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PE나 PC 샘플병에 에탄올을 담을 경우 용출되는게 있나요?

어떤 물질을 에탄올로 24시간 용출 시킨 후에 UV흡광도(272nm) 분석을 했습니다.

이때 샘플용기를 PE bottle에 했고, 반복실험(duplicate)을 했는데 편차가 상당히(10~70%) 큽니다. PE bottle이 에탄올에서 용출되어 나오는 무엇인가가 있기에 실험 편차에 영향을 미치는게 아닌가 생각하는데요.

PE bottle에 에탄올만 넣어서 scanning을 해보면 알 수 있는 일이지만...지금 실험을 할 수 없는 상황이라서 질문 올립니다.

PE bottle에 에탄올을 넣으면 272nm에서 피크가 뜨는 어떤 물질이 용출되어 나오나요?

  • polyethylene
  • absorbanc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에탄올에 PE자체가 녹아나오는 현상이 아니라 PE에 포함되어 있는 어떤 성분이 에탄올로 추출되어 나오는 현상에  관심이 있으신가 봅니다.

     

    제조과정에 따라 다르겠지만, 다른 고분자소재들이 다 그러하듯이 PE에는 여러가지 기능성 성분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예컨데.... 산화방지제(또는 노화방지제), 가소제, 색소 등등....

     

    하지만 PE의 경우 식품포장 등에 널리 사용되는 물질로 이러한 첨가제에 대해선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되겠습니다.

     

    실험상의 편차의 원인이 첨가체 때문인지....아니면 실험 방법상의 문제인지......분명치 않군요. 또는 관심을 두고 계신 물질이 PE에 화학적 반응을 하거나 흡착, 흡수 등이 일어나는 물질일 가능 성도 있겠습니다.

     

    -------------------------------------질문-------------------------------------

    어떤 물질을 에탄올로 24시간 용출 시킨 후에 UV흡광도(272nm) 분석을 했습니다.

    이때 샘플용기를 PE bottle에 했고, 반복실험(duplicate)을 했는데 편차가 상당히(10~70%) 큽니다. PE bottle이 에탄올에서 용출되어 나오는 무엇인가가 있기에 실험 편차에 영향을 미치는게 아닌가 생각하는데요.

    PE bottle에 에탄올만 넣어서 scanning을 해보면 알 수 있는 일이지만...지금 실험을 할 수 없는 상황이라서 질문 올립니다.

    PE bottle에 에탄올을 넣으면 272nm에서 피크가 뜨는 어떤 물질이 용출되어 나오나요?

    에탄올에 PE자체가 녹아나오는 현상이 아니라 PE에 포함되어 있는 어떤 성분이 에탄올로 추출되어 나오는 현상에  관심이 있으신가 봅니다.

     

    제조과정에 따라 다르겠지만, 다른 고분자소재들이 다 그러하듯이 PE에는 여러가지 기능성 성분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예컨데.... 산화방지제(또는 노화방지제), 가소제, 색소 등등....

     

    하지만 PE의 경우 식품포장 등에 널리 사용되는 물질로 이러한 첨가제에 대해선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되겠습니다.

     

    실험상의 편차의 원인이 첨가체 때문인지....아니면 실험 방법상의 문제인지......분명치 않군요. 또는 관심을 두고 계신 물질이 PE에 화학적 반응을 하거나 흡착, 흡수 등이 일어나는 물질일 가능 성도 있겠습니다.

     

    -------------------------------------질문-------------------------------------

    어떤 물질을 에탄올로 24시간 용출 시킨 후에 UV흡광도(272nm) 분석을 했습니다.

    이때 샘플용기를 PE bottle에 했고, 반복실험(duplicate)을 했는데 편차가 상당히(10~70%) 큽니다. PE bottle이 에탄올에서 용출되어 나오는 무엇인가가 있기에 실험 편차에 영향을 미치는게 아닌가 생각하는데요.

    PE bottle에 에탄올만 넣어서 scanning을 해보면 알 수 있는 일이지만...지금 실험을 할 수 없는 상황이라서 질문 올립니다.

    PE bottle에 에탄올을 넣으면 272nm에서 피크가 뜨는 어떤 물질이 용출되어 나오나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강광철님의 답변

    첨부파일

     



    PE의성질은 내수성(耐水性)·전기절연성·내산성(耐酸性)·내알칼리성이 뛰어나고, 열안정성도 좋으며 성형(成形)하기 쉽다.



    : 따라서 용출된다는것은 녹았다는 말씀인데 고분자 성격상 녹지는 않을것으로 판단되는데요.



    다른 오차의 원인이 있지 않을 까요? 에탄올에는 녹지않아요. 첨가제나 가소제등도 에탄올에 용출될수 있는것은 거의 없다고 판단됩니다.







    -------------------------------------질문-------------------------------------







    어떤 물질을 에탄올로 24시간 용출 시킨 후에 UV흡광도(272nm) 분석을 했습니다.




    이때 샘플용기를 PE bottle에 했고, 반복실험(duplicate)을 했는데 편차가 상당히(10~70%) 큽니다. PE bottle이 에탄올에서 용출되어 나오는 무엇인가가 있기에 실험 편차에 영향을 미치는게 아닌가 생각하는데요.




