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
안녕하세요.
실리카 나노 입자로 실험을 진행중인데
나노 입자나 마이크로 입자의 크기가 커지면 제타 포텐셜 값이 작아진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그 이유가 궁금하구요,
참고 가능한 논문을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실리카 나노 입자
- 제타포텐셜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
답변
강광철님의 답변
2012-01-02- 2
실리카(SiO2)는 물 속에서 음극을 띠고 γ-형태의 산화 알미늄(Al2O3)는 양극을 띤다.
레티놀/메조다공성실리카 나노복합화합물에관한연구 Study for Retinol/Mesoporous silica Nano hybrid materials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池洪根 2005 참고하세요
참고 문헌 보시면 알수 있어요..
-------------------------------------질문-------------------------------------
안녕하세요.
실리카 나노 입자로 실험을 진행중인데
나노 입자나 마이크로 입자의 크기가 커지면 제타 포텐셜 값이 작아진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그 이유가 궁금하구요,
참고 가능한 논문을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답변
김형근님의 답변
2012-01-05- 0
어떤 실험을 하시는지 모르겠지만, zeta potential에 대해 궁금해 하시는것 같아 최대한 간단히 설명 해 드리겠습니다. 그러면 인터넷등 주변의 참고문헌 이해가 좀더 쉬워 지리라 여겨 집니다.
일단, zeta potential은 입자의 surface charge가 아닌 double layer 와 그 미디어의 charge difference 값입니다. 그렇다면, double layer는 무엇인가하면,
모든 입자는 그들 나름데로 표면에 +,- 전하를 띄고 있는데, 분산되어 있는 용액(또는 현탁액)중에서 이들 전하와 반대되는 전하들이 입자 표면으로 달라붙어 마치 하나의 입자처럼 layer를 형성하지요 (stern layer) 이러한 현상들은 입자 표면에서 부터 어느정도 거리까지는 계속 일어나게 되며, 마치 또다른 layer를 형성합니다. (double layer). 그런데 이 double layer는 diffusion layer라고도 하며 입자가 움직일때는 보통 입자에 약하게 붙어 있기때문에 떨어져 나가고 대신 stern layer는 하나의 덩어리처럼 함께 움직입니다. 위에서 말씀 드린데로 이 double layer의 potential 과 미디어의 potential의 차이를 zeta potential 이라 하죠. 이정도 되면 zeta potential 이 무엇인지 이해가 가셨는지요.
그러면, 입자의 크기가 왜 zeta potential 의 값과 반대 성향이 있을까인데...
일반적인 zeta potential의 설명에서 흔히 나오는 그래프를 (왜 이런것 있죠. l--------)생각해 보죠. 왼쪽 벽은 surface charge이고 오른쪽으로 갈수로 입자에서 멀어지는 거리를 나타내는것이요.
그럼, 입자가 크면, 그 표면에 달라붙는 반대 전하가 많겠죠, 물론 두꺼워 질것이고, 그러면 zeta potential이 입자 표면의 potential 에 비해 점점 작아 지겠죠? 반대로 입자가 작으면, 그 표면에 붙는 전하가 그만큼 적을 것이고 역시 zeta potential이 표면의 zeta potential 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간 작은 값을 갖게 될것입니다. 이해가 되셨으리라 여겨집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zeta potential이 크다는 얘기는 그만큼 반발력이 크다는 얘기고 반대로 zeta potential이 작다는 얘기는 인력이 커서 결국 flucclation이 일어나게 되지요.
이정도면, 어떤 문헌을 봐도 이해하시는데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최대한 간략하게 설명을 해 드렸는데, 혹, 궁금하신것이있으면 언제든지 질문 남겨 주세요.
감사합니다.
-------------------------------------질문-------------------------------------
안녕하세요.
실리카 나노 입자로 실험을 진행중인데
나노 입자나 마이크로 입자의 크기가 커지면 제타 포텐셜 값이 작아진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그 이유가 궁금하구요,
참고 가능한 논문을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