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첨부파일
chiral HPLC 를 분석하고 있습니다.
첨부한 file 에 있는 구조입니다.
chiralpak OD-H column 을 사용하고 있구요,
diestereomer를 분리해야하는데 쉽지가 않습니다.
우선 Hx:EtOH 를 isocratic으로 95:5 부터 5% 단위로 80:20까비 분석해 보았습니다.
그리고 Hx:IPA 역시 같은 ratio로 해보았습니다,
STD로 racemic 물질이 있어서 분석한 결과,
Hx:IPA=95:5 ratio 에서만 봉우리 끝만 살짝 갈라집니다.
buffer 로는 TFA와 Et2NH 를 사용해보았으나 같은 결과였습니다.
chiral 조건이 Hx:IPA or EtOH 말고 해볼 수 있는 조건이 더 있나요?
논문을 찾아 그 조건으로 해보아도 소용이 없네요,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Hx:IPA= 95:5
- chiral
- HPLC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2011-10-19- 0
반갑습니다.
Chiral HPLC분석은 사실 구조만 보고 컬럼과 분석조건을 정하기 무척 어렵습니다.
유사한 구조의 분석예가 있다면 동일 컬럼으로 시도해볼 수는 있겠죠.
Chiralpak OD-H 컬럼을 사용하셧다고 하는데 정확한 브랜드네임은 Chiralcel OD-H입니다.
Chiralpak과 chiralcel은 모두 daicel사의 제품으로 고정상이 각각 아미로스 유도체와 셀룰로스 유도체로 다릅니다. 님께서 사용하신 컬럼은 셀룰로스 유도체계 순상컬럼입니다.
우선 이 컬럼의 경우 일반적인 이동상은 alkane과 alcohol 홉합용매를 사용하며 경우에 따라 분리도를 개선해주는 modifier를 첨가해서 사용합니다. 따라서 님께서 사용하신 이동상 조건에서 Hex가 alkane에 해당하고, IPA가 alcohol에 해당합니다. 아시겠지만 alkane과 alcohol은 님이 사용하신 것 외에도 다양합니다. 하지만 모든 것들이 분리에 유효한 것은 아닙니다. 메이커에서 권장하는 조성은 다음 링크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http://www.mz-at.de/pdf/Chiralcel_ODH.pdf
modifier는 님의 경우 염기성 물질이므로 DEA, ethanolamine, butylamine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Chiral column 사용시 특별히 주의할 점은 컬럼 메뉴얼에 명기된 이동상 교체법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는 것입니다. 더불어 컬럼 사용전에 컬럼의 상태를 점검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컬럼의 상태는 컬럼에 걸리는 압력과 컬럼에 동봉된 표준 chromatogram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석을 시행하여 기준 이상의 분리도가 나오는 것을 확인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컬럼의 상태가 좋지 않은 상태에선 아무리 이동상의 조성을 바꾸어도 원하는 분리도를 얻을 수 없으므로 실험전에 반듯이 확인하셔야 합니다.
논문을 찾아서 같은 조건을 시도하셨다고 했는데.....분석조건이 알려져 있는 물질의 경우 분리가 않된다면 컬럼의 상태를 의심해 보시기 바랍니다.
-------------------------------------질문-------------------------------------
chiral HPLC 를 분석하고 있습니다.
첨부한 file 에 있는 구조입니다.
chiralpak OD-H column 을 사용하고 있구요,
diestereomer를 분리해야하는데 쉽지가 않습니다.
우선 Hx:EtOH 를 isocratic으로 95:5 부터 5% 단위로 80:20까비 분석해 보았습니다.
그리고 Hx:IPA 역시 같은 ratio로 해보았습니다,
STD로 racemic 물질이 있어서 분석한 결과,
Hx:IPA=95:5 ratio 에서만 봉우리 끝만 살짝 갈라집니다.
buffer 로는 TFA와 Et2NH 를 사용해보았으나 같은 결과였습니다.
chiral 조건이 Hx:IPA or EtOH 말고 해볼 수 있는 조건이 더 있나요?
논문을 찾아 그 조건으로 해보아도 소용이 없네요,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Hx:IPA= 9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