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이차 대사산물 생산 중 flavanone 계열 물질과 배당체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

식물 세포 배양을 통해 isoflavone 생산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제 세포에 누구나 흔히 사용하는 methyl jasmonate를 처리했습니다
논문에 나오기를 처리하면 제가 타겟하는 isoflavone이 나온다고 하여서...

이게 웬일입니까?
타겟 isoflavone은 정말 개미 눈물만큼 밖에 안 나오고(너무 적어서 값으로 환산하기도 애매한..)
flavanone 계열 물질과 배당체들이 수두룩합니다
flavanone 계열 물질이 감소되고 배당체에서 당이 떨어지면
제가 타겟하는 물질이 많이 나올 것 같은데요
조건을 못잡겠습니다

flavanone 계열물질은 어느 때 많이 생산되고
어떻게 하면 배당체 생산이 적어질까요?

화학적인 것에 문외한이라 어떻게 접근을 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도와 주세요 플리즈~~~~
  • flavanone
  • glycoside
  • secondary metabolit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김동현님의 답변

    혹시 추출을 어떻게 하셨는지요? methyl jasmonate 처리를 하기 전 액체 분획을 해보시는 건 어떨까요? EtOAc:H2O 분획을 나누면 많은 배당체들이 물 분획쪽으로 분리가 될 것 같은데요. 전체적인 실험 방법을 몰라 참고될까 적어봅니다. 
    혹시 추출을 어떻게 하셨는지요? methyl jasmonate 처리를 하기 전 액체 분획을 해보시는 건 어떨까요? EtOAc:H2O 분획을 나누면 많은 배당체들이 물 분획쪽으로 분리가 될 것 같은데요. 전체적인 실험 방법을 몰라 참고될까 적어봅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장미옥님의 답변

    이차대사산물 생산을 자극하는 elicitor인 methyl jasmonate를 처리한 후
    며칠을 더 배양하여
    이차대사산물을 세포로 하여금 만들게 하는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여기서 저의 고민은
    커다란 덩어리처럼 나오는 flavanone 계열 물질의 생산량을 감소시키고
    개미 눈물만큼 생산되는 타겟 flavonoid의 생산량을 어떻게 증가시킬 것인가 입니다

    물론,
    추출 방법에 의해서도 더 많은 양을 확보할 수는 있겠으나
    근본적으로
    세포에서 많이 만들어져야 더 많은 양을 확보할 수 있을 테니까요..

    도와 주세요 플리즈~~~
    이차대사산물 생산을 자극하는 elicitor인 methyl jasmonate를 처리한 후
    며칠을 더 배양하여
    이차대사산물을 세포로 하여금 만들게 하는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여기서 저의 고민은
    커다란 덩어리처럼 나오는 flavanone 계열 물질의 생산량을 감소시키고
    개미 눈물만큼 생산되는 타겟 flavonoid의 생산량을 어떻게 증가시킬 것인가 입니다

    물론,
    추출 방법에 의해서도 더 많은 양을 확보할 수는 있겠으나
    근본적으로
    세포에서 많이 만들어져야 더 많은 양을 확보할 수 있을 테니까요..

    도와 주세요 플리즈~~~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신소림님의 답변

    MJ 이외에 키토산이나 효모추출물도 이소플라본 생산을 위한 elicitor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생물적 elicitor 개념으로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는 어떨까요?
    cell culture 할 때 elicitor로 flavanone 계열 물질과 배당체가 많이 증가한다면 
    그 방법으로 최대한 생산한 후 미생물 발효로 당을 떼어내는 등
    물질 구조를 바꿔 타겟물질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방법도 효율적일 것 같습니다.

    참고문헌: Korsangruang et al., 2010. Effects of abiotic and biotic elicitors on growth and isoflavonoid accumulation in Pueraria candollei var. candollei and P. candollei var. mirifica cell suspension cultures. Plant Cell, Tissue and Organ Culture (PCTOC), Vol. 103(3), pp 333-342.
     

     

    MJ 이외에 키토산이나 효모추출물도 이소플라본 생산을 위한 elicitor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생물적 elicitor 개념으로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는 어떨까요?
    cell culture 할 때 elicitor로 flavanone 계열 물질과 배당체가 많이 증가한다면 
    그 방법으로 최대한 생산한 후 미생물 발효로 당을 떼어내는 등
    물질 구조를 바꿔 타겟물질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방법도 효율적일 것 같습니다.

    참고문헌: Korsangruang et al., 2010. Effects of abiotic and biotic elicitors on growth and isoflavonoid accumulation in Pueraria candollei var. candollei and P. candollei var. mirifica cell suspension cultures. Plant Cell, Tissue and Organ Culture (PCTOC), Vol. 103(3), pp 333-342.
     

     

    미생물 발효로 당을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알고 있었으나 적용하기 위해 적절한 미생물을 선정해야 할 거라는 막연한 두려움 내지는 실험이 어려워지고 길어질 것이라는 생각 때문에 제 실험에 적용해 볼 생각을 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