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DSC 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DSC 관련해서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일반적으로 고분자의 DSC 분석을 실시할 때 용융온도 보다 약간 높은 온도까지 승온을 실시한 후

 

냉각을 시키잖아요. 냉각 시킬때 급냉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냉각을 천천히 시킬 경우에 발열

 

peak 가 나타나는데, 이를 일반적으로 냉각 결정화온도라고 부르죠.

 

여기서 질문이 있는데요. 일반적으로 Tc는 유리전이온도 이상에서 분자사슬이 자유롭게 움직이다

 

가 특정온도에서 배열이 생성되면서 발열되는 peak가 나타나는 거잖아요? 그리고 Tm 은 고상에

 

서 액상으로 상변이가 진행되면서 강한 흡열peak가 나타나는 것이 잖아요.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Tm 이상의 온도에서 냉각을 천천히 시킬때 나타나는 발열피크가 결정이

 

생성되면서 나타나는 피크라고 보는게 맞은건가요? Tm의 반대로 액상에서 고상으로 상변이가 발

 

생하면서 나타나는 발열피크라고 보는건 틀린건가요?

 

갑자기 궁금해서 질문 드립니다.

 

DSC 분석 전문가께서 답변해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모두모두 행복하세요~

  • PET
  • DSC
  • 결정화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강광철님의 답변

     결정의 상변화에따른 발열또는 흡열 피크가 발생하는것으로 보는것이 타당한것 같네요. 논문 자료 참고 하세요.

    -------------------------------------질문-------------------------------------

    안녕하세요. DSC 관련해서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일반적으로 고분자의 DSC 분석을 실시할 때 용융온도 보다 약간 높은 온도까지 승온을 실시한 후

     

    냉각을 시키잖아요. 냉각 시킬때 급냉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냉각을 천천히 시킬 경우에 발열

     

    peak 가 나타나는데, 이를 일반적으로 냉각 결정화온도라고 부르죠.

     

    여기서 질문이 있는데요. 일반적으로 Tc는 유리전이온도 이상에서 분자사슬이 자유롭게 움직이다

     

    가 특정온도에서 배열이 생성되면서 발열되는 peak가 나타나는 거잖아요? 그리고 Tm 은 고상에

     

    서 액상으로 상변이가 진행되면서 강한 흡열peak가 나타나는 것이 잖아요.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Tm 이상의 온도에서 냉각을 천천히 시킬때 나타나는 발열피크가 결정이

     

    생성되면서 나타나는 피크라고 보는게 맞은건가요? Tm의 반대로 액상에서 고상으로 상변이가 발

     

    생하면서 나타나는 발열피크라고 보는건 틀린건가요?

     

    갑자기 궁금해서 질문 드립니다.

     

    DSC 분석 전문가께서 답변해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모두모두 행복하세요~

     결정의 상변화에따른 발열또는 흡열 피크가 발생하는것으로 보는것이 타당한것 같네요. 논문 자료 참고 하세요.

    -------------------------------------질문-------------------------------------

    안녕하세요. DSC 관련해서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일반적으로 고분자의 DSC 분석을 실시할 때 용융온도 보다 약간 높은 온도까지 승온을 실시한 후

     

    냉각을 시키잖아요. 냉각 시킬때 급냉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냉각을 천천히 시킬 경우에 발열

     

    peak 가 나타나는데, 이를 일반적으로 냉각 결정화온도라고 부르죠.

     

    여기서 질문이 있는데요. 일반적으로 Tc는 유리전이온도 이상에서 분자사슬이 자유롭게 움직이다

     

    가 특정온도에서 배열이 생성되면서 발열되는 peak가 나타나는 거잖아요? 그리고 Tm 은 고상에

     

    서 액상으로 상변이가 진행되면서 강한 흡열peak가 나타나는 것이 잖아요.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Tm 이상의 온도에서 냉각을 천천히 시킬때 나타나는 발열피크가 결정이

     

    생성되면서 나타나는 피크라고 보는게 맞은건가요? Tm의 반대로 액상에서 고상으로 상변이가 발

     

    생하면서 나타나는 발열피크라고 보는건 틀린건가요?

     

    갑자기 궁금해서 질문 드립니다.

     

    DSC 분석 전문가께서 답변해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모두모두 행복하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