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Gate Off Current가 높아졌습니다..분석을 어떻게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산화물반도체를 공부중인 학생입니다.


 


Top Gate 구조의 IGZO TFT에서 500도 열처리 후 측정시


 


OFF Current level이 1E-13 에서 --> 1E-10 으로 상승했습니다.


 


원인분석을 어찌해야할지 모르겠어서 질문드립니다..답변부탁드립니다.


 


그리고 SEM 분석 결과 S/D으로 사용중인 ITO(1500)와 그 위 Mo(3000)의 계면이


 


열팽창에 의한것으로 예상되는 약간의 공백이 일부 발견되었습니다.


 


소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떤것이 있을까요? 참고자료나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박재형 올림.

  • 산화물반도체
  • IGZO
  • Gate current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한진우님의 답변

    좀더 자세한 상황을 알면 더 좋은 답변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정황상 가능한 것을 설명드리면

     

    1) ITO의 Indium 이나 Tin 이 열에 의해 IGZO로 확산해 들어가 Source와 Drain 사이의 절대적 거리가 줄들 경우.

    2) 열처리에 의해 ITO와 IGZO의 Energy Band Offset 혹은 Schottky Barrier Height 이 낮아질 경우.

    3) 게이트 절연막이나 게이트의 특정 원소가 IGZO로 스며들어 문턱전압이 낮아질 경우.

    4) 게이트 절연막의 결정화되어 Leaky 한 절연막으로 바뀌게 되서 게이트에서 드레인으로 전류가 새어 들어오는 경우.

     

    위 경우의 수를 염두하면서 원인을 좁혀나갈 수 있을것 같네요.

     

    -------------------------------------질문-------------------------------------

    안녕하세요. 산화물반도체를 공부중인 학생입니다.

     

    Top Gate 구조의 IGZO TFT에서 500도 열처리 후 측정시

     

    OFF Current level이 1E-13 에서 --> 1E-10 으로 상승했습니다.

     

    원인분석을 어찌해야할지 모르겠어서 질문드립니다..답변부탁드립니다.

     

    그리고 SEM 분석 결과 S/D으로 사용중인 ITO(1500)와 그 위 Mo(3000)의 계면이

     

    열팽창에 의한것으로 예상되는 약간의 공백이 일부 발견되었습니다.

     

    소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떤것이 있을까요? 참고자료나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박재형 올림.

    좀더 자세한 상황을 알면 더 좋은 답변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정황상 가능한 것을 설명드리면

     

    1) ITO의 Indium 이나 Tin 이 열에 의해 IGZO로 확산해 들어가 Source와 Drain 사이의 절대적 거리가 줄들 경우.

    2) 열처리에 의해 ITO와 IGZO의 Energy Band Offset 혹은 Schottky Barrier Height 이 낮아질 경우.

    3) 게이트 절연막이나 게이트의 특정 원소가 IGZO로 스며들어 문턱전압이 낮아질 경우.

    4) 게이트 절연막의 결정화되어 Leaky 한 절연막으로 바뀌게 되서 게이트에서 드레인으로 전류가 새어 들어오는 경우.

     

    위 경우의 수를 염두하면서 원인을 좁혀나갈 수 있을것 같네요.

     

    -------------------------------------질문-------------------------------------

    안녕하세요. 산화물반도체를 공부중인 학생입니다.

     

    Top Gate 구조의 IGZO TFT에서 500도 열처리 후 측정시

     

    OFF Current level이 1E-13 에서 --> 1E-10 으로 상승했습니다.

     

    원인분석을 어찌해야할지 모르겠어서 질문드립니다..답변부탁드립니다.

     

    그리고 SEM 분석 결과 S/D으로 사용중인 ITO(1500)와 그 위 Mo(3000)의 계면이

     

    열팽창에 의한것으로 예상되는 약간의 공백이 일부 발견되었습니다.

     

    소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떤것이 있을까요? 참고자료나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박재형 올림.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