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식물세포의 생존율 확인 방법

식물세포의 생존율 때문에 고민하고 있습니다

원형질체는 아니고 일반적인 세포벽이 있는 형태의 세포의 생존율을 확인하고자 합니다
저는 현재까지는 evans blue dye를 사용하여 염색했는데요
이 dye가 완전 건강한 세포에서는 비교적 염색이 되는 정도가 정확해 보이는데
세포가 흐물거려 보인다든지 세포가 텅비어 보인다든지 원형질이 분리되어 보이는데
염색이 안되는 경우도 있더라고요
또, 염색은 됐는데 건강해 보이는 세포들도 간혹 보이고요
그래서 많이 헷갈립니다

보다 더 신속 정확하게 식물세포의 생존율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뭐가 있을까요?
형광 dye를 사용하지 않고 일반적인 광학현미경 하에서 빠르게 볼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어요

아니면, 현재의 evans blue dye가 그나마 나은데
저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이 뭐가 있을까요?
저와 같은 고민을 하셨던 분들이 있을 것 같은데 도와 주세요~~~^^
  • 식물세포
  • 생존율
  • evans blue 염색법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백아름님의 답변

    저는 동물세포를 주로 다루어서 식물세포에 대해선 잘모르지만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인 trypan blue를 이용해 염색해보는 건 어떨까요?
    evans blue와 비슷한 결과를 얻는다면
    단순 염색법이 아니라 형광을 이용한 방법 (특정 단백질의 활성도를 나타내는)으로 바꾸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evans blue와 trypan blue는 염색약의 세포벽 투과 가능여부를 통해 세포사멸을 가리는 것인데,
    말씀대로라면 사멸이 진행된 세포가 염색이 되지 않거나, 염색된 세포 중 육안으로 확인 시에 건강한 모습인 경우로 존재하는 등 문제가 관찰되었다고 하시니
    세포가 건강한 상태에서만 활성을 가지는 단백질의 활성도를 측정하는 방법이 더욱 적절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예를 들어 Thermofisher에서 판매하는 식물세포 생존율 테스트 키트의 경우 세포가 건강할 때 intracellular esterase activity를 가지므로, esterase에 의해 분해된 후 형광을 띄는 substrate를 이용하여 세포 생존율을 측정합니다.
    아래의 논문들은 이러한 세포의 특성을 이용하여 생존율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도움이 되길 바라겠습니다.

    https://doi.org/10.1105/tpc.105.036806
    https://doi.org/10.1007/s002990050729
    https://doi.org/10.1016/S0041-624X(99)00166-3
    저는 동물세포를 주로 다루어서 식물세포에 대해선 잘모르지만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인 trypan blue를 이용해 염색해보는 건 어떨까요?
    evans blue와 비슷한 결과를 얻는다면
    단순 염색법이 아니라 형광을 이용한 방법 (특정 단백질의 활성도를 나타내는)으로 바꾸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evans blue와 trypan blue는 염색약의 세포벽 투과 가능여부를 통해 세포사멸을 가리는 것인데,
    말씀대로라면 사멸이 진행된 세포가 염색이 되지 않거나, 염색된 세포 중 육안으로 확인 시에 건강한 모습인 경우로 존재하는 등 문제가 관찰되었다고 하시니
    세포가 건강한 상태에서만 활성을 가지는 단백질의 활성도를 측정하는 방법이 더욱 적절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예를 들어 Thermofisher에서 판매하는 식물세포 생존율 테스트 키트의 경우 세포가 건강할 때 intracellular esterase activity를 가지므로, esterase에 의해 분해된 후 형광을 띄는 substrate를 이용하여 세포 생존율을 측정합니다.
    아래의 논문들은 이러한 세포의 특성을 이용하여 생존율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도움이 되길 바라겠습니다.

    https://doi.org/10.1105/tpc.105.036806
    https://doi.org/10.1007/s002990050729
    https://doi.org/10.1016/S0041-624X(99)00166-3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