    PE bottle에 에탄올만 넣어서 scanning을 해보면 알 수 있는 일이지만...지금 실험을 할 수 없는 상황이라서 질문 올립니다.




    PE bottle에 에탄올을 넣으면 272nm에서 피크가 뜨는 어떤 물질이 용출되어 나오나요?




     



    PE의성질은 내수성(耐水性)·전기절연성·내산성(耐酸性)·내알칼리성이 뛰어나고, 열안정성도 좋으며 성형(成形)하기 쉽다.



    : 따라서 용출된다는것은 녹았다는 말씀인데 고분자 성격상 녹지는 않을것으로 판단되는데요.



    다른 오차의 원인이 있지 않을 까요? 에탄올에는 녹지않아요. 첨가제나 가소제등도 에탄올에 용출될수 있는것은 거의 없다고 판단됩니다.







    -------------------------------------질문-------------------------------------







    어떤 물질을 에탄올로 24시간 용출 시킨 후에 UV흡광도(272nm) 분석을 했습니다.




    이때 샘플용기를 PE bottle에 했고, 반복실험(duplicate)을 했는데 편차가 상당히(10~70%) 큽니다. PE bottle이 에탄올에서 용출되어 나오는 무엇인가가 있기에 실험 편차에 영향을 미치는게 아닌가 생각하는데요.




    PE bottle에 에탄올만 넣어서 scanning을 해보면 알 수 있는 일이지만...지금 실험을 할 수 없는 상황이라서 질문 올립니다.




    PE bottle에 에탄올을 넣으면 272nm에서 피크가 뜨는 어떤 물질이 용출되어 나오나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첨부파일

    PE가 원래 EtOH로 만들어지긴 하나 화학 구조상 EtOH에 녹지는 않습니다. 설사 녹는다 해도 272 nm에 흡광을 보이지는 않습니다. 어떤 물질을 PE bottle에 넣고 용출시키는 실험이라면 용출할때마다 편차가 나올 수 밖에 없을 거 같습니다. 용출과정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물질 외에 272 nm에서 흡광을 할지 모르는 미지 물질들도 용출될 수 있기 때문인데요..이럴 경우, 용출 시간에 변화를 주워서 시간에 따라 피크 증가 여부를 관찰해 보시길 바랍니다...다른 한편으로는 TLC를 이용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물질을 standard로 사용하고 용출물질이 포함된 용액을 TLC에서 전개하여 UV radiation(보통 UV illuminator의 경우 254 nm에서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는데 272 nm의 경우도 254 nm을 조사할 경우 spot을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을 실시해 보면 다른 물질들이 혼합되어 있는지에 대해서 crude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질문-------------------------------------



    어떤 물질을 에탄올로 24시간 용출 시킨 후에 UV흡광도(272nm) 분석을 했습니다.


    이때 샘플용기를 PE bottle에 했고, 반복실험(duplicate)을 했는데 편차가 상당히(10~70%) 큽니다. PE bottle이 에탄올에서 용출되어 나오는 무엇인가가 있기에 실험 편차에 영향을 미치는게 아닌가 생각하는데요.


    PE bottle에 에탄올만 넣어서 scanning을 해보면 알 수 있는 일이지만...지금 실험을 할 수 없는 상황이라서 질문 올립니다.


    PE bottle에 에탄올을 넣으면 272nm에서 피크가 뜨는 어떤 물질이 용출되어 나오나요?


    PE가 원래 EtOH로 만들어지긴 하나 화학 구조상 EtOH에 녹지는 않습니다. 설사 녹는다 해도 272 nm에 흡광을 보이지는 않습니다. 어떤 물질을 PE bottle에 넣고 용출시키는 실험이라면 용출할때마다 편차가 나올 수 밖에 없을 거 같습니다. 용출과정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물질 외에 272 nm에서 흡광을 할지 모르는 미지 물질들도 용출될 수 있기 때문인데요..이럴 경우, 용출 시간에 변화를 주워서 시간에 따라 피크 증가 여부를 관찰해 보시길 바랍니다...다른 한편으로는 TLC를 이용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물질을 standard로 사용하고 용출물질이 포함된 용액을 TLC에서 전개하여 UV radiation(보통 UV illuminator의 경우 254 nm에서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는데 272 nm의 경우도 254 nm을 조사할 경우 spot을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을 실시해 보면 다른 물질들이 혼합되어 있는지에 대해서 crude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질문-------------------------------------



    어떤 물질을 에탄올로 24시간 용출 시킨 후에 UV흡광도(272nm) 분석을 했습니다.


    이때 샘플용기를 PE bottle에 했고, 반복실험(duplicate)을 했는데 편차가 상당히(10~70%) 큽니다. PE bottle이 에탄올에서 용출되어 나오는 무엇인가가 있기에 실험 편차에 영향을 미치는게 아닌가 생각하는데요.


    PE bottle에 에탄올만 넣어서 scanning을 해보면 알 수 있는 일이지만...지금 실험을 할 수 없는 상황이라서 질문 올립니다.


    PE bottle에 에탄올을 넣으면 272nm에서 피크가 뜨는 어떤 물질이 용출되어 나오나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