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약물 효능 분석법

정제한 프로테인이나 아니면 잘 알려지지 않은 케미컬을 신약개발을 위해 분석하고자 할때

연구하는 방법을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in vitro, iv vivo 상에서 적정 농도를 결정하기 위한 농도 스크리닝법과 같은 약물의 효능을 분석하는데 있어 기본적인 실험방법들을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도와주세요. 

 

  • 약물
  • 효능분석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홍동호님의 답변

     

    -------------------------------------질문-------------------------------------

    정제한 프로테인이나 아니면 잘 알려지지 않은 케미컬을 신약개발을 위해 분석하고자 할때

    연구하는 방법을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in vitro, iv vivo 상에서 적정 농도를 결정하기 위한 농도 스크리닝법과 같은 약물의 효능을 분석하는데 있어 기본적인 실험방법들을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도와주세요. 

     

     

    우선은 정제한 단백질을 아무 목적 없이 하지는 않으셨을 것이고 어떠한 효능 시험을 하고자 하셨으면 그러한 In vitro 효능 시험을 논문을 보시고 하시면 됩니다. 아니면 유사 구조의 단백질이 이러한 효능이 있더라 라는 논문이 있으시면 그것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In vivo 시험을 또 달라서 in vitro에서 효능을 보신 시험이 동물시험에서는 어떠한 시험계에서 하시는 지를 보시고 투여 농도는 최대의 용해도에서 독성이 없는 최대로 투여해서 확인을 하셔야 할 것입니다.

      남들이 한 것을 따라하기는 쉽지만 내 물질이 어떠한 효능을 가지는 지를 확인하기란 어렵습니다. 마치 내 자식이 어떠한 재능을 가지고 있을까 하고 찾는 것과 비슷하다고 생각하시고 인내를 가지시고 확인하셔야 합니다.

      어떠한 효능을 원하는지를 먼저 정하시면 어떠한 시험계에서 시험해야 하는지는 쉽습니다.

    혹시 더 궁금하시면 덧글을 다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질문-------------------------------------

    정제한 프로테인이나 아니면 잘 알려지지 않은 케미컬을 신약개발을 위해 분석하고자 할때

    연구하는 방법을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in vitro, iv vivo 상에서 적정 농도를 결정하기 위한 농도 스크리닝법과 같은 약물의 효능을 분석하는데 있어 기본적인 실험방법들을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도와주세요. 

     

     

    우선은 정제한 단백질을 아무 목적 없이 하지는 않으셨을 것이고 어떠한 효능 시험을 하고자 하셨으면 그러한 In vitro 효능 시험을 논문을 보시고 하시면 됩니다. 아니면 유사 구조의 단백질이 이러한 효능이 있더라 라는 논문이 있으시면 그것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In vivo 시험을 또 달라서 in vitro에서 효능을 보신 시험이 동물시험에서는 어떠한 시험계에서 하시는 지를 보시고 투여 농도는 최대의 용해도에서 독성이 없는 최대로 투여해서 확인을 하셔야 할 것입니다.

      남들이 한 것을 따라하기는 쉽지만 내 물질이 어떠한 효능을 가지는 지를 확인하기란 어렵습니다. 마치 내 자식이 어떠한 재능을 가지고 있을까 하고 찾는 것과 비슷하다고 생각하시고 인내를 가지시고 확인하셔야 합니다.

      어떠한 효능을 원하는지를 먼저 정하시면 어떠한 시험계에서 시험해야 하는지는 쉽습니다.

    혹시 더 궁금하시면 덧글을 다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조경호(wabjo) 2011-12-30

    인내를 가지고 해야하는 일임에는 절실히 공감하고 있습니다.

  • 답변

    김상태님의 답변

    첨부파일

     





    -------------------------------------질문-------------------------------------





    정제한 프로테인이나 아니면 잘 알려지지 않은 케미컬을 신약개발을 위해 분석하고자 할때



    연구하는 방법을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in vitro, iv vivo 상에서 적정 농도를 결정하기 위한 농도 스크리닝법과 같은 약물의 효능을 분석하는데 있어 기본적인 실험방법들을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도와주세요. 



     



    -우선 in vitro연구를 하기 위해 cell line실험을 수행해야 하는데 MTT ASSAY를 해야 하고



     농도별 효능을 분석후 혼합물은 유기용매별 분획으로 유효성분을 추적관리행함

     





    -------------------------------------질문-------------------------------------





    정제한 프로테인이나 아니면 잘 알려지지 않은 케미컬을 신약개발을 위해 분석하고자 할때



    연구하는 방법을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in vitro, iv vivo 상에서 적정 농도를 결정하기 위한 농도 스크리닝법과 같은 약물의 효능을 분석하는데 있어 기본적인 실험방법들을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도와주세요. 



     



    -우선 in vitro연구를 하기 위해 cell line실험을 수행해야 하는데 MTT ASSAY를 해야 하고



     농도별 효능을 분석후 혼합물은 유기용매별 분획으로 유효성분을 추적관리행함

    조경호(wabjo) 2011-12-30

    MMT ASSAY이용한 농도별 효능 분석을 하는 구체적 프로토콜을 구할 수 있을까요? 약물 농도 스크리닝시에 농도들은 어떻게 설정하는지 SOTCK의 농도는 얼마나 해야하는지 구체적인 방법들을 알고 싶습니다.

