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요즘 지용성 성분에 관해 관심이 있어서 그런데,
약 중에 지용성 성분인것이 뭐가 있나요?
약물 중에서 수용성 성분에 비해 지용성 성분의 효능이 좋았다라는 논문도 가지고 계시면
부탁드립니다.
지용성성분에 관한 기초자료도 괜찮습니다.
감사합니다.
- 지용성 성분
- 약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2011-10-06- 0
반갑습니다. 약물의 성질에 대한 질문을 주셨는데.... 조금 혼동이 있다고 판단됩니다.
지용성 성분이 약효가 우수하다는 말은 정확한 표현이 아닌듯 합니다.
약물의 물리화학적 성질을 언급한 부분인듯한데.....약물의 효능을 판단하는 지표 중 하나가 생체 이용율 입니다. 약물을 인체에 투여한 다음 이것이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선 흡수, 분포, 대사, 배출 과정을 거치면서 효능을 나타냅니다.(보통 ADME 라고 하죠)
일단 인체 내로 흡수가 되어야 약효를 나타낼 것이므로 흡수가 매우 중요한데....여기서 고려되는 물리화학적 성질 중 하나가 지용성(lipophilicity) 입니다. 이 외에도 pKa, 수용성 등등이 있고요.
지용성은 보통 log P로 나타냅니다. 지용성이 중요한 것은 약물이 세포내로 유입될 때 세포막을 통과해야하기 때문입니다.
즉 지용성 성분 여부를 따지실게 아니라 약물의 물리화학적 성질에 관심을 가지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인체라는 것이 매우 오묘해서 간단하지 않습니다. 약물의 지용성이 높다고 해서 무조건 좋은 것도 아니거든요. 너무 높으면 흡수되지 못하고 변으로 나갈테니까요. 흡수가 잘 된다고 해서 무조건 좋은 것도 아닙니다. 바로 배출되어 버리면 효과를 나타낼 시간적 여유가 없고,.......너무 오래 체내에 머물러도 문제죠.
모든 것이 적정선에 있어야 합니다. 때문에 이러한 성질을 나타내는 물질을 찾기가 어려운겁니다.
읽어보시면 좋겠다 싶은 문헌을 남깁니다.
1. http://www.springerlink.com/content/n7801420x41kj6r5/#section=97126&page=2&locus=0
2. http://mediaserver.aaps.org/meetings/webinars/ppb-9/ppb-9.pdf
-------------------------------------질문-------------------------------------
요즘 지용성 성분에 관해 관심이 있어서 그런데,
약 중에 지용성 성분인것이 뭐가 있나요?
약물 중에서 수용성 성분에 비해 지용성 성분의 효능이 좋았다라는 논문도 가지고 계시면
부탁드립니다.
지용성성분에 관한 기초자료도 괜찮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