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항체 개발 분야를 공부하다보니까 agonism이란 단어가 나오던데,
무슨 개념인지 궁금합니다. efficacy와 다른 의미인 것 같다는 느낌이 오는데 어떤 차이가 있는지도요.
- antibody
- agonism
- efficacy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
답변
김기환님의 답변
2011-09-20- 0
agonism과 efficacy는 서로 다른 class의 단어이미로 의미 규정을 별도로 해야 할 듯 합니다
항체의 사용에 있어서 두 가지 기능이 있습니다
첫번째는 어떠한 특정 수용체 (receptor)를 막음으로써 그 수용체에 의한 신호전달 기전을 차단하고 그로인해 세포로 하여금 수용체를 매개로 한 일련의 세포질내 반응이 일어나지 못하게 하는 경우 입니다. 이 경우는 본래의 수용체가 갖는 기능을 차단하여 무력화함으로써 즉 antagonism을 유발시키도록 합니다 (ex) 일반적인 항체 의약품들, anti-CTLA4 mAb, anti-EGFR, anti-VEGF...
두번째 경우는 그 반대의 경우입니다. 즉 agonism을 유발시키는 경우인데, 특정 수용체에 대한 항체를 쳤음에도 불구하고 이는 그 세포를 활성화시키는 목적으로 사용하게 되어서, 그 수용체를 매개로 일어나는 일련의 세포질내 반응이 항체로 인하여 유도가 되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efficacy라 함은 일반적인 "약효", "효과"를 의미하는데, antagism이든 agonism이든 일반적으로 어떠한 의약품이나 그에 준한 시험 물질(항체와 같이..)등이 만들어진 목적에 부합하여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막기 위해 만들어졌다면 antagonism의 효과 (' efficacy')가 나타나는 것이고
더 증진시키기 위해 만들어졌다면 agonism의 효과가 나타나는 것이지요.
개념을 잡는데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알기 쉽게 써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이제야 이해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