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particle size 측정 후 그래프 해석

mastersizer 2000을 사용하여 particle size를 측정하였습니다.

 

그래프를 출력해서 봤는데

 

d(0.1)은 4.663um, d(0.5)는 21.385um, d(0.9)는 63.734um 입니다.

 

평균 size가 얼마라고 말 할 수 있나요?

  • particle
  • mastersizer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김형근님의 답변

     안녕 하세요.

    재료공학쪽에선 평균이라는 것보다는 일반적으로 d50의 값을 읽습니다. 이것이 평균을 의미하는것은 아닙니다. 즉 님께서는 d50 이21.385um라고 읽으셔야 정확한 방법입니다. 그리고 d10은 4.663um라 읽으셔야 하구요. 그러면, 이 d10, d50, d90 의 의미는 뭐냐면, volume %의 frequency입니다. 즉, 전체입자량를 100%로 봤을때, 최초 10%의 부피를 차지하고 있는 사이즈를 d10이라 읽고, 그다음 최초 부피 50%를 차지하는 입자크기를 d50라 읽습니다. 이런식으로 Mastersizer에는 d(0.8)이라 있죠? 그것또한 최초 80%의 부피를 차지하는 입자크기입니다.


    그러면, 예를 들어 최초 50%부피를 차지한다는 것은, 님의 도표 밑에 표를 보시면, 아마 왼쪽에 입자 크기 그리고 바로 옆에 volume%라 되어 있을것입니다. 그 부피를 처음부터 50이 되는 칸까지 더해보시면(아마 도표 상으로 딱 떨어지지 않을 것입니다만, 딱 떨어진다는 가정하에.) 그 칸에 해당하는 입자 사이즈가 바로 옆에 있을 것입니다. 그러면, 그 입자 사이즈가 바로 d(0.5) ,즉 읽을때는 일반적으로 d50라 읽습니다.


    그러니 입자사이즈를 얘기할때 평균보다는. 단, 말씀 드린데로, d10, d50, d90의 숫가값을 읽어주셔야 제일 정확한 답이 됩니다. 혹, 새로운 분말을 구입하셨는데, 별 다른 얘기가 없다면, 거의 d50값을 표기한것이라 해도 무방합니다. 하지만, 제조업체에 정확히 물어 확인하는게 사용시 발생할 수있는 에러를 없애시는 것일 것 같습니다.  제가 아는데로 답변을 해 드렸는데, 혹, 이견이 있다면, 다른 분들의 의견도 듣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질문-------------------------------------

    mastersizer 2000을 사용하여 particle size를 측정하였습니다.

     

    그래프를 출력해서 봤는데

     

    d(0.1)은 4.663um, d(0.5)는 21.385um, d(0.9)는 63.734um 입니다.

     

    평균 size가 얼마라고 말 할 수 있나요?

     안녕 하세요.

    재료공학쪽에선 평균이라는 것보다는 일반적으로 d50의 값을 읽습니다. 이것이 평균을 의미하는것은 아닙니다. 즉 님께서는 d50 이21.385um라고 읽으셔야 정확한 방법입니다. 그리고 d10은 4.663um라 읽으셔야 하구요. 그러면, 이 d10, d50, d90 의 의미는 뭐냐면, volume %의 frequency입니다. 즉, 전체입자량를 100%로 봤을때, 최초 10%의 부피를 차지하고 있는 사이즈를 d10이라 읽고, 그다음 최초 부피 50%를 차지하는 입자크기를 d50라 읽습니다. 이런식으로 Mastersizer에는 d(0.8)이라 있죠? 그것또한 최초 80%의 부피를 차지하는 입자크기입니다.


    그러면, 예를 들어 최초 50%부피를 차지한다는 것은, 님의 도표 밑에 표를 보시면, 아마 왼쪽에 입자 크기 그리고 바로 옆에 volume%라 되어 있을것입니다. 그 부피를 처음부터 50이 되는 칸까지 더해보시면(아마 도표 상으로 딱 떨어지지 않을 것입니다만, 딱 떨어진다는 가정하에.) 그 칸에 해당하는 입자 사이즈가 바로 옆에 있을 것입니다. 그러면, 그 입자 사이즈가 바로 d(0.5) ,즉 읽을때는 일반적으로 d50라 읽습니다.


    그러니 입자사이즈를 얘기할때 평균보다는. 단, 말씀 드린데로, d10, d50, d90의 숫가값을 읽어주셔야 제일 정확한 답이 됩니다. 혹, 새로운 분말을 구입하셨는데, 별 다른 얘기가 없다면, 거의 d50값을 표기한것이라 해도 무방합니다. 하지만, 제조업체에 정확히 물어 확인하는게 사용시 발생할 수있는 에러를 없애시는 것일 것 같습니다.  제가 아는데로 답변을 해 드렸는데, 혹, 이견이 있다면, 다른 분들의 의견도 듣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질문-------------------------------------

    mastersizer 2000을 사용하여 particle size를 측정하였습니다.

     

    그래프를 출력해서 봤는데

     

    d(0.1)은 4.663um, d(0.5)는 21.385um, d(0.9)는 63.734um 입니다.

     

    평균 size가 얼마라고 말 할 수 있나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강광철님의 답변

     

    -------------------------------------질문-------------------------------------

    mastersizer 2000을 사용하여 particle size를 측정하였습니다.

     

    그래프를 출력해서 봤는데

     

    d(0.1)은 4.663um, d(0.5)는 21.385um, d(0.9)는 63.734um 입니다.

     

    평균 size가 얼마라고 말 할 수 있나요?

    0.5의 중간값을 평균값으로 보시는것이 타당할것입니다.

     

    또한 반복을 몇회해서 분석를 했느냐에 따라서 그평균값이 이동하겠죠.

    10회반복했을때 0.5값이 21 이면 거의 그정도가 그입자의 평균크기로 보면되는데

     

    분석을 한번하고 그평균값이 21.83um이라고 하면 오차가 발생할것같아요..

     

    -------------------------------------질문-------------------------------------

    mastersizer 2000을 사용하여 particle size를 측정하였습니다.

     

    그래프를 출력해서 봤는데

     

    d(0.1)은 4.663um, d(0.5)는 21.385um, d(0.9)는 63.734um 입니다.

     

    평균 size가 얼마라고 말 할 수 있나요?

    0.5의 중간값을 평균값으로 보시는것이 타당할것입니다.

     

    또한 반복을 몇회해서 분석를 했느냐에 따라서 그평균값이 이동하겠죠.

    10회반복했을때 0.5값이 21 이면 거의 그정도가 그입자의 평균크기로 보면되는데

     

    분석을 한번하고 그평균값이 21.83um이라고 하면 오차가 발생할것같아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