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멜라닌 생성 저해 실험


안녕하세요
멜라닌 생성 저해 실험을 하고 있는데 잘 되지 않아 문의드립니다.

먼저 B16F1과 B16F10을 사용하여 1X10^5 cells/well, 6well에 seeding 하여
24시간 후
미백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알부틴을 10 ~ 1000 uM 농도별로 처리 한 후 1시간 뒤 100 nM a-msh를 처리하였습니다.
그리고 48시간, 72시간 뒤에 멜라닌 생성이 저해되는지 확인하였습니다.

배양액은 확실히 positive control 인 a-msh를 처리한 군의 배양액은 검은색을 띄고 알부틴을
처리한 군에서 연하게 띄는것을 확인하였습니다.

그러나 cell을 다운시켜 pellet를 육안으로 확인하였을때 positive control과 알부틴을 처리한 군의 pellet의 색이 전혀 차이가 나지 않는 검은색을 띄고 있습니다.
논문에서 보면 알부틴이나 미백효과물질을 처리한 군에서 육안으로 확실히 pellet이 하얗게 변하는것을 볼 수있는데
제가 실험하였을때는 전혀 pellet색이 하얗게 되지 않아 문제입니다.
무엇이 문제일까요?

그리고 혹시 B16F10을 나눠주실 분 계실지.......... 부탁드립니다.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 멜라닌
  • b16f1
  • b16f10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박동준님의 답변

    안녕하세요.
    저도 예전에 멜라닌감소효능을 보는 연구를 진행했었는데요.
    육안으로도 보시는 방법이있지만, 정확한 수치를 확인하시는게 좋을것같아 보입니다.
    세포 B16F10으로 저는 진행했었는데 미백물질과 세포간의 반응시간이후, NaOH 혼합액으로 스크랩핑하신다음에 microtube에 모으셔서 80도에서 끓인후에 남아있는 멜라닌 양을 측정하는 방법이
    논문 찾아보시면 아실 수 있을 거에요~
    그렇게 남아있는 멜라닌 양을 측정하시는 것이 더 확실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궁금하신 것 있으시면 쪽지주세요^^
     
    안녕하세요.
    저도 예전에 멜라닌감소효능을 보는 연구를 진행했었는데요.
    육안으로도 보시는 방법이있지만, 정확한 수치를 확인하시는게 좋을것같아 보입니다.
    세포 B16F10으로 저는 진행했었는데 미백물질과 세포간의 반응시간이후, NaOH 혼합액으로 스크랩핑하신다음에 microtube에 모으셔서 80도에서 끓인후에 남아있는 멜라닌 양을 측정하는 방법이
    논문 찾아보시면 아실 수 있을 거에요~
    그렇게 남아있는 멜라닌 양을 측정하시는 것이 더 확실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궁금하신 것 있으시면 쪽지주세요^^
     

    감사합니다
    근데 논문처럼 흡광도 측정해서 data를 보고있는데 흡광도도 차이가 거의 없습니다. ㅠㅠ
    논문에서 보면 pellet 부터 색 차이가 나서 확실히 차이가 나던데
    제가 실험할때는 왜 배양액에서만 차이가 나고 pellet에서는 차이가 안나는지 모르겠습니다. ㅠㅠ

  • 답변

    임창임님의 답변

    중요한 것은 양성대조군을 함께 두시고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만약에 그 경우에도 펠렛 색깔을 볼 수 없다면,
    질문자님의 견해처럼 세포주가 문제일 수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세포주는 한국세포주 은행, ATCC에서 구매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관련 자료 첨부합니다.

     
    중요한 것은 양성대조군을 함께 두시고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만약에 그 경우에도 펠렛 색깔을 볼 수 없다면,
    질문자님의 견해처럼 세포주가 문제일 수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세포주는 한국세포주 은행, ATCC에서 구매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관련 자료 첨부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광호님의 답변

    보통 B16F10 실험을 할때 검은색 자꾸 하얗게 되어서 문제지 그 반대인 경우는 드물다고 알고 있습니다.
    세포주가 문제가 아닐듯 하지만 혹시나 불안하시다면 저도 앞선 답변처럼
    ATCC에서 구매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그리고 어떤 논문을 참고하셨는지 잘 모르겠지만, 보통 다운된 펠렛을 사진으로 찍는다거나 해서
    데이터 피규어를 생성하는 경우는 드뭅니다.
    조심스럽게 다른 논문을 더 여러개 참고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눈으로 보는 펠렛의 색을 체크하는 방법이 아니라 다른 색을 수치화해서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이 몇가지가 나옵니다.
    번거럽더라도 그런방법을 이용해서 결과를 내야 더 객관적이고 증명할 수 있는 결과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추후에 펠렛 사진으로 결과를 만들어서 첨부한다면 논문내는 과정에 논란거리가 될 수도 있습니다.

    아니면, 마지막으로 알부틴(?)을 새로 구매하시거나,
    새롭게 다시 녹여서 사용해보시거나,
    논문에 참고한 농도보다 훨씬 더 높은 농도로 처리하번 해보시길 바랍니다.
    또한 배지에 영양성분이 되는 것을 확줄여서 약간 세포가 굶주린 상태에서 처리해보는 것도 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그래야 세포가 첨가하는 물질에 반응이 좋습니다).
    보통 B16F10 실험을 할때 검은색 자꾸 하얗게 되어서 문제지 그 반대인 경우는 드물다고 알고 있습니다.
    세포주가 문제가 아닐듯 하지만 혹시나 불안하시다면 저도 앞선 답변처럼
    ATCC에서 구매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그리고 어떤 논문을 참고하셨는지 잘 모르겠지만, 보통 다운된 펠렛을 사진으로 찍는다거나 해서
    데이터 피규어를 생성하는 경우는 드뭅니다.
    조심스럽게 다른 논문을 더 여러개 참고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눈으로 보는 펠렛의 색을 체크하는 방법이 아니라 다른 색을 수치화해서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이 몇가지가 나옵니다.
    번거럽더라도 그런방법을 이용해서 결과를 내야 더 객관적이고 증명할 수 있는 결과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추후에 펠렛 사진으로 결과를 만들어서 첨부한다면 논문내는 과정에 논란거리가 될 수도 있습니다.

    아니면, 마지막으로 알부틴(?)을 새로 구매하시거나,
    새롭게 다시 녹여서 사용해보시거나,
    논문에 참고한 농도보다 훨씬 더 높은 농도로 처리하번 해보시길 바랍니다.
    또한 배지에 영양성분이 되는 것을 확줄여서 약간 세포가 굶주린 상태에서 처리해보는 것도 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그래야 세포가 첨가하는 물질에 반응이 좋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