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9-05
org.kosen.entty.User@3f650f4b
황인혁(20171101153)
- 1
나노소재 및 촉매분야에서 귀금속의 nano particle을 확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방법으로 액상환원법(화학환원)이 이용되고 있습니다만, pH가 높을수록, ORP가 낮을수록 강한 환원분위기가 형성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한편 액상환원 중 환원제로써 hydrazin을 사용할 경우
N2H4 -> N2 + 4H+ + 4e-
여기에서 기인한 전자에 의해 귀금속 양이온이 metallic으로 전환되는 메커니즘을 따르는걸로 알고있는데, 이와같은 메커니즘과 pH, ORP와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을까요?
한편 액상환원 중 환원제로써 hydrazin을 사용할 경우
N2H4 -> N2 + 4H+ + 4e-
여기에서 기인한 전자에 의해 귀금속 양이온이 metallic으로 전환되는 메커니즘을 따르는걸로 알고있는데, 이와같은 메커니즘과 pH, ORP와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을까요?
- pH
- ORP
- 환원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김병관님의 답변
2018-09-13- 1
자세한 수식 설명을 적기에는 무리가 있지만 열역학과 전기화학에서 배운 지식을 동원해 생각해보면 이해하시기 쉬울 것 같습니다.
ΔG 값이 0보다 작을 때 자발반응이 일어나고,
Nernst 식에서 E (환원전위) 값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ΔG = -nFE
pH가 높을수록 E 값이 커져 ΔG가 더 -값을 가지게 되므로 강한 환원분위기가 형성된다고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http://elearning.kocw.net/document/region/2010/10/01/10_01_04_new.pdf