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당량에 관한 기초 질문 드립니다...

ODA < C12H12N2O > 라는 물질 (MW 200.24)과
PMDA < CH3CON(CH3)2 > 라는 물질 (MW 218.12)을

당량비를 1:1로 맞출려면 (혹은 1:2)
각각 몇 g씩 필요하죠?
  • 당량
  • 화학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7
  • 답변

    이홍규님의 답변

    첨부파일

    당량비이기 때문에 분자량만큼 넣어주시면 되요.

    하지만 모 순도가 100% 기준이라면 분자량 만큼이지만,

    순도가 얼마진는 모르겠지만 1당량= 분자량 *100/순도 g 하시면 됩니다.

    ODA < C12H12N2O > 라는 물질 (MW 200.24)
     200.24*100/순도 = ~~~g
    PMDA < CH3CON(CH3)2 > 라는 물질 (MW 218.12)을
    218.12 *100 /순도 = ~~~g

    간단히 생각하세용~~

    수고하세요
     
    당량비이기 때문에 분자량만큼 넣어주시면 되요.

    하지만 모 순도가 100% 기준이라면 분자량 만큼이지만,

    순도가 얼마진는 모르겠지만 1당량= 분자량 *100/순도 g 하시면 됩니다.

    ODA < C12H12N2O > 라는 물질 (MW 200.24)
     200.24*100/순도 = ~~~g
    PMDA < CH3CON(CH3)2 > 라는 물질 (MW 218.12)을
    218.12 *100 /순도 = ~~~g

    간단히 생각하세용~~

    수고하세요
     

    당량비와 몰비가 같은건가요...?

    식에서 1당량= 분자량 * 순도/100 g 으로 계산해야 하는 것 아닌가요?

    식에서 1당량= 분자량 * 순도/100 g 으로 계산해야 하는 것 아닌가요?

    예를들어 98% 짜리면 100g을 취해서 98g 밖에 들어있는것이 아니니 분자량*100/순도가 맞습니다.
    100%가 아니기때문에 더 넣어줘야 합니다.~^^

  • 답변

    이홍규님의 답변

    당량비이기 때문에 분자량만큼 넣어주시면 되요.

    하지만 모 순도가 100% 기준이라면 분자량 만큼이지만,

    순도가 얼마진는 모르겠지만 1당량= 분자량 *100/순도 g 하시면 됩니다.

    간단히 생각하세용~~

    수고하세요
     
    당량비이기 때문에 분자량만큼 넣어주시면 되요.

    하지만 모 순도가 100% 기준이라면 분자량 만큼이지만,

    순도가 얼마진는 모르겠지만 1당량= 분자량 *100/순도 g 하시면 됩니다.

    간단히 생각하세용~~

    수고하세요
     

    당량비와 몰비가 같은건가요...?

  • 답변

    이홍규님의 답변

    첨부파일

    반응에 참여하는 작용기를 기준으로 달량비를 사용하는 것이므로 반응 메커니즘을 찾고서 하시는것이 빠르겠습니다.

    우선적으로 몰비와 당량비 같은 의미는 아닙니다. 당량비는 반응 메커니즘에 따라서 사용되는량을 의미하는것이라서 사용하는 물질에 따라서 작용기에 따라 달라지게됩니다.
    우선적으로 위에 설명드린것은 1:! 반응이라는 전제 조건에 말씀 드린것입니다.

    예을 들어 1'2-phenly diamine  과 acetly chloride의 반응을 보시면
    NH2 + ClCO- 가 만나 -NHCO- 아마이드를 만드는 반응이라 생각해보면
    1당량의 1'2-phenly diamine과 2당량의 acetly chloride와 반응하여 1당량의 생성물이 만들어지는게 됩니다.
    그래서 반응비가 1:2=> 1
    이렇게 반응비에 따라 달량이 달라지게 됩니다.

    그리고 반응 물질이 (Ph)2-N-N=O  그리고 CH3CO-N(CH3)2 물질의 메카니즘을 알아보세요.
    반응비를 찾으시면 될듯 합니다.
     
    반응에 참여하는 작용기를 기준으로 달량비를 사용하는 것이므로 반응 메커니즘을 찾고서 하시는것이 빠르겠습니다.

    우선적으로 몰비와 당량비 같은 의미는 아닙니다. 당량비는 반응 메커니즘에 따라서 사용되는량을 의미하는것이라서 사용하는 물질에 따라서 작용기에 따라 달라지게됩니다.
    우선적으로 위에 설명드린것은 1:! 반응이라는 전제 조건에 말씀 드린것입니다.

    예을 들어 1'2-phenly diamine  과 acetly chloride의 반응을 보시면
    NH2 + ClCO- 가 만나 -NHCO- 아마이드를 만드는 반응이라 생각해보면
    1당량의 1'2-phenly diamine과 2당량의 acetly chloride와 반응하여 1당량의 생성물이 만들어지는게 됩니다.
    그래서 반응비가 1:2=> 1
    이렇게 반응비에 따라 달량이 달라지게 됩니다.

    그리고 반응 물질이 (Ph)2-N-N=O  그리고 CH3CO-N(CH3)2 물질의 메카니즘을 알아보세요.
    반응비를 찾으시면 될듯 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강광철님의 답변

    플로톤이 2개가 있어서 당량은 2가라고 하는것 처럼 반응식에서 당량을 찾아야 할것 같군요.
    플로톤이 2개가 있어서 당량은 2가라고 하는것 처럼 반응식에서 당량을 찾아야 할것 같군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김채형님의 답변

    첨부파일

    ~당량비라 해서 연소공학이나나 내연기관/열역학에세 사용되는 당량비인줄 알았더니....다른 개념이군요. 그냥 참고로 글 남깁니다.


