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
첨부파일
첨부파일 수정하였습니다.
------------------------------------------------------------------------------------------
아래 첨부한 data 좀 확인부탁드리겠습니다.
1번 file 은 wates 사의 HPCL 로 분석한 결과(puriy 92.3%)이고,
2번 file 은 Agilent 사의 HPLC로 분석한 결과(puriy 99.02%)입니다.
HPLC 조건은 column, column 온도, 이동상 조건, 파장까지 동일하고.
단지 다른건 HPLC 기기 뿐입니다.
그런데, data 를 보면 1번 data 에서 보이는 4.7min, 7.3min, 7.9min 대의 peak 가
2번 data 에서는 보이지 않습니다.
UV 감도 차이라고 하기겐 Purity가 차이가 너무 많이 나네요,
혹시 다른 이유로 설명 할 수 있을까요?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 아래 첨부한 data 르 좀 확인부탁드리겠습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2011-12-14- 2
기기의 검출기가 동일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일반적으로 많이 채택하고 있는 UV검출기를 사용하셨을 것 같은데.... DAD와 VWD로 각각 측정한 경우라면 감도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저도 경험이 있습니다만.... 완전히 동일한 구성의 기기를 사용한 경우라면 .........글세요 딱히 원인을 찾기 힘듭니다.
-------------------------------------질문-------------------------------------
첨부파일 수정하였습니다.
------------------------------------------------------------------------------------------
아래 첨부한 data 좀 확인부탁드리겠습니다.
1번 file 은 wates 사의 HPCL 로 분석한 결과(puriy 92.3%)이고,
2번 file 은 Agilent 사의 HPLC로 분석한 결과(puriy 99.02%)입니다.
HPLC 조건은 column, column 온도, 이동상 조건, 파장까지 동일하고.
단지 다른건 HPLC 기기 뿐입니다.
그런데, data 를 보면 1번 data 에서 보이는 4.7min, 7.3min, 7.9min 대의 peak 가
2번 data 에서는 보이지 않습니다.
UV 감도 차이라고 하기겐 Purity가 차이가 너무 많이 나네요,
혹시 다른 이유로 설명 할 수 있을까요?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
답변
신재욱님의 답변
2011-12-14- 2
첨부파일
-------------------------------------질문-------------------------------------
첨부파일 수정하였습니다.
------------------------------------------------------------------------------------------
아래 첨부한 data 좀 확인부탁드리겠습니다.
1번 file 은 wates 사의 HPCL 로 분석한 결과(puriy 92.3%)이고,
2번 file 은 Agilent 사의 HPLC로 분석한 결과(puriy 99.02%)입니다.
HPLC 조건은 column, column 온도, 이동상 조건, 파장까지 동일하고.
단지 다른건 HPLC 기기 뿐입니다.
그런데, data 를 보면 1번 data 에서 보이는 4.7min, 7.3min, 7.9min 대의 peak 가
2번 data 에서는 보이지 않습니다.
UV 감도 차이라고 하기겐 Purity가 차이가 너무 많이 나네요,
혹시 다른 이유로 설명 할 수 있을까요?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C4 컬럼의 경우는 특정 아미노산를 분석한 후에 시료를 injection하지 않아도 동일한 조건으로 돌렸을 때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곤 합니다. injection하지 않고 두기기에서 동일한 조건으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아마 둘중에 먼저 사용한 것에서 purity가 적게 나왔을 수도 있습니다.)
컬럼과 시료의 특정 성분이 결합하여 제거되기 어려운 환경이 되어 계속사용할 경우 점점 peak가 크게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저는 단백질이라 이러한 경험을 종종했지만, 질문자님의 시료의 경우는 잘 몰라 딱 고집어 말씀드리기가 어렵네요...제 경험상으로는 컬럼의 오염, injector부분의 오염이 가장 많이 이러한 현상을 일으켰습니다.
이미진(myjc7) 2011-12-14제가 사용한 column은 C18 이었구요, 두 기기 모두 Blk run 을 해서 오염된 peak 가 없는 것을 확인하고 분석하였으며, 재현성 test 까지 하였습니다.
제 경우에는 그럼, column 이나 injector 의 오염이 아니라고 봐도 되는건가요?신재욱(sjo2652) 2011-12-14오염이 아닌 것 같습니다. 또 하나 저의 경우에도 질문자님과 같이 다른 기기를 사용하였을 때 purity의 차이를 나타내기는하였으나. 0.X%로 매우 작게 관찰되었습니다. 혹시 시료의 안정성은 확인해 보셨나요? 앞에 나타난 peak가 전혀 다른 불순물일 수 도 있지만, 분해산물일수도 있습니다. 특정용매에 녹여 injection하지만 특정용매에 오래 녹여져 있으면 분해될 수도 있고, 보관용매라고 할지라도 얼마나 긴기간을 보관할수 있는지도....
제 짧은 경험으로는 위에 말한 사항하고 지금 말한 것하고 크게 두가지 경우에 이런 현상이 많았습니다.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11-12-14- 2
Maker가 서로 다른 기종을 사용하게 되면 충분히 이런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즉 같은 HPLC라 해도 감도차이가 나기 때문이죠..더구나 blk run후에 이런 현상이 일어났다면 컬럼이나 인젝터 오염은 분명 아닌 듯 합니다. 첨부파일중에 1번 파일이 크로마토그램이 아니고 다른 논문파일이라 확인이 어렵지만, 4~8분사이에 피크의 Abs가 y축에 얼마인지가 궁금하군요. 또한 4-8분 사이의 peak가 실제 샘플 peak가 아니라면 기기별로 감도차이로 인하여 종종 ghost peak이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두 기기의 UV ramp 잔류수명(또는 사용시간)을 체크해 보는 것도 원인을 찾을 수 있는 한가지 방법이 될 수 있겠습니다.
-------------------------------------질문-------------------------------------
첨부파일 수정하였습니다.
------------------------------------------------------------------------------------------
아래 첨부한 data 좀 확인부탁드리겠습니다.
1번 file 은 wates 사의 HPCL 로 분석한 결과(puriy 92.3%)이고,
2번 file 은 Agilent 사의 HPLC로 분석한 결과(puriy 99.02%)입니다.
HPLC 조건은 column, column 온도, 이동상 조건, 파장까지 동일하고.
단지 다른건 HPLC 기기 뿐입니다.
그런데, data 를 보면 1번 data 에서 보이는 4.7min, 7.3min, 7.9min 대의 peak 가
2번 data 에서는 보이지 않습니다.
UV 감도 차이라고 하기겐 Purity가 차이가 너무 많이 나네요,
혹시 다른 이유로 설명 할 수 있을까요?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