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05-13
org.kosen.entty.User@7893ab5c
나용호(goodman17)
- 2
합성된 물질이 carboxyl acid의 sodium salt인 경우
1. IR에서 carboxyl acid의 peak가 나타나나요? (solid 그대로 찍음 KBr 펠렛 미사용)
2. NMR에서 carboxyl acid의 peak가 나타나나요? (DMSO)
추가 질문
- Pyruvic acid 와 같이 (C=O)(C=O)OH 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free form)에서
답변 기다립니다 도움 부탁드려요
추가 내용
carboxyl acid의 sodium salt form을 합성하였고 이를 IR/NMR확인하니
IR에서 broad한 acid peak가 확인되었고 NMR에서 acid로 예상되는 peak가 나왔습니다.
(C=O)(C=O)OH 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free form)의 IR 확인 결과
IR에서 broad한 acid peak가 없습니다. 또한 C=O의 peak역시 약하게 갈라져 나와서
분석이 어려워서 질문 드렸습니다.
1. IR에서 carboxyl acid의 peak가 나타나나요? (solid 그대로 찍음 KBr 펠렛 미사용)
2. NMR에서 carboxyl acid의 peak가 나타나나요? (DMSO)
추가 질문
- Pyruvic acid 와 같이 (C=O)(C=O)OH 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free form)에서
3. IR에서 carboxyl acid의 peak가 나타나나요? (solid 그대로 찍음 KBr 펠렛 미사용)
4. NMR에서 carboxyl acid의 peak가 나타나나요? (DMSO)
답변 기다립니다 도움 부탁드려요
추가 내용
carboxyl acid의 sodium salt form을 합성하였고 이를 IR/NMR확인하니
IR에서 broad한 acid peak가 확인되었고 NMR에서 acid로 예상되는 peak가 나왔습니다.
(C=O)(C=O)OH 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free form)의 IR 확인 결과
IR에서 broad한 acid peak가 없습니다. 또한 C=O의 peak역시 약하게 갈라져 나와서
분석이 어려워서 질문 드렸습니다.
- salt
- IR
- NMR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이배훈님의 답변
2014-05-13- 1
COOH 주로 IR peak는 다음과 같습니다.
(핵심 peak는 1720 cm-1부근에서 나타나는 C=O stretch 입니다.)
O–H stretch 3300-2500 cm-1
C=O stretch 1760-1690 cm-1
C–O stretch 1320-1210 cm-1
O–H bend 1440-1395 950-910 cm-1
Pyruvic acid의 경우
1700 그리고 1820 cm-1
에 C=O그리고 C=O OH 가 다르게 나오네요
NMR 상에서 COOH는 10-13 ppm (1H) 근처에서 나옵니다.
(sodium salt인 경우 COONa는 carbon NMR로만 확인 가능합니다.)
이배훈(lbh217) 2014-08-27salt 상태에서는 H-NMR상에서 D2O/DMSOd6건 COONa이기에 COOH 확인이 어렵습니다. 단지 Carbon NMR로는 가능합니다. 요즘 FTIR은 펠렛제조없어도 C=O peak는 확인 가능할 것입니다.
나용호(goodman17) 2014-08-27네 그건 알고 있습니다만.
sodium salt의 경우와 (C=O)(C=O)OH의 경우가 궁금하여 질문을 올립니다
NMR/IR 결과가 이상해서 한참 고민중이네요 ㅠㅠ
덧글 감사합니다나용호(goodman17) 2014-08-27sodium salt에서 펠렛 사용하지 않고 찍어도 IR에서 broad한 peak이 보인다는 건가요?
NMR에서도 DMSO 사용하였으니 acid의 H가 보일수 있는건가요?이배훈(lbh217) 2014-08-273000대는 수분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 구역이라, 질소하에 측정하는냐 기기 조건에 영향을 받을 것 같구요. 1700대 C=O는 명확할 것 같습니다. COOH에서 COONa 되면서 (shoulder peak이 함께 뭉칠 수 있습니다.)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2014-05-13- 0
반갑습니다.
카복실산 알카리 금속염의 구조 분석에 대한 고민이군요.
카복실산이 알카리 금속염을 형성하는 반응을 비누화반응이라고 하죠. 비누화반응을 거치면 카복실산은 음이온 상태가 됩니다. 이러한 변화는 NMR, IR 등의 분광학적 데이타에 나타나므로 이를 관찰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만 1H NMR의 경우 DMSO를 사용했다 하더라도 Exchangeable proton의 경우 peak이 broad하여 관찰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적절한 방법이 아닙니다.
IR로 확인할 수 있는지 궁금해하시는데.....답은 할 수 있다 입니다. 다만 포인트를 잘못 잡고 있네요. 카복실산의 broad peak의 유무만으로 구조를 확신하기는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약간의 미반응 카복실산이 남아 있을 수도 있고, 비누화반응 생성물의 특성상 수분을 함유할 수 있기 때문에 동일 파장 영역에 수분으로 인한 broad peak이 나타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비누화반응 생성물인 카복실산 음이온의 분광학적 특징은 IR에서 C=O peak가 1760 정도에서 1600 cm-1 파장 영역으로 이행한다는 점입니다. 만약 두 영역에 모두 피크가 나타난다면 카복실산과 비누화생성물의 혼합물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추가 질문 사항의 Pyruvic acid처럼 상이한 C=O 이 2개 이상 존재할 경우에는 비누화반응이 일어나더라도 1760 부근과 1600cm-1에 peak가 모두 나타나게 됩니다. Pyruvic acid의 IR 스펙트럼에서 1760부근의 peak는 카복실산과 케톤의 C=O peak가 겹쳐서 넓게 보입니다. 하지만 비누화반응을 하고 나면 카복실산의 C=O가 1600cm-1로 이동하면서 1760 cm-1 부근의 C=O peak의 형태가 보다 sharp하게 변할 겁니다.
13C NMR을 이용한 확인은 chemical shift의 변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cetic acid의 카보닐 카본은 177 ppm 정도에서 관찰 되는데, 비누화반응 후 NaOAc가 되면 183 ppm 정도에서 관찰 됩니다.(D2O 측정시) 그런데 이러한 Chemical Shift의 변화는 용매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해석에 주의를 해야 합니다. CDCl3 같이 상대적으로 극성이 약한 용매를 사용하면 그 변화가 매우 작아서 확신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죠. 때문에 여러 가지 데이타를 가지고 보완적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참고하시길...
FTIR에서 펠렛없어도 COONa salt의 경우 3000대의 broad한 peak는 안보인다는 말씀이신거죠?
답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