    ~연소시 혼합되는 연료와 공기의 비율
     공연비(A/F ratio): 공기/연료의 비
     연공비(F/A ratio): 연료/공기의 비

     당량비(equivalence ratio)
     CxHy+z(O2+3.76N2) -> aCO2+bH2O+cN2의 반응식에서 완전연소일 경우, 질량보존법칙에 의해 반응식은 특정한 공연비를 가지게 됩니다. 이 때의 공연비를 stoichiometry상태의 공연비라고 하고, (stoichiometry상태의 공연비/실제 공연비)를 당량비라고 합니다.

    당량비가 1: 완전연소(stoichiometric)
    당량비가 1초과: 연료가 공기보다 많은 경우 (fuel-rich)
    당량비가 1미만: (fuel-lean)

    ~당량비라 해서 연소공학이나나 내연기관/열역학에세 사용되는 당량비인줄 알았더니....다른 개념이군요. 그냥 참고로 글 남깁니다.


    ~연소시 혼합되는 연료와 공기의 비율
     공연비(A/F ratio): 공기/연료의 비
     연공비(F/A ratio): 연료/공기의 비

     당량비(equivalence ratio)
     CxHy+z(O2+3.76N2) -> aCO2+bH2O+cN2의 반응식에서 완전연소일 경우, 질량보존법칙에 의해 반응식은 특정한 공연비를 가지게 됩니다. 이 때의 공연비를 stoichiometry상태의 공연비라고 하고, (stoichiometry상태의 공연비/실제 공연비)를 당량비라고 합니다.

    당량비가 1: 완전연소(stoichiometric)
    당량비가 1초과: 연료가 공기보다 많은 경우 (fuel-rich)
    당량비가 1미만: (fuel-lean)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심용호님의 답변

    첨부파일

    ODA < C12H12N2O > 라는 물질 (MW 200.24)과
    PMDA < CH3CON(CH3)2 > 라는 물질 (MW 218.12)을

    일단 사용하는 물질들의 순도는 100% 짜리라고 가정하고 검토를 해보겠습니다. 일반적인 당량을 이야기 한다면 또  1:1 이라고 한다면 간단합니다. 200.24g 과 218.12g 을 섞으시면 되겠습니다. 이게 제일 간단한 답변이 될 것 같습니다.

    둘째 답변은, 일단 ODA = 4,4'-Oxydianiline 이라고 생각됩니다. PMDA라는 물질은 뭔지 잘 모르겠습니다. 제가 아는것은 DMA라고 N,N-Dimethylacetamide 라는 물질로 써주신  < CH3CON(CH3)2 > 과 일치합니다. 아마도 오타치신듯 합니다. 이 두 물질 외에도 다른 물질을 쓰실건지.. 굳이 P를 붙여서 polymer가 타겟인지.. 설명을 주시면 답변드리는데 더 수월할 듯 합니다.
    만약 제 생각대로 ODA 양 끝단에 DMA를 붙이는 간단한 합성이라면 ODA는 두곳이 반응 할 수 있으므로, ODA:DMA=1:2 이렇게 당량을 맞추는 것으로 봅니다. 그러면 200.24g 과 436.24g 넣으시면 되겠습니다. 
    하지만  PMDA가 다른 물질이라면 다르게 봐야겠죠. 그리고 이러한 물질들을 이용해서 고분자를 만드는것이라면 당량에 대한 해석이 달라집니다...  또한 반응조건에 따라서 무엇이 목표가 될것인지 알아야 당량을 설명할 수 있을 듯 합니다.

    질문에 목표 물질이나 반응조건을 알려주시면 더 명확한 답을 얻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ODA < C12H12N2O > 라는 물질 (MW 200.24)과
    PMDA < CH3CON(CH3)2 > 라는 물질 (MW 218.12)을

    일단 사용하는 물질들의 순도는 100% 짜리라고 가정하고 검토를 해보겠습니다. 일반적인 당량을 이야기 한다면 또  1:1 이라고 한다면 간단합니다. 200.24g 과 218.12g 을 섞으시면 되겠습니다. 이게 제일 간단한 답변이 될 것 같습니다.

    둘째 답변은, 일단 ODA = 4,4'-Oxydianiline 이라고 생각됩니다. PMDA라는 물질은 뭔지 잘 모르겠습니다. 제가 아는것은 DMA라고 N,N-Dimethylacetamide 라는 물질로 써주신  < CH3CON(CH3)2 > 과 일치합니다. 아마도 오타치신듯 합니다. 이 두 물질 외에도 다른 물질을 쓰실건지.. 굳이 P를 붙여서 polymer가 타겟인지.. 설명을 주시면 답변드리는데 더 수월할 듯 합니다.
    만약 제 생각대로 ODA 양 끝단에 DMA를 붙이는 간단한 합성이라면 ODA는 두곳이 반응 할 수 있으므로, ODA:DMA=1:2 이렇게 당량을 맞추는 것으로 봅니다. 그러면 200.24g 과 436.24g 넣으시면 되겠습니다. 
    하지만  PMDA가 다른 물질이라면 다르게 봐야겠죠. 그리고 이러한 물질들을 이용해서 고분자를 만드는것이라면 당량에 대한 해석이 달라집니다...  또한 반응조건에 따라서 무엇이 목표가 될것인지 알아야 당량을 설명할 수 있을 듯 합니다.

    질문에 목표 물질이나 반응조건을 알려주시면 더 명확한 답을 얻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