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
합성한 물질의 순도 확인을 위해 내부 표준물법을 이용하여 GC로 순도측정을 하려고 합니다.
그런데 내부 표준물법이 확실히 이해가 안가서요, 시료준비를 어떻게 해야할 지 막막합니다.
내부 표준물은 benzylaldehyde를 사용할 예정이구요.
제가 찾은 바로는 x축에 합성한 물질량/내부 표준물양, y축에는 합성한 물질의 peak넓이/내부표준물 peak넓이 라고 하는거 같은데..한 30 %는 알겠는데 GC 에 어떻게 적용을 해야할지도 모르겠습니다.
내부 표준물을 일정량으로 해서 합성한 물질을 0.1당량 0.3당량 0.5당량 1당량 이런식으로 일정하게 증가시켜서 GC를 측정하면 되는건가요??
아 너무 복잡해서 정리가 안됩니다.ㅠ
정확히 시료를 어떻게 준비하고, 어떻게 측정해야 하는지 한 수 가르쳐 주셨으면 합니다.
- 순도
- 내부표준물법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2011-12-08- 0
내부 표준물질을 이용한 정량분석은 가장 정확도가 높은 정량법 중 하나 입니다.
이 방법의 핵심은 내부 표준물질의 농도를 모든 용액에서 일정하게 유지해야 한다는 겁니다.
그래야 내부표준물질의 response와 검체의 response의 비를 통해 정확하게 정량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겁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내부 표준물질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을까요?
다른 분들은 어떻게 하시는지 모르겠으나..... 제 경우엔 미리 내부표준물질 용액을 만든 다음 이것으로 모든 용액을 제조합니다. 그렇게 하면 내부표준물질의 농도가 검액이든, 검량선용 표준액이든 일정하게 됩니다.
검량선의 x축과 y축에 대한 내용을 언급하셨는데......외부표준품을 사용할 경우 x축은 농도, y축은 peak면적으로 하죠. 내부표준품(IS)을 사용한 분석에선 x축은 동일하고, y축만 분석대상의 peak면적/IS의 peak면적 비로 바꾸면 됩니다.
-------------------------------------질문-------------------------------------
합성한 물질의 순도 확인을 위해 내부 표준물법을 이용하여 GC로 순도측정을 하려고 합니다.
그런데 내부 표준물법이 확실히 이해가 안가서요, 시료준비를 어떻게 해야할 지 막막합니다.
내부 표준물은 benzylaldehyde를 사용할 예정이구요.
제가 찾은 바로는 x축에 합성한 물질량/내부 표준물양, y축에는 합성한 물질의 peak넓이/내부표준물 peak넓이 라고 하는거 같은데..한 30 %는 알겠는데 GC 에 어떻게 적용을 해야할지도 모르겠습니다.
내부 표준물을 일정량으로 해서 합성한 물질을 0.1당량 0.3당량 0.5당량 1당량 이런식으로 일정하게 증가시켜서 GC를 측정하면 되는건가요??
아 너무 복잡해서 정리가 안됩니다.ㅠ
정확히 시료를 어떻게 준비하고, 어떻게 측정해야 하는지 한 수 가르쳐 주셨으면 합니다.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11-12-08- 0
-------------------------------------질문-------------------------------------
합성한 물질의 순도 확인을 위해 내부 표준물법을 이용하여 GC로 순도측정을 하려고 합니다.
그런데 내부 표준물법이 확실히 이해가 안가서요, 시료준비를 어떻게 해야할 지 막막합니다.
내부 표준물은 benzylaldehyde를 사용할 예정이구요.
제가 찾은 바로는 x축에 합성한 물질량/내부 표준물양, y축에는 합성한 물질의 peak넓이/내부표준물 peak넓이 라고 하는거 같은데..한 30 %는 알겠는데 GC 에 어떻게 적용을 해야할지도 모르겠습니다.
내부 표준물을 일정량으로 해서 합성한 물질을 0.1당량 0.3당량 0.5당량 1당량 이런식으로 일정하게 증가시켜서 GC를 측정하면 되는건가요??
