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TGA 그래프 해석

첨부파일


 

 안녕하십니까?

 

TGA 분석을 하였는데 저의 짧은 머리로는 해석을 할 수 없어

 

여러분들의 고견을 듣고자 합니다.

 

Sample1과 Sample2의 TGA 그래프로 얻을 수 있는

두 샘플간 차이점은 무엇이 있을까요?

 

두 샘플의 재질은 RUBBER 계열에 유기 화합물과 실리카가 첨가되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유첨 그래프로 알 수 있는 두 샘플간의 차이(성분, 함량)는 어떠한 것이 있을 수 있으며,

동일한 제품이라 할 수 있을까요?

 

FT-IR 분석시 피크값이 유사하여, TGA로 분석하였지만 해석을 할 수 없어서...

 

감사합니다.

  • Tg
  • 열분해온도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강광철님의 답변

     저 두 그림의 차이로는 성분과 함량을 분석할수 없는것 같아요. 어떤 유기물등이 250도 정도 에서 분해하며  층간 화합물이 있다면 그쪽이 물이 빠져나오는등 기초적인 분석만 가능하며 완전 해석응ㄴ  열분석 하나만으로는 못할것 같군요.

    -------------------------------------질문-------------------------------------

     

     안녕하십니까?

     

    TGA 분석을 하였는데 저의 짧은 머리로는 해석을 할 수 없어

     

    여러분들의 고견을 듣고자 합니다.

     

    Sample1과 Sample2의 TGA 그래프로 얻을 수 있는

    두 샘플간 차이점은 무엇이 있을까요?

     

    두 샘플의 재질은 RUBBER 계열에 유기 화합물과 실리카가 첨가되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유첨 그래프로 알 수 있는 두 샘플간의 차이(성분, 함량)는 어떠한 것이 있을 수 있으며,

    동일한 제품이라 할 수 있을까요?

     

    FT-IR 분석시 피크값이 유사하여, TGA로 분석하였지만 해석을 할 수 없어서...

     

    감사합니다.

     저 두 그림의 차이로는 성분과 함량을 분석할수 없는것 같아요. 어떤 유기물등이 250도 정도 에서 분해하며  층간 화합물이 있다면 그쪽이 물이 빠져나오는등 기초적인 분석만 가능하며 완전 해석응ㄴ  열분석 하나만으로는 못할것 같군요.

    -------------------------------------질문-------------------------------------

     

     안녕하십니까?

     

    TGA 분석을 하였는데 저의 짧은 머리로는 해석을 할 수 없어

     

    여러분들의 고견을 듣고자 합니다.

     

    Sample1과 Sample2의 TGA 그래프로 얻을 수 있는

    두 샘플간 차이점은 무엇이 있을까요?

     

    두 샘플의 재질은 RUBBER 계열에 유기 화합물과 실리카가 첨가되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유첨 그래프로 알 수 있는 두 샘플간의 차이(성분, 함량)는 어떠한 것이 있을 수 있으며,

    동일한 제품이라 할 수 있을까요?

     

    FT-IR 분석시 피크값이 유사하여, TGA로 분석하였지만 해석을 할 수 없어서...

     

    감사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김형근님의 답변

     안녕 하세요.

    제가 아는한 TGA분석은 단지 그 샘플의 질량 변화를 나타낼뿐 DTA없이 해석이 힘든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혹시DTA 그래프로 있는지요. TGA는 말씀 드렸듯이 질량감소/증가를 나타내는데, 이는 그 샘플의 많은원인에 기인합니다. 예를 들면, 유기물이라 하였으니 carbon 산화/열분해가 대표적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또한 실리카가 들어있으니 alpha-beta의 상변이가 있을 수 있겠구요.. 또한 그 물질을 결합할때 쓰이던 binder의 burn out또 있겠구요,,,이러한 모든 결과 구조의 변경이 있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더불어 그 샘플안에 있는 화합물끼리의 화학 반응에 의한 결정수의 탈수등이 있는데, 이것을 TGA 그래프로만 해석한다는게 무리가 있어 보입니다.

     

    TGA 그래프가 감소하지만, 물질에 따라 흡열 반응과 발열 반응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그러니DTA없이  더욱더 그 해석은 어렵겠네요..첨부에서 보면 확실히 두 물질의 반응온도가 다르긴 하지만, 딱 꼬집어 어떻게 다르다는것을 해석하기는 좀 역부족인것 같습니다.

