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XRD의 정량 분석방법 질문

XRD측정결과 2상이 섞여 나오는것을 확인하였습니다.


 


근데 이 두상이 얼마의 비율로 섞여 있는지에 대해 알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직적비교법을 사용하면 된다고 하는데..


 


각피크의 적분값 모두를 합한것으로 강도를 비교해야 하는지


 


아니면 메인피크(가장강한피크)만을 가지고 비교하면 되는지


 


궁금합니다.

  • XRD
  • 분석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반갑습니다.

     

    XRD 측정결과에 대한 해석에 대해선 잘 아는 바가 없지만 참고가 될만한 관련문헌을 본적이 있어서 알려 드립니다.

     

    제 경우엔 의약품으로 사용되는 유기화합물을 주로 다루기 때문에 좀 상이할 수도 있겠으나.....,유기화합물(의약품)의 경우에도 결정형이 다르면 용해도나 용해속도가 달라서 흡수대사패턴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어 결정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합니다.

     

    ?문에 결정형 관련 문헌을 찾다보면 혼합물의 비율을 연구한 논문도 심심치 않고 발견됩니다. 물론 저는 비율보다는 어떤 결정형인지를 확인하는데.... 관심이 더 많기 때문에 정량에는 관심을 두고 있지 않아서 자세한 것은 모릅니다.

     

    유기화합물의 경우엔 XRD, DSC, TGA, Solid NMR, IR 등 다양한 기법을 이용해서 확인이 가능합니다만...... 세라믹의 경우엔 XRD가 유일한 방법일 것 같네요.

     

    제가 최근에 살펴봤던 문헌들을 링크해 드립니다. 참고가 될 것 같군요.

     

    1. Ind. Eng. Chem. Res., 2009, 48 (24), pp 11133?11139 DOI: 10.1021/ie900715w

    2. http://www.ncbi.nlm.nih.gov/pubmed/15610616

    3. http://www.google.co.kr/url?sa=t&rct=j&q=clopidogrel%20quantitative%20polymorph&source=web&cd=5&ved=0CGAQFjAE&url=http%3A%2F%2Fhrcak.srce.hr%2Ffile%2F25998&ei=Eiv4TsPzK8WUiAfd_4mQBw&usg=AFQjCNG_PJaqHPPhNYIqm_DlAHDZNPrRiQ&sig2=fiAuj8GB11_VvcV1FVWH1A

    4. http://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731708507006942

    5. http://www.ncbi.nlm.nih.gov/pubmed/19019611

    6.

    -------------------------------------질문-------------------------------------

    XRD측정결과 2상이 섞여 나오는것을 확인하였습니다.

     

    근데 이 두상이 얼마의 비율로 섞여 있는지에 대해 알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직적비교법을 사용하면 된다고 하는데..

     

    각피크의 적분값 모두를 합한것으로 강도를 비교해야 하는지

     

    아니면 메인피크(가장강한피크)만을 가지고 비교하면 되는지

     

    궁금합니다.

    반갑습니다.

     

    XRD 측정결과에 대한 해석에 대해선 잘 아는 바가 없지만 참고가 될만한 관련문헌을 본적이 있어서 알려 드립니다.

     

    제 경우엔 의약품으로 사용되는 유기화합물을 주로 다루기 때문에 좀 상이할 수도 있겠으나.....,유기화합물(의약품)의 경우에도 결정형이 다르면 용해도나 용해속도가 달라서 흡수대사패턴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어 결정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합니다.

     

    ?문에 결정형 관련 문헌을 찾다보면 혼합물의 비율을 연구한 논문도 심심치 않고 발견됩니다. 물론 저는 비율보다는 어떤 결정형인지를 확인하는데.... 관심이 더 많기 때문에 정량에는 관심을 두고 있지 않아서 자세한 것은 모릅니다.

     

    유기화합물의 경우엔 XRD, DSC, TGA, Solid NMR, IR 등 다양한 기법을 이용해서 확인이 가능합니다만...... 세라믹의 경우엔 XRD가 유일한 방법일 것 같네요.

     

    제가 최근에 살펴봤던 문헌들을 링크해 드립니다. 참고가 될 것 같군요.

