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chemical Inhibitor 사용법

식물에서 효소 연구하는 학생입니다.
그 효소의 chemical inhibitor을 구입해서 농도별로 처리하여 효소활성 저해 정도를 보고자 했습니다. 이 inhibitor는 DMSO에 녹는 시약입니다.

그런데, inhibitor을 처리한 효소 활성을 조사한 결과,,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없었습니다.
아래를 보시고 잘못된 점이나, 조언을 구합니다.

1. Vesicle로서 DMSO를 0.5~1%을 이용하였습니다.
--> 그 결과, DMSO를 넣은 것과 넣지 않은 것을 비교해봤더니,
     DMSO가 함유된 효소 활성 반응에서 약 15-20%정도 감소됨이 관찰됐습니다.
     차이가 없어야 되는거 아닌가요???

2. 이 inhibitor를 log-2 ~ log-9 희석을 하여 사용하는데,, 희석하는 방법의 조언을 구합니다.
-->저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희석해보았습니다.
DMSO로 희석하는 방법: 차이는 활성을 제대로 보기가 어려웠습니다.
                                혹시, DMSO의 농도가 효소 활성에 영향을 주는건가요???
                                (저는 duchfa 제품 DMSO를 덜어서 썼습니다.)
DW(물)로 희석하는 방법: DMSO는 DW에 녹지만, 그 안에 녹아 있는 inhibitor 때문인지,,,
                                 하얗게 침전물이 생겼습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효소활성을 실험을 중단한 상황입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 Inhibitor
  • DMSO
  • emzyme activity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성학모님의 답변

    침전물이 생겼다는 사실은
    가능성 1) Inhibitor가 친수성이 아닌 소수성의 구조에 기인 할수 있습니다.
       DMSO에는 용해되었으나 효소와 혼합시 희석되어 불안정성이 증가되면 침전물이 형성될수 있습니다. 소수성으로 변화시킬수 있는 일종의 코팅제가 필요하다고 볼수 있는데, activity를 나타낼지도 적용해보아야 할것 같습니다.

    가능성 2) 효소 단백질이 DMSO에 영향을 받아 침전이 생성될수도 있습니다.
       효소 단백질이 구조적으로 DMSO과 접측하면서 표면극성의 변화나 탈수증상으로 인해 응집이 일어날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DW보다는 이온성물질이 포함된 버퍼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봅니다.
      
    침전물이 생겼다는 사실은
    가능성 1) Inhibitor가 친수성이 아닌 소수성의 구조에 기인 할수 있습니다.
       DMSO에는 용해되었으나 효소와 혼합시 희석되어 불안정성이 증가되면 침전물이 형성될수 있습니다. 소수성으로 변화시킬수 있는 일종의 코팅제가 필요하다고 볼수 있는데, activity를 나타낼지도 적용해보아야 할것 같습니다.

    가능성 2) 효소 단백질이 DMSO에 영향을 받아 침전이 생성될수도 있습니다.
       효소 단백질이 구조적으로 DMSO과 접측하면서 표면극성의 변화나 탈수증상으로 인해 응집이 일어날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DW보다는 이온성물질이 포함된 버퍼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봅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