  • 답변

    김상태님의 답변

    첨부파일

     



    -------------------------------------질문-------------------------------------



    정제한 프로테인이나 아니면 잘 알려지지 않은 케미컬을 신약개발을 위해 분석하고자 할때


    연구하는 방법을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in vitro, iv vivo 상에서 적정 농도를 결정하기 위한 농도 스크리닝법과 같은 약물의 효능을 분석하는데 있어 기본적인 실험방법들을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도와주세요. 


     


    -약물효능을 집중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단일물질을 농도별 동물실험을 위해 LD50/ED50을 분석하거나 전임상을 수행하야 하는데 이는 약물의 지시법, 함량분석,독성분석을 위함

     



    -------------------------------------질문-------------------------------------



    정제한 프로테인이나 아니면 잘 알려지지 않은 케미컬을 신약개발을 위해 분석하고자 할때


    연구하는 방법을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in vitro, iv vivo 상에서 적정 농도를 결정하기 위한 농도 스크리닝법과 같은 약물의 효능을 분석하는데 있어 기본적인 실험방법들을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도와주세요. 


     


    -약물효능을 집중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단일물질을 농도별 동물실험을 위해 LD50/ED50을 분석하거나 전임상을 수행하야 하는데 이는 약물의 지시법, 함량분석,독성분석을 위함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김덕중님의 답변

     

    -------------------------------------질문-------------------------------------

    정제한 프로테인이나 아니면 잘 알려지지 않은 케미컬을 신약개발을 위해 분석하고자 할때

    연구하는 방법을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in vitro, iv vivo 상에서 적정 농도를 결정하기 위한 농도 스크리닝법과 같은 약물의 효능을 분석하는데 있어 기본적인 실험방법들을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도와주세요. 

     

    -->

    in vitro

    1. 단백질이 kinase?

                      non-kinase?

    2. 이 단백질의 expression level?

    3. substrate?

    4. phosphorylation? --> phospho antibody 유무?

       없을 경우 동위원소나 최근에 알려진 kinase assay(fluorescent/luminescent)

    5. downstream substrate 로서 쓸만한 marker가 있는가?

    in vivo 이 부분은 제가 잘 모르는 부분입니다. 보통은 in vivo는 최종 확인하는 부분이고 대게는 in situ 실험을 in vivo 실험에 앞서 맞는 모델을 찾아 독성 실험이나 기타 in vitro 실험 즉 biochemical data를 통해 병행합니다. 여기서도 단백질 level에서 확인하느냐? 아님 cell cycle, 혹은 gene level 에서 확인하느냐하는 아주 복잡하지만 대게 실험실에서 주로 추구하는 쪽으로 진행하는것이 보통이지요. 석사 에서는 그 부분을 혼자 힘으로 시도하기에는 무리가 따르고 보통은 석사과정후 박사과정에서 시도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저는 in vitro 쪽으로 주로 연구를 하였기에.......

    위 조건에 맞는 부분을 고르셨다면

    기존에 비슷한 연구를 했는지 논문 서치를 해보시고 없으면 design을 하셔야 됩니다.

    연구의 기본은 simple화 입니다.

    어려운 실험으로 미지의 연구를 하기보단 step별로 확인하면서 가는 것이 가장 쉽습니다.

    맨처음 접근하는 것은 전기영동(단백질)을 통해 expression level을 처음 확인합니다. 이후 실험의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우선이 아닌가 합니다. 너무 광범위 하기에 실험 도입 부분만 윤곽을 잡습니다.

     

    -------------------------------------질문-------------------------------------

    정제한 프로테인이나 아니면 잘 알려지지 않은 케미컬을 신약개발을 위해 분석하고자 할때

    연구하는 방법을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in vitro, iv vivo 상에서 적정 농도를 결정하기 위한 농도 스크리닝법과 같은 약물의 효능을 분석하는데 있어 기본적인 실험방법들을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도와주세요. 

     

    -->

    in vitro

    1. 단백질이 kinase?

                      non-kinase?

    2. 이 단백질의 expression level?

    3. substrate?

    4. phosphorylation? --> phospho antibody 유무?

       없을 경우 동위원소나 최근에 알려진 kinase assay(fluorescent/luminescent)

    5. downstream substrate 로서 쓸만한 marker가 있는가?

    in vivo 이 부분은 제가 잘 모르는 부분입니다. 보통은 in vivo는 최종 확인하는 부분이고 대게는 in situ 실험을 in vivo 실험에 앞서 맞는 모델을 찾아 독성 실험이나 기타 in vitro 실험 즉 biochemical data를 통해 병행합니다. 여기서도 단백질 level에서 확인하느냐? 아님 cell cycle, 혹은 gene level 에서 확인하느냐하는 아주 복잡하지만 대게 실험실에서 주로 추구하는 쪽으로 진행하는것이 보통이지요. 석사 에서는 그 부분을 혼자 힘으로 시도하기에는 무리가 따르고 보통은 석사과정후 박사과정에서 시도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저는 in vitro 쪽으로 주로 연구를 하였기에.......

    위 조건에 맞는 부분을 고르셨다면

    기존에 비슷한 연구를 했는지 논문 서치를 해보시고 없으면 design을 하셔야 됩니다.

    연구의 기본은 simple화 입니다.

    어려운 실험으로 미지의 연구를 하기보단 step별로 확인하면서 가는 것이 가장 쉽습니다.

    맨처음 접근하는 것은 전기영동(단백질)을 통해 expression level을 처음 확인합니다. 이후 실험의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우선이 아닌가 합니다. 너무 광범위 하기에 실험 도입 부분만 윤곽을 잡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