을 확인해 보니 피크가 더블렛으로 나왔습니다. 이론적으로는 메틸기에 의해 쿼틀렛으로 나와야 하는데 더블렛으로 나오는 이유가 궁금합니다.ㅠㅠ

자세한 답변 좀 부탁드릴께요~^^

  • amine
  • NMR
  • NH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반갑습니다.

     

    제 경험으론 amine의 NH 가 생각하신 것처럼 갈라져 나오는 것을 본적은 없습니다.  NH의 경우 exchange가 매우 빠르게 일어나는 proton이기 때문에 broad  또는 sharp singlet으로 나타나는 것이 보통 입니다.

     

    인접한 탄소에 위치한 proton도 NH 때문에 갈라져 나타나는 경우는 매우 제한적입니다. 대부분 커플링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것이 보통이고, NH의 exchange rate이 매우 느릴 경우 인접탄소의 proton피크가 doublet으로 살짝 갈라져 나오는 경우는 간간히 관찰됩니다.

     

    만약 amine이 산과 반응하여 ammonium salt 를 형성하고 있다면 exchange rate이 매우 느리기 때문에 인접 탄소에 위치한 proton에 커플링 패턴이 나타납니다. 하지만 NH는 broad singlet으로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고요.

     

    도움이 되셨길 빕니다.

    -------------------------------------질문-------------------------------------

    N을 중심으로 한쪽에는 탄소하나만 붙어있고 다른쪽에 메틸기가 붙어있어 수소가 하나만 붙어있는 2차 amine의 NMR분석에 대해서 질문입니다.

    NMR을 확인해 보니 피크가 더블렛으로 나왔습니다. 이론적으로는 메틸기에 의해 쿼틀렛으로 나와야 하는데 더블렛으로 나오는 이유가 궁금합니다.ㅠㅠ

    자세한 답변 좀 부탁드릴께요~^^

    반갑습니다.

     

    제 경험으론 amine의 NH 가 생각하신 것처럼 갈라져 나오는 것을 본적은 없습니다.  NH의 경우 exchange가 매우 빠르게 일어나는 proton이기 때문에 broad  또는 sharp singlet으로 나타나는 것이 보통 입니다.

     

    인접한 탄소에 위치한 proton도 NH 때문에 갈라져 나타나는 경우는 매우 제한적입니다. 대부분 커플링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것이 보통이고, NH의 exchange rate이 매우 느릴 경우 인접탄소의 proton피크가 doublet으로 살짝 갈라져 나오는 경우는 간간히 관찰됩니다.

     

    만약 amine이 산과 반응하여 ammonium salt 를 형성하고 있다면 exchange rate이 매우 느리기 때문에 인접 탄소에 위치한 proton에 커플링 패턴이 나타납니다. 하지만 NH는 broad singlet으로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고요.

     

    도움이 되셨길 빕니다.

    -------------------------------------질문-------------------------------------

    N을 중심으로 한쪽에는 탄소하나만 붙어있고 다른쪽에 메틸기가 붙어있어 수소가 하나만 붙어있는 2차 amine의 NMR분석에 대해서 질문입니다.

    NMR을 확인해 보니 피크가 더블렛으로 나왔습니다. 이론적으로는 메틸기에 의해 쿼틀렛으로 나와야 하는데 더블렛으로 나오는 이유가 궁금합니다.ㅠㅠ

    자세한 답변 좀 부탁드릴께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질문-------------------------------------

    N을 중심으로 한쪽에는 탄소하나만 붙어있고 다른쪽에 메틸기가 붙어있어 수소가 하나만 붙어있는 2차 amine의 NMR분석에 대해서 질문입니다.

    NMR을 확인해 보니 피크가 더블렛으로 나왔습니다. 이론적으로는 메틸기에 의해 쿼틀렛으로 나와야 하는데 더블렛으로 나오는 이유가 궁금합니다.ㅠㅠ

    자세한 답변 좀 부탁드릴께요~^^

     

    secondary amide proton(-NH-)의 경우는 분자내 또는 분자간 다른 -OH나 -NH 같은 group과의 hydrogen bonding 때문에 exchange가 빠르게 일어나서 인접한 proton에 의해서 coupling이 거의 일어나지 않거나 심지어는 NH peak가 관찰되지 않을 때도 있습니다. 보통 singlet으로 보이면서 NMR solvent나 시료 농도 혹은 측정 온도에 따라 broad하게 보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doublet으로 관찰되었다고 하셨는데 그 양상이 궁금하군요..확연하게 baseline까지 경계로 하여 peak가 2개로 보인것인지 아니면 peak의 윗 부분만 살짝 갈라져서 보인 것인지..전자의 경우라면 시료의 순도가 높은 것인지도 확인이 필요할 거 같구요..후자의 경우라면 고해상도 NMR(600 MHz 이상)을 찍을 경우에는 조건에 따라서 peak 윗 부분만 살짝 갈라져 보이는 경우는 있습니다. 실제 data를 보지 않은 상태라서 더 이상은 설명이 어려울 듯 합니다.  

     

     

     

    -------------------------------------질문-------------------------------------

    N을 중심으로 한쪽에는 탄소하나만 붙어있고 다른쪽에 메틸기가 붙어있어 수소가 하나만 붙어있는 2차 amine의 NMR분석에 대해서 질문입니다.

    NMR을 확인해 보니 피크가 더블렛으로 나왔습니다. 이론적으로는 메틸기에 의해 쿼틀렛으로 나와야 하는데 더블렛으로 나오는 이유가 궁금합니다.ㅠㅠ

    자세한 답변 좀 부탁드릴께요~^^

     

    secondary amide proton(-NH-)의 경우는 분자내 또는 분자간 다른 -OH나 -NH 같은 group과의 hydrogen bonding 때문에 exchange가 빠르게 일어나서 인접한 proton에 의해서 coupling이 거의 일어나지 않거나 심지어는 NH peak가 관찰되지 않을 때도 있습니다. 보통 singlet으로 보이면서 NMR solvent나 시료 농도 혹은 측정 온도에 따라 broad하게 보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doublet으로 관찰되었다고 하셨는데 그 양상이 궁금하군요..확연하게 baseline까지 경계로 하여 peak가 2개로 보인것인지 아니면 peak의 윗 부분만 살짝 갈라져서 보인 것인지..전자의 경우라면 시료의 순도가 높은 것인지도 확인이 필요할 거 같구요..후자의 경우라면 고해상도 NMR(600 MHz 이상)을 찍을 경우에는 조건에 따라서 peak 윗 부분만 살짝 갈라져 보이는 경우는 있습니다. 실제 data를 보지 않은 상태라서 더 이상은 설명이 어려울 듯 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