    굳이 차이를 말씀 드린다면,샘플 1은 250도에서 샘플 2는 350도 정도에서 의미있는 질량 감소가 나타났지만, 서로 두 샘플의 최초의 질량변화와 최종의 질량 변화를 비교하는것보다는 (최초 질량이 같다면, 그래프상 질량 변화의 온도가 문제이지 결국 질량 변화도 거의 같아 보이기 때문입니다.) 의미있는 질량 감소가  일어난 온도가 서로 다르다는것과 그 온도에서 질량 변화가 급격함과 완만함을 중점으로 설명 하는게 더 해석하는데 있어서는 의미가 있을 것 같습니다.

     

    제 소견이였습니다.

    -------------------------------------질문-------------------------------------

     

     안녕하십니까?

     

    TGA 분석을 하였는데 저의 짧은 머리로는 해석을 할 수 없어

     

    여러분들의 고견을 듣고자 합니다.

     

    Sample1과 Sample2의 TGA 그래프로 얻을 수 있는

    두 샘플간 차이점은 무엇이 있을까요?

     

    두 샘플의 재질은 RUBBER 계열에 유기 화합물과 실리카가 첨가되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유첨 그래프로 알 수 있는 두 샘플간의 차이(성분, 함량)는 어떠한 것이 있을 수 있으며,

    동일한 제품이라 할 수 있을까요?

     

    FT-IR 분석시 피크값이 유사하여, TGA로 분석하였지만 해석을 할 수 없어서...

     

    감사합니다.

     안녕 하세요.

    제가 아는한 TGA분석은 단지 그 샘플의 질량 변화를 나타낼뿐 DTA없이 해석이 힘든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혹시DTA 그래프로 있는지요. TGA는 말씀 드렸듯이 질량감소/증가를 나타내는데, 이는 그 샘플의 많은원인에 기인합니다. 예를 들면, 유기물이라 하였으니 carbon 산화/열분해가 대표적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또한 실리카가 들어있으니 alpha-beta의 상변이가 있을 수 있겠구요.. 또한 그 물질을 결합할때 쓰이던 binder의 burn out또 있겠구요,,,이러한 모든 결과 구조의 변경이 있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더불어 그 샘플안에 있는 화합물끼리의 화학 반응에 의한 결정수의 탈수등이 있는데, 이것을 TGA 그래프로만 해석한다는게 무리가 있어 보입니다.

     

    TGA 그래프가 감소하지만, 물질에 따라 흡열 반응과 발열 반응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그러니DTA없이  더욱더 그 해석은 어렵겠네요..첨부에서 보면 확실히 두 물질의 반응온도가 다르긴 하지만, 딱 꼬집어 어떻게 다르다는것을 해석하기는 좀 역부족인것 같습니다.

    굳이 차이를 말씀 드린다면,샘플 1은 250도에서 샘플 2는 350도 정도에서 의미있는 질량 감소가 나타났지만, 서로 두 샘플의 최초의 질량변화와 최종의 질량 변화를 비교하는것보다는 (최초 질량이 같다면, 그래프상 질량 변화의 온도가 문제이지 결국 질량 변화도 거의 같아 보이기 때문입니다.) 의미있는 질량 감소가  일어난 온도가 서로 다르다는것과 그 온도에서 질량 변화가 급격함과 완만함을 중점으로 설명 하는게 더 해석하는데 있어서는 의미가 있을 것 같습니다.

     

    제 소견이였습니다.

    -------------------------------------질문-------------------------------------

     

     안녕하십니까?

     

    TGA 분석을 하였는데 저의 짧은 머리로는 해석을 할 수 없어

     

    여러분들의 고견을 듣고자 합니다.

     

    Sample1과 Sample2의 TGA 그래프로 얻을 수 있는

    두 샘플간 차이점은 무엇이 있을까요?

     

    두 샘플의 재질은 RUBBER 계열에 유기 화합물과 실리카가 첨가되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유첨 그래프로 알 수 있는 두 샘플간의 차이(성분, 함량)는 어떠한 것이 있을 수 있으며,

    동일한 제품이라 할 수 있을까요?

     

    FT-IR 분석시 피크값이 유사하여, TGA로 분석하였지만 해석을 할 수 없어서...

     

    감사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