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합성한 물질 유도체화한 후 정량이 잘되었습니다.^^

brmdolee 님과 sprout30 님의 도움으로 정량이 잘되었습니다.

 

이제 이 물질을 정성할 일만 남았는데 NMR과 Mass 둘다 측정하면 좋겠지만

 

둘 중 하나만 측정하고 싶은데 어떤 것을 하면 좋을까요??

  • 분석
  • 정량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실험이 잘 되셨다니 기쁩니다. 축하드립니다.

     

    정성이라 함은 구조규명을 의미하시는 것이겠죠.

     

    합성한 물질이 무엇인지는 모르겠으나.......저라면 NMR부터 확인해 보겠습니다. 우선은 쉽고 빠르게 확인이 가능하니까요.

     

    mass는 경우에 따라 M+ 피크가 잘 확인되지 않는 경우도 있으니까요.

     

    만약 논문이나 다른 문헌을 통해 스펙트럼데이타를 확인하실 수 있는 경우라면 알려진 스펙트럼에 해당하는 실험부터 해보시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질문-------------------------------------

    brmdolee 님과 sprout30 님의 도움으로 정량이 잘되었습니다.

     

    이제 이 물질을 정성할 일만 남았는데 NMR과 Mass 둘다 측정하면 좋겠지만

     

    둘 중 하나만 측정하고 싶은데 어떤 것을 하면 좋을까요??

    실험이 잘 되셨다니 기쁩니다. 축하드립니다.

     

    정성이라 함은 구조규명을 의미하시는 것이겠죠.

     

    합성한 물질이 무엇인지는 모르겠으나.......저라면 NMR부터 확인해 보겠습니다. 우선은 쉽고 빠르게 확인이 가능하니까요.

     

    mass는 경우에 따라 M+ 피크가 잘 확인되지 않는 경우도 있으니까요.

     

    만약 논문이나 다른 문헌을 통해 스펙트럼데이타를 확인하실 수 있는 경우라면 알려진 스펙트럼에 해당하는 실험부터 해보시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질문-------------------------------------

    brmdolee 님과 sprout30 님의 도움으로 정량이 잘되었습니다.

     

    이제 이 물질을 정성할 일만 남았는데 NMR과 Mass 둘다 측정하면 좋겠지만

     

    둘 중 하나만 측정하고 싶은데 어떤 것을 하면 좋을까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정성이라하면 성분 분석을 진행해야 되는데, 분석하고자 하는 물질의 구조를 이미 알고 있는 상태라면 NMR이나 mass 둘 중에 아무거나 하나 측정하시면 되겠는데(우선적으로는 NMR을 추천합니다.), 구조를 모르는 unknown이라면 NMR과 MS 모두 측정해야 정확한 성분 분석을 할 수가 있습니다. 분석하고자 하는 물질의 구조를 알고 있는 상태라면 ESI-MS나 MALDI-TOF mass를 측정하셔서 분자량 체크만으로도 성분 분석이 가능할 것인데, mass에서는 M+형태가 아니라, [M-H]-나 [M+H]+ (경우에 따라서는 Na이나 K이 adduct된 형태로 나올 수 있음]의 형태로 이온화가 된다는 사실만 아시면, 충분히 MS 결과만으로도 해석이 가능합니다. 그런데 NMR의 경우도 정성분석에 매우 유용한 방법인데, 이 역시 미지의 시료의 경우라면 NMR만으로는 해석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NMR로 미지 시료를 분석할 경우에는 1D뿐만 아니라 2D NMR 까지 진행해야 될 수도 있습니다.

     

    -------------------------------------질문-------------------------------------

    brmdolee 님과 sprout30 님의 도움으로 정량이 잘되었습니다.

     

    이제 이 물질을 정성할 일만 남았는데 NMR과 Mass 둘다 측정하면 좋겠지만

     

    둘 중 하나만 측정하고 싶은데 어떤 것을 하면 좋을까요??

    정성이라하면 성분 분석을 진행해야 되는데, 분석하고자 하는 물질의 구조를 이미 알고 있는 상태라면 NMR이나 mass 둘 중에 아무거나 하나 측정하시면 되겠는데(우선적으로는 NMR을 추천합니다.), 구조를 모르는 unknown이라면 NMR과 MS 모두 측정해야 정확한 성분 분석을 할 수가 있습니다. 분석하고자 하는 물질의 구조를 알고 있는 상태라면 ESI-MS나 MALDI-TOF mass를 측정하셔서 분자량 체크만으로도 성분 분석이 가능할 것인데, mass에서는 M+형태가 아니라, [M-H]-나 [M+H]+ (경우에 따라서는 Na이나 K이 adduct된 형태로 나올 수 있음]의 형태로 이온화가 된다는 사실만 아시면, 충분히 MS 결과만으로도 해석이 가능합니다. 그런데 NMR의 경우도 정성분석에 매우 유용한 방법인데, 이 역시 미지의 시료의 경우라면 NMR만으로는 해석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NMR로 미지 시료를 분석할 경우에는 1D뿐만 아니라 2D NMR 까지 진행해야 될 수도 있습니다.

     

    -------------------------------------질문-------------------------------------

    brmdolee 님과 sprout30 님의 도움으로 정량이 잘되었습니다.

     

    이제 이 물질을 정성할 일만 남았는데 NMR과 Mass 둘다 측정하면 좋겠지만

     

    둘 중 하나만 측정하고 싶은데 어떤 것을 하면 좋을까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