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합성 방법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아래 Method를 참고하여  합성에 도전하려고 합니다. 
처음으로 합성해보는 지라 모르는 점이 많이 코젠에 도움 요청 드립니다. 

------------------------------------------------------------------------------
Bis(2-pyridylmethyl)-2-methylthioethylamine (BPMMEA ) L19a).
The precursor bis(2-pyridylmethyl)amine (BPMA) was prepared by the
method of Romary et al. 65 Under a nitrogen atmosphere, 
10.2 g (0.051 mol) of BPMA and 7.7 g (0.07 mol) of 1-chloro-2-methylthioethane in 150 mL 
of dry toluene were stirred at 80 °C. 
After 3 days, GC-MS analysis showed complete consumption of BPMA and
formation of a new major product. The cooled reaction mixture was extracted with
150 mL of 10% HCl and the organic phase discarded. 
The aqueous phase was adjusted to pH > 9 with 10% NaOH and extracted with
two 100-mL portions of methylene chloride. 
The organic extracts were dried with MgSO4, filtered, and flash chromatographed on 
a 4 * 30 cm silica gel column to remove polymeric impurities and recover the
desired amine product. 
The methyl chloride elution concentrate was distilled twice by Kugelrohr fractionation 
at 115-120°/0.05 Torr to afford 7.38 g (53%) of colorless oil product. 
The oil rapidly darkens unless stored over anhydrous K2CO3 at -10 °C.
-------------------------------------------------------------------------------

1) method에 보면 10% HCI로 익스트렉션 한 다음 유기상을 버리라고 되어 있는데요
다음 구절에 보면 남은 물상에 10% NaOH로 pH를 맞추라고 되어 있던데..
산에다 염기를 바로 섞을 경우 산-염기 중화반응으로 발열반응이 일어나서 좀 위험할 수도 있을 듯 한데 정말로 이 방법이 맞나요? 맞다면10% NaOH를 사용하는 거니 조금씩 취해서 넣어주면서 pH 미터로 확인하면 되는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2) 컬럼은 Flash 크로마토그래피를 할 수 있는 여건이 안되어서 그냥 에어펌프 없이 silica 컬럼으로 하려 하는데 상관은 없는지 궁금합니다. 

3) 끝 부분에  Kugelrohr fractionation 장치를 이용하여 컬럼한 프로덕트를 distill 하라고 하였는데 저희 랩실에 위의 장치가 없습니다. 혹시 대체할만한 방법이나 아니면 마지막 디스틸 파트를 그냥 생략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부탁드려요 :)
  • 합성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김민혁님의 답변

    1) method에 보면 10% HCI로 익스트렉션 한 다음 유기상을 버리라고 되어 있는데요

    다음 구절에 보면 남은 물상에 10% NaOH로 pH를 맞추라고 되어 있던데..
    산에다 염기를 바로 섞을 경우 산-염기 중화반응으로 발열반응이 일어나서 좀 위험할 수도 있을 듯 한데 정말로 이 방법이 맞나요? 맞다면10% NaOH를 사용하는 거니 조금씩 취해서 넣어주면서 pH 미터로 확인하면 되는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 상관없습니다. acidfy 처리 후 basify할 때 발열이 문제시 된다면 반응기를 냉각하여 사용하면 됩니다. 물론 base를 서서히 적가해 주면서 온도와 pH를 확인하시는건 기본입니다

    2) 컬럼은 Flash 크로마토그래피를 할 수 있는 여건이 안되어서 그냥 에어펌프 없이 silica 컬럼으로 하려 하는데 상관은 없는지 궁금합니다. 
     
    --> 네 크게 관계없습니다. flash라는게 편의를 위한 컬럼이지 특별한 컬럼은 아닙니다

    3) 끝 부분에  Kugelrohr fractionation 장치를 이용하여 컬럼한 프로덕트를 distill 하라고 하였는데 저희 랩실에 위의 장치가 없습니다. 혹시 대체할만한 방법이나 아니면 마지막 디스틸 파트를 그
    냥 생략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 실험실에 vacuum이 없으시다고요? 설마,,, 없으시고 그냥하시면 고온에서 distill 가능합니다
          깨끗한 product를 굳이 원하지 않으시면 distill과정은 생략하셔도 됩니다.
          고체의 경우 재결정을 통해 정제법을 찾으면 되는데 액상의 경우 distill 아니면 컬럼이죠

    1) method에 보면 10% HCI로 익스트렉션 한 다음 유기상을 버리라고 되어 있는데요

    다음 구절에 보면 남은 물상에 10% NaOH로 pH를 맞추라고 되어 있던데..
    산에다 염기를 바로 섞을 경우 산-염기 중화반응으로 발열반응이 일어나서 좀 위험할 수도 있을 듯 한데 정말로 이 방법이 맞나요? 맞다면10% NaOH를 사용하는 거니 조금씩 취해서 넣어주면서 pH 미터로 확인하면 되는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 상관없습니다. acidfy 처리 후 basify할 때 발열이 문제시 된다면 반응기를 냉각하여 사용하면 됩니다. 물론 base를 서서히 적가해 주면서 온도와 pH를 확인하시는건 기본입니다

    2) 컬럼은 Flash 크로마토그래피를 할 수 있는 여건이 안되어서 그냥 에어펌프 없이 silica 컬럼으로 하려 하는데 상관은 없는지 궁금합니다. 
     
    --> 네 크게 관계없습니다. flash라는게 편의를 위한 컬럼이지 특별한 컬럼은 아닙니다

    3) 끝 부분에  Kugelrohr fractionation 장치를 이용하여 컬럼한 프로덕트를 distill 하라고 하였는데 저희 랩실에 위의 장치가 없습니다. 혹시 대체할만한 방법이나 아니면 마지막 디스틸 파트를 그
    냥 생략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 실험실에 vacuum이 없으시다고요? 설마,,, 없으시고 그냥하시면 고온에서 distill 가능합니다
          깨끗한 product를 굳이 원하지 않으시면 distill과정은 생략하셔도 됩니다.
          고체의 경우 재결정을 통해 정제법을 찾으면 되는데 액상의 경우 distill 아니면 컬럼이죠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