     

    1. Ind. Eng. Chem. Res., 2009, 48 (24), pp 11133?11139 DOI: 10.1021/ie900715w

    2. http://www.ncbi.nlm.nih.gov/pubmed/15610616

    3. http://www.google.co.kr/url?sa=t&rct=j&q=clopidogrel%20quantitative%20polymorph&source=web&cd=5&ved=0CGAQFjAE&url=http%3A%2F%2Fhrcak.srce.hr%2Ffile%2F25998&ei=Eiv4TsPzK8WUiAfd_4mQBw&usg=AFQjCNG_PJaqHPPhNYIqm_DlAHDZNPrRiQ&sig2=fiAuj8GB11_VvcV1FVWH1A

    4. http://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731708507006942

    5. http://www.ncbi.nlm.nih.gov/pubmed/19019611

    6.

    -------------------------------------질문-------------------------------------

    XRD측정결과 2상이 섞여 나오는것을 확인하였습니다.

     

    근데 이 두상이 얼마의 비율로 섞여 있는지에 대해 알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직적비교법을 사용하면 된다고 하는데..

     

    각피크의 적분값 모두를 합한것으로 강도를 비교해야 하는지

     

    아니면 메인피크(가장강한피크)만을 가지고 비교하면 되는지

     

    궁금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강광철님의 답변

    첨부파일

     이론적으로 교과서에 나와있는 내용은  시료의(샘플)의 두께에 따라서도 차이가 발생하며, 10도 이하의 자료는 사용하지 말아야하며, 입자 사이즈에 따라서도 다르게 측정됩니다.

     또한 샘플의 모양과 세기에따라서도 다르며...여러요인이있다고 기술되어있어요.

     

     

    자세한 내용은  x-RAY DIFFRACTION AND the Identification and Analysis of Clay Minerals 를 참고하시면 자세히 나와있어요.

     

    몇가지 방법이 소개되어있는데 이것도 기준점을 어디에 잡는냐에따라 결과 치가 흔들리지만 대략적인 분석값으로 사용가능할것으로 판단되요. 대략적으로 75% chlorite 와 25%dml illite가 혼합되어있을때의 피크값등...



     





    -------------------------------------질문-------------------------------------





    XRD측정결과 2상이 섞여 나오는것을 확인하였습니다.



     



    근데 이 두상이 얼마의 비율로 섞여 있는지에 대해 알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직적비교법을 사용하면 된다고 하는데..



     



    각피크의 적분값 모두를 합한것으로 강도를 비교해야 하는지



     



    아니면 메인피크(가장강한피크)만을 가지고 비교하면 되는지



     



    궁금합니다.



     이론적으로 교과서에 나와있는 내용은  시료의(샘플)의 두께에 따라서도 차이가 발생하며, 10도 이하의 자료는 사용하지 말아야하며, 입자 사이즈에 따라서도 다르게 측정됩니다.

     또한 샘플의 모양과 세기에따라서도 다르며...여러요인이있다고 기술되어있어요.

     

     

    자세한 내용은  x-RAY DIFFRACTION AND the Identification and Analysis of Clay Minerals 를 참고하시면 자세히 나와있어요.

     

    몇가지 방법이 소개되어있는데 이것도 기준점을 어디에 잡는냐에따라 결과 치가 흔들리지만 대략적인 분석값으로 사용가능할것으로 판단되요. 대략적으로 75% chlorite 와 25%dml illite가 혼합되어있을때의 피크값등...



     





    -------------------------------------질문-------------------------------------





    XRD측정결과 2상이 섞여 나오는것을 확인하였습니다.



     



    근데 이 두상이 얼마의 비율로 섞여 있는지에 대해 알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직적비교법을 사용하면 된다고 하는데..



     



    각피크의 적분값 모두를 합한것으로 강도를 비교해야 하는지



     



    아니면 메인피크(가장강한피크)만을 가지고 비교하면 되는지



     



    궁금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김상태님의 답변

    첨부파일

     답글



    -------------------------------------질문-------------------------------------

     

    XRD측정결과 2상이 섞여 나오는것을 확인하였습니다.


    근데 이 두상이 얼마의 비율로 섞여 있는지에 대해 알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직적비교법을 사용하면 된다고 하는데..

