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
HPLC 검출기 관련하여 질문 드립니다.
UV 디텍터는 파장을 지정해줘야되고
PDA 디텍터는 전 파장을 한번에 검출 가능하다는 것이라고 알고 있습니다만,
이것의 차이는 시료에 포함된 다른 파장대의 물질을 한번에 검출할 수 있나 없나의 차이인 것같은
데.. 하지만 UV 디텍터에서 310nm의 파장을 입력하였는데 220 nm대의 파장을 흡수하는 물질이
검출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310 nm의 파장을 입력하면 그 이하의 파장을 흡수하는 물질이
디텍터 된다는 말인가요??
설명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위의 두가지 디텍터의 원리 및 장,단점 쉽게 설명 부탁드립니다.
- 분석
- 정량
- HPLC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2011-12-16- 0
HPLC분석시 UV검출기의 검출파장 설정은 매우 중요합니다.
PDA는 DAD라고 하기도 하고, 파장을 지정해서 분석하는 검출기는 VWD라고도 합니다.
VWD는 DAD에 비해서 감도가 좋습니다. 대신 DAD는 UV spectrum 스캐닝이 가능하기 때문에 피크의 purity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입니다.
즉 물질마다 고유의 UV흡수 스펙트럼을 나타낸다는 것을 잘 아실 겁니다. 따라서 피크의 전단부와 말단부, 즉 양쪽 어깨에 해당하는 부분에 UV스펙트럼을 확인하면 피크가 단일물질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겹쳐진 것인지 확인이 가능하게 됩니다.
분석시 시간이 경과되면서 피크의 RT가 조금씩 밀리거나 달라지는 경우도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도 피크의 UV스펙트럼을 확인하면 다른 이유로 피크의 RT가 밀린 것인지....아니면 시료에 변성이 발생한 것인지 판단할 수 있습니다.
310nm 로 파장을 설정했는데....220nm에서 검출되는 피크가 검출되었다고 하셨는데... 충분히 그럴 수 있습니다. 검출파장은 보통 특정물질의 흡수극대나 함께 검출해야하는 물질들의 흡수파장을
고려하여 적절한 파장으로 설정하게 됩니다. 매트릭스 물질에 의한 방해나 간섭을 피할 수 있는 파장으로 설정하기도 하죠.
검출파장이 310nm라고 해서 220nm에서 흡광도가 제로라는 뜻은 아닙니다. 오히려 유기화합물의 경우 220 근처에서 흡광도가 높게 나타나는 물질이 많죠. 특히 방향족이라던가.....
-------------------------------------질문-------------------------------------
HPLC 검출기 관련하여 질문 드립니다.
UV 디텍터는 파장을 지정해줘야되고
PDA 디텍터는 전 파장을 한번에 검출 가능하다는 것이라고 알고 있습니다만,
이것의 차이는 시료에 포함된 다른 파장대의 물질을 한번에 검출할 수 있나 없나의 차이인 것같은
데.. 하지만 UV 디텍터에서 310nm의 파장을 입력하였는데 220 nm대의 파장을 흡수하는 물질이
검출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310 nm의 파장을 입력하면 그 이하의 파장을 흡수하는 물질이
디텍터 된다는 말인가요??
설명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위의 두가지 디텍터의 원리 및 장,단점 쉽게 설명 부탁드립니다.
조윤환(brmdolee) 2011-12-19파장을 설정하는 이유는 답변에서 이미 몇가지 언급해드렸구요..... 이 세상에 310nm만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물질이 있을까요? 다만 특별히 다른 파장에 비해 그 파장에서 흡광도가 높은거죠. 보통은 '최대흡수극대' 또는 lamda max 파장을 이용하는 것 뿐입니다.
조윤환(brmdolee) 2011-12-19예상 보다는 (비교적)순수한 물질이 있으시면 UV를 찍어 보세요. 대략 200~400 nm 범위를 확인하셔서 흡광도가 최고 높은 파장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DAD로 HPLC 실험을 하셨다면 피크 정점에 해당하는 RT에 UV 스펙트럼 단면을 확인하셔도 됩니다.
-
답변
김상태님의 답변
2011-12-30- 0
-------------------------------------질문-------------------------------------
HPLC 검출기 관련하여 질문 드립니다.
UV 디텍터는 파장을 지정해줘야되고
PDA 디텍터는 전 파장을 한번에 검출 가능하다는 것이라고 알고 있습니다만,
이것의 차이는 시료에 포함된 다른 파장대의 물질을 한번에 검출할 수 있나 없나의 차이인 것같은
데.. 하지만 UV 디텍터에서 310nm의 파장을 입력하였는데 220 nm대의 파장을 흡수하는 물질이
검출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310 nm의 파장을 입력하면 그 이하의 파장을 흡수하는 물질이
디텍터 된다는 말인가요??
설명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위의 두가지 디텍터의 원리 및 장,단점 쉽게 설명 부탁드립니다.
일반적으로 hplc는 RI방식과 UV방식이 잇는데 이는 물질의 탄소흡수대를 대상으로 탄소가 없는경우는 RI방식을 잇으면 UV흡수대로 분석하는 검출기방식이 설정됨
그러면 UV 디텍터의 파장을 220 nm로 설정을 해도 310 nm를 흡수하는 물질도 디텍터가 가능하다는 말씀이신가요? 그리고 흡광도가 제로라는 뜻이 아니면 굳이 파장 설정을 해주는 이유는 무엇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