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대학원진학 질문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서울에 중위권 대학에서 분자생물학을 전공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대학원진로에 너무 앞이 깜깜해서 여러분들께 조언좀 얻고자 합니다.. 제발도와주세요 ㅠㅠ...


 


저는 생명과학계열 학부를 나왔는데 대학원은 공학계열로 가보려고합니다


아무래도 공학계열이 취업이 잘 된다고 해서 입니다.


저는 대학원을 나와서 취업을 할 생각인데요 생명과학계열로 대학원을 안가고 공학계열로 가는게 옳은 판단일까요?


그리고 좀 생각해둔 분야가 바이오와 연관된


신소재, 나노, 전자


이렇게 생각하고 있는데요


각 바이오와 융합된 각 분야 전망은 어떻고 취업률은 얼마나되는지


학부때 배우지 않았어도 대학원가서 따라갈수 있는지 알고싶습니다


 

제발도와주세욤...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 대학원
  • 바이오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김형근님의 답변

    말씀 그대로 혹시 외국 유학은 생각해 보셨는지요.

    저역시 한국에서 대학과 대학원을 나온후 캐나다로 유학와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습니다.

    물론 미국으로 갔으면 하는 생각이 있었으나 사정상 캐나다로 와서 지금까지도 지내고 있습니다.

    한국내에서의 진학을 생각하신다면 제 글이 별 도움은 안되겠으나, 혹시라도 유학이란것을 생각해 보신다면 약간의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

     

    일단, 제가 아는한 많은 외국 대학원에서는 유학생에게도 장학금의 혜택이 많습니다. 그장학금은 학비를 커버하기에 충분하며, 또 학기중에는 조교를 하며 생활비를 마련 할 수 도 있습니다. 또한 한국의 과학재단에서는 매해 유학생을 선발을 합니다. 제 아는 후배도 이렇게 해서 한국에서 전액 장학금으로 유학을 왔기에 잘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학부 전공은 생명과학계열이고 진학을 바이오 관련 재료쪽으로 생각한다면, 오히려 더 많은 기회가 있을 것 같습니다. 요즘은 많은 대학의 재료공학과에 바이오 전공 교수님들이 있기에 학부전공이 생명과학이라면, 오히려 순수재료를 하는 학부공부보다 더 많은 지식을 가지고 있기에 바이오 재료쪽으로 진학에 많은 도움이 될것입니다. 일단 지금부터라도 혹시 유학 생각을 하신다면, 진학하고자 하는 대학의 학과 교수들에게 이메일을 넣으세요. 답장이 안와도 계속이요...그래도 안와도 또 넣으세요...그러면 종래에는 대부분 답변을 줍니다..^^

     

    유학은 단순히 학문을 공부하기보다는 그 나라에 와서 모든것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입니다. 한국으로 돌아가신후에도 여기에서 쌓은 인맥들을 잘 활용한다면, 후에 함께 공동 연구를 할 수 있는 기회도 가질 수 있구요...더군다나 한국에서 학부를 나오셨으니 한국 인맥을 더할 나위도 없겠죠... 즉, 많은 인맥을 한국뿐 아니라 외국으로도 넓힐 수 있는 기회입니다.

     

    혹, 후에 어느나라를 가던지간에 영어권에서 학위를 했으면, 또한 영어권에 있는 교수들에게 직접 추천서를 받을 수 있다면, 정말 금상 첨화일것입니다.(제 아는 후배들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한것입니다. 한국이 아닌 외국으로 갈때 (공부건 취업이건) 영어권의 추천서가 얼마나 중요한지를요...

     

    저역시 세라믹을 했지만, 학위당시, 제 옆에놈은 바이오 재료를 했었습니다. 지금도 많은 같은 실험실내에 있는 후배들이 거의 모두 바이오 재료쪽으로 학위를 하고 있습니다. 사실 전, 세라믹전공으로 두루두루 했었는데, 지금은 재료쪽에서도 바이오 재료가 거의 대세인것 같습니다.

     

    제가 보기엔 재료공학내에 바이오 재료쪽으로 좋은 백그라운드를 가지고 계신것 같습니다. 좀더 선택의 폭을 한번 넓혀 보심이 어떤지요...

     

     -------------------------------------질문-------------------------------------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서울에 중위권 대학에서 분자생물학을 전공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대학원진로에 너무 앞이 깜깜해서 여러분들께 조언좀 얻고자 합니다.. 제발도와주세요 ㅠㅠ...


     


    저는 생명과학계열 학부를 나왔는데 대학원은 공학계열로 가보려고합니다


    아무래도 공학계열이 취업이 잘 된다고 해서 입니다.


    저는 대학원을 나와서 취업을 할 생각인데요 생명과학계열로 대학원을 안가고 공학계열로 가는게 옳은 판단일까요?


    그리고 좀 생각해둔 분야가 바이오와 연관된


    신소재, 나노, 전자


    이렇게 생각하고 있는데요


    각 바이오와 융합된 각 분야 전망은 어떻고 취업률은 얼마나되는지


    학부때 배우지 않았어도 대학원가서 따라갈수 있는지 알고싶습니다


     

    제발도와주세욤...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말씀 그대로 혹시 외국 유학은 생각해 보셨는지요.

    저역시 한국에서 대학과 대학원을 나온후 캐나다로 유학와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습니다.

    물론 미국으로 갔으면 하는 생각이 있었으나 사정상 캐나다로 와서 지금까지도 지내고 있습니다.