     

    각피크의 적분값 모두를 합한것으로 강도를 비교해야 하는지


     

    아니면 메인피크(가장강한피크)만을 가지고 비교하면 되는지


     

    궁금합니다.



    -농도별로 나타나는 피크값을 통해 적분값을 구하면 그에 맞는 값이 실제 정량값이 됨

     답글



    -------------------------------------질문-------------------------------------

     

    XRD측정결과 2상이 섞여 나오는것을 확인하였습니다.


    근데 이 두상이 얼마의 비율로 섞여 있는지에 대해 알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직적비교법을 사용하면 된다고 하는데..

     

    각피크의 적분값 모두를 합한것으로 강도를 비교해야 하는지


     

    아니면 메인피크(가장강한피크)만을 가지고 비교하면 되는지


     

    궁금합니다.



    -농도별로 나타나는 피크값을 통해 적분값을 구하면 그에 맞는 값이 실제 정량값이 됨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김형근님의 답변

     반갑습니다.

    먼저 제가 X-ray 분석할때 쓰는 책의 일부분을 복사해서 보내드립니다. 이론적인 부분이지만, 많이 도움이 될것이라 사료됩니다. 사실 좀 어렵긴해도 혹 논문을 쓰시는 데는 도움이 될것입니다.

    책이 오래됐지만, 이론은 늘 변하지 않으니까 참고가 될것입니다.

     

    요즈음은 JCPDS 소프트 웨어가 좋아서 기능을 보시면 정량 분석을 할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물론 결정화도도 알수 있구요.

    편의에 따라 제일 강한 피크를 가지고 하기도 하고, 또는 제일 강한 3가지 피크를 가지고 구하기도 합니다. 또한 내용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그 다른 성분이 비정질인지 아니면 결정성인지에 따라서도 해석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저 역시 JCPDS 프로그램을 많이 이용하는 편이고, 정말 모르면, 제조사에 연락하면 정말 자세히 step-by-step으로 알려줍니다. 최대한 서비스 많이 받으세요.^^

     

    혹, 더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면 또 최대한 도움 드리겠습니다.

     

     

    -------------------------------------질문-------------------------------------

    XRD측정결과 2상이 섞여 나오는것을 확인하였습니다.

     

    근데 이 두상이 얼마의 비율로 섞여 있는지에 대해 알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직적비교법을 사용하면 된다고 하는데..

     

    각피크의 적분값 모두를 합한것으로 강도를 비교해야 하는지

     

    아니면 메인피크(가장강한피크)만을 가지고 비교하면 되는지

     

    궁금합니다.

     반갑습니다.

    먼저 제가 X-ray 분석할때 쓰는 책의 일부분을 복사해서 보내드립니다. 이론적인 부분이지만, 많이 도움이 될것이라 사료됩니다. 사실 좀 어렵긴해도 혹 논문을 쓰시는 데는 도움이 될것입니다.

    책이 오래됐지만, 이론은 늘 변하지 않으니까 참고가 될것입니다.

     

    요즈음은 JCPDS 소프트 웨어가 좋아서 기능을 보시면 정량 분석을 할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물론 결정화도도 알수 있구요.

    편의에 따라 제일 강한 피크를 가지고 하기도 하고, 또는 제일 강한 3가지 피크를 가지고 구하기도 합니다. 또한 내용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그 다른 성분이 비정질인지 아니면 결정성인지에 따라서도 해석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저 역시 JCPDS 프로그램을 많이 이용하는 편이고, 정말 모르면, 제조사에 연락하면 정말 자세히 step-by-step으로 알려줍니다. 최대한 서비스 많이 받으세요.^^

     

    혹, 더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면 또 최대한 도움 드리겠습니다.

     

     

    -------------------------------------질문-------------------------------------

    XRD측정결과 2상이 섞여 나오는것을 확인하였습니다.

     

    근데 이 두상이 얼마의 비율로 섞여 있는지에 대해 알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직적비교법을 사용하면 된다고 하는데..

     

    각피크의 적분값 모두를 합한것으로 강도를 비교해야 하는지

     

    아니면 메인피크(가장강한피크)만을 가지고 비교하면 되는지

     

    궁금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