아 너무 복잡해서 정리가 안됩니다.ㅠ
정확히 시료를 어떻게 준비하고, 어떻게 측정해야 하는지 한 수 가르쳐 주셨으면 합니다.
윗 분이 설명을 잘 해주었는데, 한가지 부가 설명을 드립니다. 내부 표준 물질을 사용할 경우에는 분석하고자 하는 시료에 내부표준물질을 미리 넣어서 전처리한 후에 분석을 해야만 전처리 과정상에서 시료의 손실되는 양을 같이 보전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정량시에는 합성한 물질의 농도(y축의 경우 peak area)를 내부표준물질의 농도(y축의 경우 peak area)로 나눠주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정확한 정량이 가능합니다. 마찬가지로 검량선 작성시에도 내부표준물질의 농도를 일정하게 만든 stock solution을 당량별로 제조한 표준물질(합성물질)에 각각 첨가하여 시료 전처리 과정과 동일하게 한 후에 검량선 작성하면 됩니다. 그리고 추가로 질문하신 내용에 대해서는, 검량선 작성후에는 검량선 범위 내의 농도로 시료를 준비한다는 것이 이해가 잘 안되는데, 시료는 미지의 농도이기 때문에 시료 그 자체에 내부표준물질을 첨가한 후에 전처리 하여 분석했을 때의 y값을 얻어서 검량선에 대입하게 되면 x(농도)를 구할 수 있습니다. 물론 검량선을 구했을 때는 시료의 농도를 대략 추정하여 검량선을 그렸을 것으로 가정할 수 있겠습니다...궁금한 사항은 추가로 질문하면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조영제(cho0je) 2011-12-09갑자기 또 의문이 생겼네요...ㅎ 제가 실시한 방법이 내부표준물질로 착각을 했네요ㅠ 제가 실시한 방법은 합성한 물질과 내부 표준 물질이라고 생각한 benzyladehyde를 반응 시켜서 GC를 측정하였습니다.
그러니까 합성한 시료를 당량별로 제조하고, 여기에 벤질알데하이드 일정량을 넣어서
GC를 측정하여 벤질알데하이드 면적이 점점 줄어들고 벤질알데하이드와 합성한 시료가 반응하여 생긴 새로운 peak의 면적이 점점 늘어나서
새로 생긴 피크면적/벤질알데하이드 피크면적 비를 이용해서 검량선을 그렸는데요..
이것도 맞는 방법일까요??이상후(sprout30) 2011-12-09이 방법으로는 검량선을 그리면 안될 거 같군요..왜냐하면 벤질알데하이드도 이 반응에서 하나의 기질로서 작용하기 때문이죠..검량선은 최종 product(합성시료와 벤질알데하이드가 반응하여 만들어진 산물, 이런 경우 authentic material을 구입하여 검량선을 그리면 됩니다.)로 그려야 됩니다. 아마 질문자분께서는 conversion rate를 구하는 방식을 검량선 구하는 방법과 혼동하신거 같군요..
조영제(cho0je) 2011-12-09네..감사합니다. 마지막으로 질문을 하나만 드리겠습니다. 합성시료와 벤질알데하이드가 반응하여 만들어진 산물에 authentic material을 구입하여 정량하였을 경우 이 순도가 합성시료의 순도라고 할 수 있을까요??
그리고 합성시료와 벤질알데하이드 반응산물에 내부표준물질을 선정하여 정량하였을 경우에 이 결과를 합성시료의 순도로 볼 수 있습니까?이상후(sprout30) 2011-12-09authentic material은 최종 반응 산물의 commercial하게 판매되는 물질이거나 기존에 보유하고 있는 물질이 될 수 있으며, 정량과 순도 확인은 다른 개념입니다. 정량은 반응액속에 타겟 산물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이고, 순도 확인은 최종 반응 산물이 부산물 없이 얼마나 깨끗하게 합성된 것인지를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내부표준물질은 정량할 때 사용하는 것이지만, 순도 확인시에도 대조군으로서 사용할 수는 있겠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이제 거의 해결되어 가네요^^ 도움주셔서 정말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