    한국내에서의 진학을 생각하신다면 제 글이 별 도움은 안되겠으나, 혹시라도 유학이란것을 생각해 보신다면 약간의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

     

    일단, 제가 아는한 많은 외국 대학원에서는 유학생에게도 장학금의 혜택이 많습니다. 그장학금은 학비를 커버하기에 충분하며, 또 학기중에는 조교를 하며 생활비를 마련 할 수 도 있습니다. 또한 한국의 과학재단에서는 매해 유학생을 선발을 합니다. 제 아는 후배도 이렇게 해서 한국에서 전액 장학금으로 유학을 왔기에 잘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학부 전공은 생명과학계열이고 진학을 바이오 관련 재료쪽으로 생각한다면, 오히려 더 많은 기회가 있을 것 같습니다. 요즘은 많은 대학의 재료공학과에 바이오 전공 교수님들이 있기에 학부전공이 생명과학이라면, 오히려 순수재료를 하는 학부공부보다 더 많은 지식을 가지고 있기에 바이오 재료쪽으로 진학에 많은 도움이 될것입니다. 일단 지금부터라도 혹시 유학 생각을 하신다면, 진학하고자 하는 대학의 학과 교수들에게 이메일을 넣으세요. 답장이 안와도 계속이요...그래도 안와도 또 넣으세요...그러면 종래에는 대부분 답변을 줍니다..^^

     

    유학은 단순히 학문을 공부하기보다는 그 나라에 와서 모든것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입니다. 한국으로 돌아가신후에도 여기에서 쌓은 인맥들을 잘 활용한다면, 후에 함께 공동 연구를 할 수 있는 기회도 가질 수 있구요...더군다나 한국에서 학부를 나오셨으니 한국 인맥을 더할 나위도 없겠죠... 즉, 많은 인맥을 한국뿐 아니라 외국으로도 넓힐 수 있는 기회입니다.

     

    혹, 후에 어느나라를 가던지간에 영어권에서 학위를 했으면, 또한 영어권에 있는 교수들에게 직접 추천서를 받을 수 있다면, 정말 금상 첨화일것입니다.(제 아는 후배들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한것입니다. 한국이 아닌 외국으로 갈때 (공부건 취업이건) 영어권의 추천서가 얼마나 중요한지를요...

     

    저역시 세라믹을 했지만, 학위당시, 제 옆에놈은 바이오 재료를 했었습니다. 지금도 많은 같은 실험실내에 있는 후배들이 거의 모두 바이오 재료쪽으로 학위를 하고 있습니다. 사실 전, 세라믹전공으로 두루두루 했었는데, 지금은 재료쪽에서도 바이오 재료가 거의 대세인것 같습니다.

     

    제가 보기엔 재료공학내에 바이오 재료쪽으로 좋은 백그라운드를 가지고 계신것 같습니다. 좀더 선택의 폭을 한번 넓혀 보심이 어떤지요...

     

     -------------------------------------질문-------------------------------------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서울에 중위권 대학에서 분자생물학을 전공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대학원진로에 너무 앞이 깜깜해서 여러분들께 조언좀 얻고자 합니다.. 제발도와주세요 ㅠㅠ...


     


    저는 생명과학계열 학부를 나왔는데 대학원은 공학계열로 가보려고합니다


    아무래도 공학계열이 취업이 잘 된다고 해서 입니다.


    저는 대학원을 나와서 취업을 할 생각인데요 생명과학계열로 대학원을 안가고 공학계열로 가는게 옳은 판단일까요?


    그리고 좀 생각해둔 분야가 바이오와 연관된


    신소재, 나노, 전자


    이렇게 생각하고 있는데요


    각 바이오와 융합된 각 분야 전망은 어떻고 취업률은 얼마나되는지


    학부때 배우지 않았어도 대학원가서 따라갈수 있는지 알고싶습니다


     

    제발도와주세욤...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답변감사합니다 ^^
    답글을 보니 유학을 갔다오면 한결 나아질것같긴하네요. 하지만 제가 생명과학쪽을 안가려는 이유중에 하나가 유학을 가기 싫어서랍니다ㅠㅠ... 2개월동안 캐나다에 나가본적이있었는데 저는 외국생활하고는 좀 안맞는거 같더라구요 ㅠㅠ.. 2개월이었는데 매우 힘들었답니다 ㅠㅠ 집안에서 외국나가는것에 대해 반대도 하구요.. 하지만 좋은 답변 감사드립니다!

    김형근(keun71) 2011-10-31

    네, 그렇군요..어쨋든 어떤것이 되던, 님께 좋은 결과가 있기를 바랍니다.

  • 답변

    정지원님의 답변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학부 전공과 다른 분야의 대학원으로 진학하곤 합니다.


    그리고 큰 무리없이 잘 하고 있구요. 그 부분은 걱정 안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꼭 자기 전공으로 진학해야 한다는 생각을 버리고 좀더 고려하는 범위를 넓혀도 될것 같아요.

     

    분야에 따른 취업률을 보시고 싶으시면

     

    하이브레인 넷(http://www.hibrain.net/) 같은 곳에 가셔서 취업 정보를 검색해보세요.


    석박사 채용 전문 사이트라서 요즘 소위 잘 팔리는(?) 분야가 뭔지 대략 알수 있습니다.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학부 전공과 다른 분야의 대학원으로 진학하곤 합니다.


    그리고 큰 무리없이 잘 하고 있구요. 그 부분은 걱정 안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꼭 자기 전공으로 진학해야 한다는 생각을 버리고 좀더 고려하는 범위를 넓혀도 될것 같아요.

     

    분야에 따른 취업률을 보시고 싶으시면

     

    하이브레인 넷(http://www.hibrain.net/) 같은 곳에 가셔서 취업 정보를 검색해보세요.


    석박사 채용 전문 사이트라서 요즘 소위 잘 팔리는(?) 분야가 뭔지 대략 알수 있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