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
GC LC 의 컬럼에 코팅되거나 packed된 물질에 의하여 컬럼이 극성인지 비극성인지를 알게해주는데요, 제가 어떻게 접근을 해야할지 잘모르겠어요 도움좀 주세요. 그리고 GC분석과 LC분석을 할때에 분석하려는 물질에 극성도에 따라서 어떤 컬럼을 사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인지 배울수 있는 곳이나 자세한 정보좀 알려주세요.
- GC column
- LC column
- 극성도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2011-11-02- 0
반갑습니다.
눈높이에 맞춰 답변을 드려야 하는데.... 질문의 내용만으론 눈높이를 가늠하기 어렵군요.
화합물의 극성 정도를 판단하는 것이 분석조건을 확립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워낙 변수가 많기 때문에 대략적인 정도를 짐작할 뿐이죠.
질문의 요지는 컬럼 고정상 극성을 어떻게 판단하는가군요. 사실 분석물질의 극성을 판단하는 기준을 동일하게 적용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알코올이나 카복실산 같은 극성 물질을 잘 분리하려면 이들과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질 수 있는 고정상을 써야 합니다. GC의 경우엔 Wax계열의 고정상이 극성이 높은 고정상이고 이러한 물질의 분석에 자주 사용합니다. 하지만 상호작용이 너무 강해서 결합이 비가역적으로 이루어지면 않되겠죠. 분석기법의 특성이나 변수등을 고려하면 좀 복잡해지기는 하지만 기본적인 착안점은 이렇습니다.
GC컬럼을 예로 들어 극성도를 살펴 보겠습니다.
보통 DB-1, DB-5, .......Wax등의 컬럼이 있고 이 시리즈는 극성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냅니다. DB-1(HP-1)은 methyl로 치환된 실리콘 고분자입니다. 100% 메틸 치환 고분자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DB-5, DB-35 이면 메틸 중 5%(35%)가 phenyl로 치환된 고분자 입니다.(이 외의 다른 컬럼들은 고정상의 숫자와 조성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많습니다.) 즉 메틸보다는 페닐이 더 극성이 높으므로 전체적인 극성이 증가하는 것이죠. 죄종적으로 wax컬럼의 경우는 폴리에틸렌글리콜로 되어 있어서 알코올 등의 극성화합물 분석에 좋습니다.
이러한 내용들은 GC나 HPLC 관련 교재를 공부하셔야 합니다. 아니면 컬럼 카달로그의 스펙과 응용자료를 열심히 공부하셔도 좋습니다. 기본적으론 각 크로마토그래피 기법별로 분리 메커니즘을 공부하셔야 이해가 쉬울겁니다.
좁은 지면에 많은 설명을 드릴 수 없어 안타깝습니다.
HPLC 교재로 웹상에서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링크가 있어 첨부해 드립니다. 행운을 빕니다.
http://hplc.chem.shu.edu/HPLC/index.html
-------------------------------------질문-------------------------------------
GC LC 의 컬럼에 코팅되거나 packed된 물질에 의하여 컬럼이 극성인지 비극성인지를 알게해주는데요, 제가 어떻게 접근을 해야할지 잘모르겠어요 도움좀 주세요. 그리고 GC분석과 LC분석을 할때에 분석하려는 물질에 극성도에 따라서 어떤 컬럼을 사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인지 배울수 있는 곳이나 자세한 정보좀 알려주세요.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2011-11-02- 0
첨부파일
유료 사이트 입니다만 무료 공개물도 굉장히 좋고, 체계적으로 배울 수 있도록 도와 주는 사이트가 있어 알려드리려 합니다.
외국 사이트고 유료입니다. 크로마토그래피 관련 기법들에 대해 체계적으로 배울 수 있습니다.
투자하실 수 있다면 책으로 독학하시는 것 보다 훨씨 유용할 것 같네요.
-------------------------------------질문-------------------------------------
GC LC 의 컬럼에 코팅되거나 packed된 물질에 의하여 컬럼이 극성인지 비극성인지를 알게해주는데요, 제가 어떻게 접근을 해야할지 잘모르겠어요 도움좀 주세요. 그리고 GC분석과 LC분석을 할때에 분석하려는 물질에 극성도에 따라서 어떤 컬럼을 사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인지 배울수 있는 곳이나 자세한 정보좀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